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24일 화요일
취약계층 최대 50만원 받는 법! 2025 민생회복지원금 대상 조건 분석
취약계층 최대 50만원 받는 법! 2025 민생회복지원금 대상 조건 분석
정부 지원금 대상자 조회
0. 전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1. 민생회복지원금 개요
-
기본 지급: 전 국민 1인당 15~25만 원 (지역화폐/소비쿠폰, 사용처: 전통시장, 골목상권 등).
-
취약계층 추가 지원: 1차(1525만 원) + 2차(추가 1025만 원)로 최대 35~50만 원.
지급 방식:
- 보편 지급: 전 국민 대상 1인당 25만원, 신청간편, 소비진작효과 큼, 예산 부담 큼(약 13조 원).
- 선별 지급: 취약계층 및 중위소득 80% 이하 중심, 재정 부담 완화(약 6~8조 원), 취약계층위주 지원 * 정부는 현재 선별지급 쪽에 무게를 두고 있음
- 대상: 대한민국 국적자 전체
- 제외: 장기 해외 체류자, 수감자, 말소자 등
- 형식: 지역화폐 또는 소비 쿠폰
- 사용처: 전통시장, 동네 상점 등
- 제한처: 대형마트, 온라인몰, 유흥업소 등
2. 취약계층 최대 50만원 지급 조건
2.1 1차 우선 대상 (자동 지급 가능성 높음)
-
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이하로 차상위 자산형성지원, 본인부담경감 대상 등.
-
한부모가족: 저소득 한부모·조손 가정.
-
장애인가구: 등록 장애인 포함 가구.
-
고령자 단독가구: 만 70세 이상 1인 가구(중위소득 50% 이하 우선).
-
-
금액: 1인당 25~40만 원 (4인 가구 최대 160만 원).
-
특징: 기존 복지 데이터(사회보장정보시스템) 연계로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지급 가능성 높음.
2.2 2차 확대 검토 대상
-
대상:
-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2025년 기준 4인 가구 월 소득 약 305만 원 이하.
-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매출 감소 또는 폐업 피해자.
-
청년 1인 가구: 만 19~34세, 중위소득 50% 이하.
-
특수고용직·프리랜서: 고용보험 미가입자 중 소득 감소 증명 가능자.
-
-
금액: 추가 1025만 원 (총 3550만 원).
-
특징: 소득 증빙(건강보험료, 소득신고 자료) 또는 피해 증명(매출 내역 등) 필요.
2.3 중위소득 기준 (2025년 예상)
-
1인 가구: 월 소득 121만 원 이하 (50%), 194만 원 이하 (80%).
-
2인 가구: 월 소득 201만 원 이하 (50%), 322만 원 이하 (80%).
-
3인 가구: 월 소득 258만 원 이하 (50%), 413만 원 이하 (80%).
-
4인 가구: 월 소득 305만 원 이하 (50%), 488만 원 이하 (80%).
-
참고: 중위소득은 통계청 발표 기준으로 매년 조정, 복지로에서 확인 가능.
2.4 대상 여부 확인 방법
- 복지로(www.bokjiro.go.kr) →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이용
-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 주민등록등본 등 필요
민생회복지원금 대상 확인
- 필수 서류 미리 준비(신분증,등본,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등)
예상신청방법
- 온라인: 정부 24,복지로, 지자체 홈페이지
- 오프라인: 주민센터, 은행, 우체국
3. 건강보험료로 소득 구간 확인
-
직장가입자:
-
기준: 월 보험료(본인 부담) 40만 원 이상 → 상위 10% 가능성, 지급 축소/제외 우려.
-
취약계층 기준: 월 보험료 10~15만 원 이하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
산정: 보수월액 × 7.09% × 본인 부담 50% + 장기요양보험료.
-
-
지역가입자:
-
기준: 월 보험료 45만 원 이상 → 상위 10% 가능성.
-
취약계층 기준: 월 보험료 10~20만 원 이하.
-
산정: 소득 + 재산(부동산, 자동차 등) → 부과점수 합산.
