2025년 4월 25일 금요일
[부동산] 네이버 부동산 매물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법
🏘️ 네이버 부동산 매물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법
1. General – 왜 매물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해야 할까?
부동산 시장은 빠르게 변화합니다.
특히 인기 지역의 매물은 순식간에 등록되고, 사라지기도 하죠.
이런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실시간 데이터 수집이 필수입니다.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투자에 활용할 수 있다면 부동산 재테크의 경쟁력이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 목표: 매일 아침, 내가 원하는 지역의 매물 데이터를 자동 수집해 투자 의사결정에 활용!
2. Insight – 네이버 부동산은 API처럼 동작한다?!
많은 분들이 “크롤링”이라고 하면 HTML 파싱부터 생각하지만, 요즘 부동산 사이트들은 대부분 데이터를 비동기적으로 JSON 형태로 주고받습니다.
즉, 네이버 부동산도 내부적으로 API처럼 작동하는 구조입니다.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콘솔(Network) 탭 → XHR → 요청 URL 확인
-
응답 데이터는 JSON 형식 (예: 매물명, 평수, 가격, 매물번호 등)
-
페이지 정보를 담은
page
파라미터가 URL에 존재 → 반복 요청 가능
이렇게 해서 curl 요청을 복사하고, 파이썬으로 변환한 후,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부동산도 결국 데이터를 내려주는 API가 있다는 것. 이것만 알아도 절반은 성공입니다.
3. Specific – 실전 코드로 확인하는 매물 수집 자동화 프로그램
🐍 Python 코드: 페이지별 매물 수집 후 CSV 저장
import requests import csv headers = { "User-Agent": "Mozilla/5.0",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withopen("naver_real_estate.csv", "w", newline="", encoding="utf-8") as f: writer = csv.writer(f) writer.writerow(["매물명", "전용면적", "가격", "등록일"]) for page inrange(1, 11): # 1~10페이지 수집 url = f"https://example-api-url.com?page={page}&type=APT&dealType=A1" response = requests.get(url, headers=headers) data = response.json() for item in data['result']['list']: writer.writerow([ item['atclNm'], item['spc1'], item['prc'], item['atclCfmYmd'] ])
🖥️ GUI or 웹페이지로 시각화 (Streamlit 사용)
import streamlit as st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naver_real_estate.csv") st.title("헬리오시티 부동산 시세 모니터링") st.dataframe(df) if st.button("급매만 보기"): 급매_df = df[df['가격'].astype(str).str.contains("억") & (df['가격'].str.replace("억", "").astype(float) < 10)] st.dataframe(급매_df)
🔁 매일 아침 자동으로 실행하려면 윈도우 작업 스케줄러 / 리눅스 크론탭을 활용!
📷 이미지 삽입 제안
-
콘솔창에서 XHR 요청 캡처 화면
-
JSON 응답 예시 (with 강조 표시)
-
실행된 Streamlit 웹 페이지 스크린샷
✅ 마무리 – 부동산 재테크도 데이터 기반으로!
부동산 투자는 감도 중요하지만, 데이터 기반의 추세 분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네이버 부동산의 매물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고 시각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해두면,
단순 관망이 아니라 전략적인 투자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오늘 한 번만 고생하면, 내일부터는 데이터가 자동으로 나를 찾아옵니다.
[유심보안5]스마트폰 보안 진단 리스트 & 필수 앱 TOP5: 지금 설치해야 할 보안 습관
스마트폰 보안 진단 리스트 & 필수 앱 TOP5: 지금 설치해야 할 보안 습관
서론: 스마트폰, 손안의 ‘개인정보 금고’
스마트폰은 단순한 통신기기가 아닙니다. 은행, SNS, 비즈니스 앱까지…
당신의 일상과 재산이 모두 연결된 ‘금고’이자 해커들의 표적입니다. 하지만 정기적인 보안 진단과 필수 앱 설치만으로도 대부분의 피해는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셀프 보안 점검 리스트와 함께, 2025년 기준 보안 필수 앱 TOP 5를 소개합니다.