-
-
조회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또는 M건강보험 앱 접속.
-
‘보험료 조회/납부’ 메뉴에서 최근 12개월 평균 납부액 확인.
-
맞벌이 가구는 부부 합산 보험료 확인.
-
-
참고: 장기요양보험료 포함 총액 기준, 6~7월 최신 기준 공시 확인.
4. 취약계층 최대 50만원 받는 방법
-
복지로(www.bokjiro.go.kr) (www.bokjiro.go.kr):
-
‘복지서비스 모의계산’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여부 확인.
-
필요 정보: 건강보험료 납부 내역, 주민등록등본, 소득·재산 정보.
-
-
주민센터 방문: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신청 자격 문의.
-
소득 감소(소상공인, 프리랜서 등) 증빙 서류 상담.
-
-
지자체 홈페이지: 지역별 추가 지원(예: 서울시 취약계층 10만 원) 확인.
-
자동 지급: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은 복지 데이터 연계로 신청 없이 지급 가능.
-
등록된 계좌(복지급여 계좌)로 입금 또는 지역화폐 카드 발급.
-
-
수동 신청:
-
온라인: 정부24, 복지로, 지자체 홈페이지.
-
오프라인: 주민센터, 은행, 우체국.
-
필요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소득·재산 증빙(소상공인: 매출 내역, 프리랜서: 계약서 등).
-
-
미성년자: 보호자 명의로 신청/지급.
-
-
신청 시기:
-
6~7월: 추경 통과 및 공고.
-
8월: 신청 시스템 준비.
-
910월: 1차 지급(1525만 원).
-
1011월: 2차 지급(취약계층 추가 1025만 원).
-
4.3 준비 체크리스트
-
앱 설치: 정부24, 보조금24, 복지로 앱.
-
인증 준비: 공동인증서, 간편인증(네이버, 카카오 등).
-
서류 준비: 신분증, 등본,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소득·재산 증빙.
-
계좌 정리: 본인 명의 통장(복지급여 계좌 선호).
-
공지 확인: 6~7월 추경 확정 후 정부·지자체 공고 모니터링.
5. 제외 가능 조건
-
소득 상위 10%:
-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 월 40만 원, 지역가입자 월 45만 원 이상.
-
연봉 기준: 세전 약 9,270만 원 이상.
-
-
행정 제외:
-
장기 해외 체류자(6개월 이상).
-
수감자.
-
주민등록 말소자.
-
-
주의: 지역가입자는 재산(부동산, 차량 등)이 높을 경우 상위 10%로 분류될 수 있음. 재산 변동 신고로 보험료 조정 가능.
6. 추가 지원: 부담경감 크레딧
-
내용: 전기, 수도, 가스, 4대 보험료 등 고정비 지원 디지털 바우처(1인당 최대 50만 원).
-
대상: 취약계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중심, 구체적 기준 미확정.
-
신청: 정부24, 지자체 홈페이지, 주민센터 (2025년 7월 이후 공고 예정).
-
참고: 민생회복지원금과 별도 정책, 중복 수령 가능성 있음.
7. 결론: 취약계층 최대 50만원 받기 전략
지금 할 수 있는 행동:
-
복지로에서 ‘복지서비스 모의계산’으로 자격 확인.
-
국민건강보험 앱에서 월 보험료(10~20만 원 이하) 확인, 상위 10% 여부 점검.
-
주민센터 방문해 기초·차상위 지원 신청 자격 문의.
-
정부24 앱 설치, 신분증, 등본, 소득 증빙 서류 준비.
-
6~7월 추경 공고 후 신청 절차 확인.
유의사항:
-
최종 기준은 2차 추경(6~7월) 및 국회 논의로 변동 가능.
-
지역화폐 지급 시 사용 기한(3~6개월) 준수.
-
소득 상위 10%는 제외 가능성이 높으므로, 지역가입자는 재산 신고로 보험료 조정 검토.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으로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금부터 자격 확인과 서류 준비를 시작하세요!
2025년 6월 23일 월요일
건강보험료 상위 10% 금액 기준 확인 방법 및 민생지원금 대상 여부
건강보험료 상위 10% 금액 기준 확인 방법 및 민생지원금 대상 여부
1. 건강보험료 상위 10% 기준
-
직장가입자:
-
산정 방식: 보수월액 × 7.09% × 본인 부담 50% + 장기요양보험료
-
기준: 월 건강보험료(본인 부담) 약 40만 원 이상 납부 시 상위 10%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음.
-
참고: 월 급여 약 800만 원 이상(세전 연봉 약 9,270만 원 이상)인 경우 상위 10%에 근접.
-
-
지역가입자:
-
산정 방식: 소득 + 재산(부동산, 자동차 등) + 세대원 정보 → 부과점수 합산 후 단가 적용
-
기준: 월 건강보험료 약 45만 원 이상 납부 시 상위 10%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음.
-
특징: 소득 외에 주택, 임대수익, 차량 등이 포함되므로 더 정교한 계산 필요.
-
-
주의사항:
-
기준은 매년 6~7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공식 발표하며, 최근 12개월 평균 납부액을 기준으로 판단.
-
장기요양보험료를 포함한 총 납부액으로 확인해야 함.
-
맞벌이 가구는 가족 전체 합산 납부액을 기준으로 판단.
-
2. 건강보험료 상위 10% 확인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M건강보험 앱 접속:
-
홈페이지: www.nhis.or.kr
-
앱: M건강보험 앱 다운로드 후 로그인
-
-
보험료 조회 메뉴 선택:
-
‘보험료 조회/납부’ 메뉴에서 최근 12개월 납부 내역 확인.
-
직장가입자는 본인 부담금, 지역가입자는 전체 납부액 확인.
-
-
기준과 비교:
-
직장가입자: 월 평균 40만 원 이상 → 상위 10% 가능성 높음.
-
지역가입자: 월 평균 45만 원 이상 → 상위 10% 가능성 높음.
-
가족 합산 납부액도 확인(특히 맞벌이 가구).
-
-
공식 기준 확인:
-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매년 6~7월 상위 10% 기준을 공시. 공지사항을 통해 최신 기준 확인.
-
3. 민생지원금 대상 여부
-
기초생활수급자: 1인당 50만 원 (4인 가구 최대 200만 원)
-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가정: 1인당 40만 원
-
일반 국민(소득 상위 10% 제외): 1인당 25만 원
-
소득 상위 10%: 1인당 10~15만 원 또는 지급 제외 가능
-
지급 방식: 현금, 카드 포인트, 지역화폐 중 선택 가능.
-
지급 시기: 2025년 6~8월 사이 1차 및 2차 지급 예상. 1차는 전 국민 대상, 2차는 상위 10% 제외 가능성.
-
주의사항:
-
최종 지급 기준은 국회 예산 심의 및 당정 협의로 확정.
-
신청이 필요하며, 사용 기한이 있는 지역화폐 형태로 지급될 수 있음.
-
상위 10% 여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자동 판정.
-
4. 민생지원금 제외 방지를 위한 체크리스트
-
정기적으로 보험료 확인: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앱에서 납부 내역을 주기적으로 점검.
-
최신 공지사항 확인: 6~7월 발표되는 상위 10% 기준 및 민생지원금 공지사항 모니터링.
-
가구 단위 확인: 맞벌이 가구는 본인뿐 아니라 배우자 및 가족의 납부액 합산 확인.
-
정확한 신청: 지원금 신청 시 주민등록 기준, 지급 방식(지역화폐 등) 숙지.
-
소득·재산 정보 갱신: 지역가입자는 재산 변동(부동산, 차량 등)을 공단에 신고하여 보험료 조정 가능.
5. 연봉 vs.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보수월액(급여) 외에 기타 소득(이자, 배당 등) 일부 반영.
-
지역가입자: 소득 + 재산(부동산, 자동차, 임대수익 등) + 세대원 정보.
-
참고 연봉:
-
상위 10%: 세전 연봉 약 9,270만 원 이상.