본론1: 모바일 보안 진단 체크리스트(필수)
점검 항목 | 설명 및 확인 방법 |
---|---|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 | T월드/KT 고객센터에서 부가서비스 확인 |
알 수 없는 앱 설치 차단 설정 | 설정 > 보안 > 출처 불명의 앱 설치 허용 해제 |
스마트폰 운영체제 최신 버전 유지 | 자동 업데이트 설정, 보안 패치 수시 확인 |
이중 인증 설정 여부 | 구글/네이버/애플 계정 2단계 인증 활성화 |
문자 링크 클릭 습관 점검 | 택배/은행/이벤트 문자는 발신처 번호 확인 후 클릭 |
통화/데이터 사용량 이상 탐지 확인 | 내 통신사 앱에서 사용량 급증/국제전화 발신 이력 점검 |
공용 Wi-Fi 자동 연결 비활성화 | 설정 > Wi-Fi > ‘자동 연결’ 옵션 해제 |
본론2: 2025년 보안 필수 앱 TOP 5
1. 알약M (이스트소프트)
-
기능: 악성 앱 탐지, 실시간 백신, URL 차단
-
특징: 국내 사용자에 특화, 주기적인 DB 업데이트
2. 노턴 모바일 시큐리티
-
기능: 피싱 웹사이트 차단, 개인 정보 유출 감시
-
특징: 프리미엄 버전은 카메라 해킹 차단 기능 제공
3. KT 보안팩 / SKT 스마트보안 / LG U+ 보안앱
-
기능: 통신사 연동형 보호 시스템 (유심, 문자, 앱 통합 감시)
-
특징: 통신요금에 따라 무료 제공 가능
4. Authy / Google Authenticator
-
기능: OTP 이중 인증 생성기
-
특징: 비밀번호 유출 시 계정 해킹을 차단하는 강력한 보안 수단
5. JusTalk / Signal
-
기능: 종단간 암호화 통화·메신저
-
특징: 카카오톡 대비 보안성이 높은 통화 및 채팅용
결론: 해커보다 한 발 앞서는 습관, 보안 루틴 만들기
보안은 앱 설치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매주 한 번, 5분만 투자해도 스마트폰을 진짜 ‘안전한 금고’로 만들 수 있어요.
아래의 루틴을 참고해서 나만의 보안 체크 주기를 만들어보세요:
📅 추천 보안 루틴 캘린더
주기 | 할 일 체크리스트 |
---|---|
매주 | 알 수 없는 앱 설치 여부 확인 / 통화·데이터 이상 점검 |
매월 | OS 업데이트 여부 점검 / 유심 서비스 상태 재확인 |
분기별 | 통신사 앱/보안앱 설정 점검 / 금융앱 OTP 변경 |
필요시 | 의심 링크 클릭 후 즉시 백신 앱 검사 / 통신사에 이상 신고 |
[유심보안4] 유심 해킹 실제 피해 사례와 대응 매뉴얼: 당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유심 해킹 실제 피해 사례와 대응 매뉴얼: 당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서론: “내가 왜 당했을까?”는 늦었다
“스미싱 문자 하나 눌렀을 뿐인데…”,
“새벽에 휴대폰이 꺼졌다 켜진 후, 통장에서 돈이 사라졌어요.”
최근 유심 해킹 피해자들의 공통된 이야기입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단 하나, 경고 알림을 무시했다는 것.
이번 글에서는 실제 피해 사례를 통해 경각심을 높이고, 사고 발생 시 즉시 대응할 수 있는 6단계 매뉴얼을 소개합니다.