-
상위 5%: 약 1억 1,800만 원 이상.
-
상위 1%: 약 2억 3,500만 원 이상.
-
6. 결론
-
건강보험료 기준 및 민생지원금 관련 정보는 정부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최신 공지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2025년 6월 21일 토요일
리플은 XRP와 RLUSD를 서로 보완재로 설계했습니다.
리플 생태계와 스테이블코인 구조 완벽 분석: XRP부터 RLUSD까지 연결고리를 파헤치다
리플의 XRP와 새롭게 등장한 RLUSD 스테이블코인은 어떤 관계일까요? 리플 생태계 전반과 스테이블코인 구조를 기술·경제적으로 풀어봅니다.
🟩 서론: XRP만 알면 절반만 아는 것! RLUSD로 확장되는 리플 생태계
한때 송금 코인으로만 알려졌던 XRP(리플), 지금은 글로벌 블록체인 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리플은 새로운 스테이블코인인 RLUSD (Ripple USD) 출시를 발표하며
단순한 암호화폐에서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인프라 제공자로 도약하고 있죠.
이 글에서는 리플 생태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 안에서 스테이블코인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A to Z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리플 생태계 구성도: XRP 중심의 블록체인 금융 플랫폼
리플 생태계는 단순히 XRP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아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 리플 생태계 핵심 요소
구성요소 | 설명 |
---|---|
XRP (디지털 자산) | 송금·결제용 암호화폐로, 거래 속도와 수수료가 매우 낮음 |
XRP Ledger | 리플사가 개발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탈중앙화 구조를 갖추고 있음 |
RippleNet | 은행과 기업이 글로벌 송금에 사용하는 네트워크 솔루션 |
ODL (On-Demand Liquidity) | 실시간 송금을 위한 XRP 기반 유동성 공급 시스템 |
RLUSD (스테이블코인) | USD와 1:1로 연동된 디지털 화폐. XRP Ledger와 연계됨 |
🟨 2. RLUSD란 무엇인가? (리플 스테이블코인의 역할)
2025년 리플이 발표한 RLUSD(Ripple USD)는 미국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입니다.
다음과 같은 기술적·경제적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RLUSD의 특징
-
미국 달러와 1:1 가치 고정 (페깅)
-
준비금 기반의 안정성 확보
-
XRP Ledger와 Ethereum에서 동시에 사용 가능
-
송금·결제·기관투자자 대상 거래에 최적화
📌 RLUSD는 변동성 자산인 XRP의 약점을 보완하고,
기관 중심의 금융 시스템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합니다.
🟧 3. XRP와 RLUSD의 상호작용 구조
XRP → Ledger: 거래소 유동성 제공
RLUSD → Ledger: 페깅 안정성 제공
Ledger → ODL: XRP 활용
Ledger → 송금결제: RLUSD 기능ODL ↔ 송금결제: 교환 수단 연동
📊 구조 다이어그램
[ XRP ] ← 거래소 유동성 제공
↓
[ XRP Ledger ]
↓ ↑
[ RLUSD ] ← 페깅 안정성 제공 → 송금·결제에 사용
관계 | 내용 |
---|---|
XRP → RLUSD | RLUSD의 발행 및 거래 과정에서 XRP가 유동성 제공 역할 |
RLUSD → XRP | RLUSD의 안정성이 XRP 생태계 전체의 신뢰도를 높임 |
공통점 | 둘 다 XRP Ledger에서 작동하며, RippleNet과 연동 가능 |
🟥 4.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전략: 왜 RLUSD인가?
리플이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발행하는 데에는 시장적·전략적 이유가 있습니다.
🔍 이유 1: 글로벌 결제 인프라 강화
-
XRP는 빠르지만 가격 변동성 문제 있음
-
RLUSD를 통해 값의 안정성 확보 → 기업 도입 용이
🔍 이유 2: 규제 친화적인 구조
-
RLUSD는 투명한 준비금과 회계 감사를 수반
-
SEC와의 분쟁 이후, 합법적 수단으로 시장 재진입
🔍 이유 3: CBDC, 기관금융 연계 기반
-
RLUSD는 향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또는
국제 결제망의 통화 단위로도 활용 가능
🟫 5. 향후 전망: 리플 생태계의 진화 방향
리플 생태계는 RLUSD를 중심으로 더욱 확장될 예정입니다.