본론1: 실시간 유심 해킹 피해 사례 분석
사례 1. 심야 유심 변경 → 계좌 털림
피해자 A씨 (서울, 30대 여성)
-
새벽 3시경 휴대폰 신호가 끊겼고, 10분 후 유심이 다시 연결
-
이후 카카오페이/토스 등에서 OTP 인증을 통한 송금 진행
-
피해 금액: 약 1,200만 원
-
원인: 중고거래 링크에 포함된 악성 앱 다운로드
사례 2. 유심 복제 후 도용 가입
피해자 B씨 (부산, 40대 남성)
-
통신사 고객센터를 사칭한 피싱 전화 후, 유심 정보 탈취
-
유심 복제로 인해 타지에서 신용카드 발급 시도, 대출 신청
-
피해 금액: 신용도 하락, 카드사 정정 소요 약 2달
-
원인: 전화 응대로 본인 인증번호 유출
본론2: 유심 해킹 발생 시 대응 매뉴얼 (6단계)
✅ 1단계. 즉시 휴대폰 ‘비행기 모드’ 또는 전원 종료
-
해커가 원격 인증 시도를 막기 위한 신속 차단
-
유심 변경이 감지되면 네트워크 차단이 핵심
✅ 2단계. 통신사 고객센터에 ‘유심 정지’ 요청
-
SKT: 114 / KT: 100 / LGU+: 101
-
해당 유심으로의 모든 통신 서비스 차단 요청
-
‘해킹 의심’ 사유로 기록되도록 요청
✅ 3단계. 금융사 및 간편결제 서비스 긴급 차단
-
토스/카카오페이/삼성페이 등 ‘1회용 코드’, ‘OTP’ 초기화
-
은행 앱에서도 로그인 차단 + 계좌 일시정지 요청
-
금융사별 24시간 고객센터 연락 필요
✅ 4단계. 경찰 사이버수사대 신고 및 KISA 피해 등록
-
신고번호 확보 → 보상 절차에 활용
✅ 5단계. 피해증명서 발급 후 통신사 보상요청
-
유심복제 증거(통화내역, 로그 기록 등) + 피해증명서
-
SKT는 내부 보상 심사 가능, KT/LG는 보험 연계 또는 외부 손해사정 활용
✅ 6단계. 관련 계정 전체 비밀번호 변경 + 보안강화
-
구글, 네이버, SNS 등 모든 서비스 이중 인증 활성화
-
심카드 재발급 후 사용 재개할 것
결론: ‘사후대응’도 결국은 ‘준비된 자’의 몫이다
유심 해킹 피해는 갑작스럽게 찾아오지만, 대응 방식은 미리 알고 준비할 수 있습니다.
무방비 상태에서는 피해를 복구하기까지 수개월이 걸릴 수 있으며, 신용정보 회복도 장기전이 됩니다.
반드시 오늘 내용을 바탕으로 개인 대응 매뉴얼을 메모해두세요.
핵심 요약
단계 | 조치 항목 |
---|---|
1단계 | 휴대폰 비행기 모드 or 전원 OFF |
2단계 | 유심 정지 (통신사 고객센터) |
3단계 | 간편결제, 은행 차단 |
4단계 | 경찰청/ KISA 신고 및 증빙 확보 |
5단계 | 피해증명서 발급 + 통신사 보상청구 |
6단계 | 계정 전체 보안 변경 및 유심 교체 완료 |
[유심보안3]SKT·KT·LG유플러스 유심 보호 서비스 비교: 내 정보 누가 더 잘 지켜줄까?
SKT·KT·LG유플러스 유심 보호 서비스 비교: 내 정보 누가 더 잘 지켜줄까?
서론: 모두 같은 ‘보호 서비스’ 아닙니다
"유심 보호 서비스"라는 이름은 같아 보여도, 실제 제공되는 기능, 보안 강도, 알림 방식은 통신사마다 천차만별입니다. 특히 최근 해킹 사건 이후 각사에서 보안 기능을 개선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SKT, KT, LG유플러스의 유심 보호 정책을 하나하나 뜯어보며 실사용자 관점에서 평가합니다.
본론1: 통신 3사 유심 보호 서비스 비교표
항목 | SKT | KT | LG U+ |
---|---|---|---|
서비스 명 | 스마트 유심 보호 | KT 모바일 보안팩 | U+ 스마트보안 서비스 |
기본 제공 여부 | 무료 (2025년 4월 기준) | 유료 (보안팩 월 3,300원) | 유료 (월 2,200원~) |
실시간 유심 변경 알림 | O (T알림) | O (KT알림톡) | O (SMS) |
자동 차단 기능 | X (경고 후 조치) | X | X |
신청 방법 | T월드/고객센터 | 고객센터 또는 지점 | 고객센터 또는 지점 |
기타 기능 | 스미싱 차단, 인증 강화 | 백신, 앱 권한 차단, 통화녹음 | 보안앱 포함, 피싱 탐지 |
보상 정책 | 피해 발생 시 내부 심사 기준 | 없음 (보장보험 별도 가입) | 없음 (책임제한 고지 있음) |
본론2: 실사용자 기준으로 본 추천 가이드
✅ SKT 사용자에게 추천
-
최근 대규모 유출 사고로 인해 무료 제공 + 보안강화 중
-
T알림과 연동해 빠른 알림 제공
-
별도 앱 설치 없이 기본 서비스에서 확인 가능
추천 대상:
기존 SKT 사용자는 반드시 무료 가입 확인!
정보 보안 민감한 사용자에게 적합
✅ KT 사용자에게 추천
-
보안 앱 ‘KT 모바일 보안팩’ 통해 멀티 보안 제공
-
통화녹음, 백신, 앱 권한 차단 등 기능은 다양
-
단, 월 3,300원 유료라는 점이 진입 장벽
추천 대상:
보안에 적극 투자하고 싶은 사용자,
회사폰/업무용 폰 사용 시 특히 유용
✅ LG유플러스 사용자에게 추천
-
저렴한 월정액으로 보안 기능 제공
-
보안 앱 설치 필요 (다소 불편)
-
단순한 유심 보호 외에도 피싱 탐지 기능 포함
추천 대상:
저렴한 가격에 기본적인 보안 체계를 원하는 사용자
결론: 선택보다 중요한 건 '활용'
통신사 선택도 중요하지만, 가입 후 방치하지 않고 ‘활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서비스에 가입해놓고 알림 차단, 비활성화 상태라면 아무 소용 없습니다.
스스로 설정을 확인하고, 주기적으로 보안 점검 루틴을 만드는 것이 진정한 보호입니다.
핵심 요약 인포그래픽
[유심 보안 체크리스트]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유심 변경 시 알림 기능 활성화
피싱 문자/앱 자동 차단 기능 작동 여부
정기적인 통신내역/접속 기록 점검
이상 징후 발생 시 고객센터 신고 습관화
[무료유심2] 유심 해킹 의심된다면? 유출 확인법과 피해 예방법
유심 해킹 의심된다면? 유출 확인법과 피해 예방법
서론: 가입만 해서는 끝이 아니다
SKT의 무료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했다 하더라도, 이미 유출되었을 수도 있는 개인정보는 따로 확인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유심을 복제한 뒤 휴대폰 인증을 가로채는 방식의 해킹이 늘고 있어, 사전 예방과 사후 조치 모두가 중요해졌습니다.
본론1: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하는 방법
✅ 1.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내 정보 지킴이’ 서비스
-
공공기관의 유출 정보 확인 서비스 제공
-
이름, 주민번호 기반으로 다크웹 유출 여부 조회 가능
✅ 2. SKT 자체 공지사항 및 유출 대상 확인
-
[T월드 홈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
본인의 휴대폰번호 및 가입자 명의로 유출 여부 직접 조회 가능 (일부 제한적 제공)
✅ 3. 통신비 내역서에서 ‘이상 내역’ 체크
-
최근 통화 기록에 모르는 국제전화, 인증번호 문자 등 있는지 확인
-
유심 해킹 시 해외에서 접속 흔적 발생 가능
본론2: 유심 해킹 방지 5가지 실천법
1. 모바일 OTP 사용 줄이기
-
인증서나 OTP를 유심과 분리된 디바이스에서 관리 (예: OTP 토큰)
2. 스마트폰 ‘심카드 잠금 설정’ 활성화
-
안드로이드: 설정 > 보안 > 유심 카드 잠금
-
아이폰: 설정 > 셀룰러 > SIM PIN 설정
3. 의심 문자나 링크 절대 클릭 금지
-
‘통신비 할인’, ‘택배 도착’ 등은 전형적인 피싱 문구
-
SKT는 절대 문자로 개인정보 입력 요청하지 않음
4. 이중 인증 설정
-
구글, 네이버 등 계정에 2단계 인증 적용
-
유심만으로는 로그인 불가능하게 설정
5. SKT 고객센터에 이상 징후 신고
-
24시간 보안 콜센터 운영
-
114 또는 080-011-6000으로 즉시 신고
결론: 해킹은 '대상'이 아니라 '기회'를 노린다
내가 특별한 정보를 가진 사람이 아니라도 해킹의 표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보안이 약한 ‘틈’을 노릴 뿐이죠.
무료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은 기본이고, 오늘 소개한 확인 및 예방 조치를 함께 병행한다면, 내 정보는 내 힘으로 지킬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 인포그래픽 제공
점검 항목 | 조치 방법 |
---|---|
유출 여부 확인 | KISA, SKT 공지, 통신 내역 확인 |
예방 조치 | SIM 잠금, OTP 분리, 의심 문자 차단 등 |
긴급 신고 | SKT 고객센터 114 / 080-011-6000 |
피드백 그래프
정보 보안 실천 전 ████████▒▒▒▒
정보 보안 실천 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