📈 예상 시나리오
분야 | 확장 방향 |
---|---|
금융 | RLUSD를 통한 B2B 결제, 기관 거래소 도입 |
DeFi | XRP-L 기반 DeFi 서비스에 RLUSD 사용 확대 |
국제 송금 | RLUSD를 활용한 송금 수수료 절감 및 속도 향상 |
법정화폐 연계 | 여러 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다각화 가능성 |
🔚 결론: XRP + RLUSD = 리플의 완전체
✅ 리플은 이제 단순한 송금 솔루션이 아닌, 글로벌 블록체인 금융 플랫폼으로 확장 중입니다.✅ XRP는 빠르고 효율적인 암호화 자산
✅ RLUSD는 신뢰성과 안정성을 갖춘 디지털 달러
✅ 이 둘의 조합은 단순한 결제가 아닌, 차세대 금융 인프라의 핵심 생태계입니다.
2025 민생지원금 25만원 지급 대상: 선별 vs 보편 기준 비교
2025 민생지원금 25만원 지급 대상: 선별 vs 보편 기준 비교
“나는 받을 수 있을까?”“어디까지가 취약계층이고, 어떤 기준으로 지급이 될까?”“보편 지급이냐, 선별 지급이냐?”
1. 보편 지급 vs 선별 지급: 차이점
-
보편 지급:
-
대상: 주민등록상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전 국민.
-
금액: 1인당 25만 원 (지역화폐 또는 소비쿠폰 형태).
-
장점:
-
소비 진작 효과가 크며, 행정 절차가 간단.
-
전 국민 대상으로 형평성 논란 적음.
-
-
단점:
-
예산 부담이 큼 (약 12.5~13조 원 추산).
-
고소득층 포함으로 재정 효율성 논란.
-
-
예외 가능 대상:
-
장기 해외 체류자.
-
수감자.
-
주민등록 말소자.
-
-
-
선별 지급:
-
대상: 소득 기준(예: 건강보험료 상위 10% 제외) 또는 복지 수급 여부(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에 따라 제한.
-
금액:
-
일반 국민: 15~25만 원.
-
취약계층: 최대 4050만 원 (1차 1525만 원 + 2차 추가 지급).
-
-
장점:
-
예산 부담 적음 (약 6~8조 원 추산).
-
취약계층에 집중 지원으로 재정 효율성 높음.
-
-
단점:
-
소득 기준 선정 과정에서 형평성 논란 가능.
-
행정 절차 복잡(건강보험료, 소득 데이터 검증 등).
-
-
현재 동향:
-
정부는 재정 여력 부족으로 선별 지급에 무게를 두고 있음.
-
더불어민주당은 보편 지급을 선호하나, 선별 지급 가능성도 열어둠.
-
-
2. 지급 대상 및 금액
-
1차 지급 (보편):
-
대상: 주민등록상 전 국민 (약 4,235만 명 추산).
-
금액: 1인당 15~25만 원 (지역화폐 또는 소비쿠폰).
-
예외 가능:
-
소득 상위 10% (건강보험료 기준 월 4045만 원 이상) 지급액 축소(1015만 원) 또는 제외 가능.
-
-
사용처: 전통시장, 골목상권, 편의점 등 (대형마트, 온라인몰, 유흥업소 제외).
-
유효기간: 지급 후 3~6개월 내 사용 (미사용 시 소멸).
-
-
2차 지급 (선별, 취약계층 추가 지원):
-
대상:
-
1차 우선 대상 (자동 지급 가능성 높음):
-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계층.
-
한부모가족.
-
장애인가구.
-
고령자 단독가구.
-
-
2차 확대 검토 대상:
-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
소상공인, 자영업자.
-
청년 1인 가구.
-
특수고용직, 프리랜서.
-
-
-
금액: 1인당 추가 1025만 원 (총 3550만 원).
-
참고: 4인 가구 기준 최대 20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 등).
-
-
부담경감 크레딧 (별도 정책):
-
내용: 전기, 수도, 가스, 4대 보험료 등 고정비용 지원 디지털 바우처 (1인당 최대 50만 원).
-
대상: 취약계층 중심, 구체적 기준 미확정.
-
신청: 정부24 또는 지자체 사이트/주민센터.
-
3. 건강보험료로 내 소득 구간 확인 방법
-
직장가입자:
-
기준: 월 건강보험료(본인 부담) 40만 원 이상 → 소득 상위 10% 가능성 높음 (세전 연봉 약 9,270만 원 이상).
-
-
산정 방식: 보수월액 × 7.09% × 본인 부담 50% + 장기요양보험료.
-
지역가입자:
-
기준: 월 건강보험료 45만 원 이상 → 소득 상위 10% 가능성 높음.
-
산정 방식: 소득 + 재산(부동산, 자동차 등) + 세대원 정보 → 부과점수 합산.
-
-
조회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M건강보험 앱 접속.
-
‘보험료 조회/납부’ 메뉴 선택.
-
최근 12개월 평균 납부액 확인.
-
맞벌이 가구는 부부 합산 납부액 확인.
-
참고: 장기요양보험료 포함 총 납부액 기준.
-
-
주의사항:
-
상위 10% 기준은 매년 6~7월 공시. 최신 기준 확인 필수.
-
4. 지급 대상 여부 확인 및 준비 체크리스트
-
확인 방법:
-
복지로(www.bokjiro.go.kr) (www.bokjiro.go.kr):
-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기능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여부 확인.
-
건강보험료 납부액, 주민등록등본, 소득 정보 입력.
-
-
정부24(www.gov.kr) 또는 보조금24:
-
복지 자격 조회 및 신청 가능.
-
-
지자체 홈페이지: 지역별 추가 지원금(예: 파주시 10만 원) 확인.
-
-
준비 체크리스트:
-
정부24/보조금24 앱 설치.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네이버, 카카오 등) 준비.
-
본인 명의 통장 및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준비.
-
지자체 공지사항 및 뉴스 확인 (6~7월 추경 확정 후 공고 예정).
-
-
신청 방식 (예상):
-
온라인: 정부24, 복지로, 지자체 홈페이지.
-
오프라인: 주민센터, 은행, 우체국.
-
미성년자: 보호자 명의로 지급.
-
특이사항: 선착순이 아닌 순차 지급 방식 예상.
-
5. 지급 시기 및 절차 (예상)
-
6~7월: 2차 추경 국회 통과.
-
8월: 지급 시스템 준비 (온라인 신청 플랫폼 구축).
-
9~10월: 1차 보편 지급 시작 (15~25만 원).
-
10~11월: 2차 선별 지급 (취약계층 추가 10~25만 원).
-
참고: 자동 지급 대상(기초생활수급자 등)은 신청 없이 지급 가능성 높음.
6. 보편 vs 선별: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일까?
-
보편 지급:
-
장점: 빠른 소비 진작,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특히 지역화폐 사용 시 골목상권 활성화).
-
단점: 고소득층 포함으로 재정 낭비 우려, 취약계층 지원 효과 미흡.
-
지지 여론: 더불어민주당 및 국민 다수 환영, 자영업자·소상공인 긍정적 평가.
-
-
선별 지급:
-
장점: 취약계층에 집중 지원, 재정 부담 완화.
-
단점: 소득 기준 설정 및 검증 과정에서 행정비용 증가, 형평성 논란.
-
지지 여론: 전문가 및 재정 당국 선호, 고소득층 제외로 효율성 강조.
-
-
절충안 (현재 유력):
-
1차 보편 지급(1525만 원) 후 2차 선별 지급(취약계층 추가 1025만 원).
-
소득 상위 10%는 2차 지급 제외 또는 금액 축소(10~15만 원).
-
7. 결론
-
국민건강보험공단 또는 M건강보험 앱에서 월 평균 보험료 확인.
-
복지로에서 복지 자격 모의계산으로 취약계층 여부 점검.
-
6~7월 추경 확정 후 정부24,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공지사항 확인.
최종 지급 기준은 2차 추경(6~7월) 및 국회 논의 결과에 따라 확정되므로, 최신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2025년 6월 20일 금요일
블로그스팟(Blogger)에서 숏코드 사용 가능 여부
블로그스팟(Blogger)에서 숏코드 사용 가능 여부
숏코드는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의 삽입을 간단한 문법으로 손쉽게 수행하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shortcode]
형태로 글, 페이지, 위젯 등에 입력해 복잡한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코딩 없이도 다양한 고급 기능을 블로그에 손쉽게 추가할 수 있는 플랫폼 특유의 특징입니다.
1. 블로그 스팟의 공식 지원: 없음
-
워드프레스의 숏코드(ShortCode)는
[shortcode]
와 같은 특별한 문법으로 다양한 기능을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
블로그스팟(Blogger)에서는 워드프레스처럼 기본적으로 내장된 숏코드 기능이 공식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2. 대안적 방법
하지만, 비슷한 결과를 얻거나, 제한적으로 숏코드처럼 작동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템플릿(Template) 또는 플러그인 활용
-
일부 Blogger용 프리미엄 템플릿(예: Pro Blogger Templates, Piki Templates 등)에서는 자체적으로 숏코드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예시:
{alertSuccess}
또는{contactForm}
과 같은 형태로 포스트 본문에 특정 코드를 입력하면, 스타일이 적용된 요소(버튼, 알림창 등)로 출력됨. - 이 기능은 해당 템플릿의 설명서를 참고하여 설치 및 사용해야 하며, 기본 Blogger 기능이 아니라 템플릿 별 부가 기능입니다.
2) 자바스크립트 코드 활용
-
Blogger Shortcode Plugin과 같은 외부 JS를 추가하면 한정적으로
[shortcode]
스타일의 기능을 만들 수 있습니다.-
HTML 편집기에서
<script>
코드와 함께 구현해야 하므로 초보자에게 다소 어렵고, 완전한 워드프레스식 숏코드는 아닙니다.
-
3) HTML/JavaScript 위젯 사용
-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HTML/JS 위젯으로 직접 원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 <div>, <iframe>, <script> 등 HTML 코드 또는 임베디드 위젯을 직접 넣어 기능을 구현합니다.
- 이 방법은 각 포스트, 사이드바, 혹은 가젯 영역 등에 사용 가능합니다.
플랫폼 | 숏코드 공식 지원 | 방법 | 비고 |
---|---|---|---|
워드프레스 | O | [shortcode] |
기본 기능 |
블로그스팟 | X | 프리미엄 템플릿의 자체 숏코드, JS플러그인, HTML 직접코딩 | 추가작업/템플릿 필요 |
3. 숏코드 활용법 (템플릿에서 지원하는 경우)
-
템플릿에서 지원한다면, 해당 템플릿의 이용 가이드에 따라
{shortcode}
구문을 포스트/페이지 내에 입력합니다. -
예시:
- {alertSuccess} 성공적으로 저장되었습니다{/alertSuccess}
{getButton} $text=구매하기 $icon=cart $color=#28a745
-
적용 방법과 옵션은 각 템플릿 공식 문서를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
- 블로그스팟은 워드프레스처럼 '공식 숏코드' 기능은 없으나, 일부 템플릿이나 JS 플러그인에서 유사 기능을 제공합니다.
- 가장 간단한 방식은 HTML/위젯 활용 또는 숏코드 기능을 지원하는 블로그스팟 테마(템플릿) 구매 및 적용입니다.
- 숏코드 기능을 원한다면, 템플릿 설명서나 Blogger용 숏코드 플러그인 활용 방법을 참고하세요.
참고: 각 방식의 세부적인 구현이나 지원 여부는 사용하는 템플릿에 따라 크게 다르니, 반드시 템플릿 공식 가이드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