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1일 월요일

서브도메인(Subdomain)의 모든 것: 웹사이트 구조화의 핵심!

서브도메인(Subdomain)의 모든 것: 웹사이트 구조화의 핵심!

웹사이트 주소를 보다 보면 www.example.com, blog.example.com, shop.example.com 등 다양한 형태를 보셨을 겁니다. 여기서 www, blog, shop처럼 메인 도메인(example.com) 앞에 붙는 이름들을 바로 서브도메인(Subdomain)이라고 부릅니다. 기술적으로는 '하위 도메인'이라고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서브도메인'으로 더 많이 통용되죠.

그럼 이 서브도메인이 정확히 무엇이며, 왜 사용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설정하는지 그 모든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서브도메인(Subdomain)의 모든 것: 웹사이트 구조화의 핵심!

1. 서브도메인이란 무엇인가요?

서브도메인은 메인 도메인의 일부로, 기존 도메인 이름 앞에 추가적인 이름을 붙여 만드는 웹 주소입니다. 메인 도메인(yourdomain.com)을 큰 건물에 비유한다면, 서브도메인(blog.yourdomain.com 또는 shop.yourdomain.com)은 그 건물 안의 특정 '층'이나 '부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메인 도메인: example.com

  1. 서브도메인:
    • www.example.com (가장 흔한 형태)
    • blog.example.com (블로그 전용)
    • shop.example.com (쇼핑몰 전용)
    • support.example.com (고객 지원 페이지 전용)

서브도메인은 독립적인 웹사이트처럼 기능할 수 있으며, 고유의 콘텐츠와 기능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메인 도메인의 큰 틀 안에 속해 있어, 도메인 관리 측면에서 효율적입니다.


2. 왜 서브도메인을 사용하나요?

서브도메인은 웹사이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여러모로 유용합니다.

  1. 웹사이트 구조화 및 조직화:

    • 하나의 도메인 아래에 블로그, 쇼핑몰, 고객센터, 포트폴리오 등 서로 다른 성격의 콘텐츠를 깔끔하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는 주소만 보고도 해당 페이지의 성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직관적입니다. (blog.example.com은 블로그, shop.example.com은 쇼핑몰)

  2. SEO(검색 엔진 최적화) 이점:

    • 과거에는 서브도메인과 서브디렉토리(예: example.com/blog) 중 어느 것이 SEO에 더 유리한지에 대한 논쟁이 많았지만, 현재 구글을 비롯한 주요 검색 엔진은 서브도메인과 서브디렉토리를 거의 동일하게 취급합니다.
    • 중요한 것은 각 서브도메인이 독립적인 고품질 콘텐츠를 제공하고, 명확한 주제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특정 키워드나 주제에 특화된 서브도메인을 만들어 관련성 높은 트래픽을 유치할 수도 있습니다.

  • 별도의 플랫폼/서비스 연결:

    • 블로그스팟, 카페24, 쇼피파이, Zendesk 등 외부 서비스나 플랫폼을 내 도메인의 일부처럼 연결할 때 서브도메인을 주로 사용합니다.
    • 예를 들어, 워드프레스 메인 사이트는 yourdomain.com으로 운영하고, 블로그는 블로그스팟에 blog.yourdomain.com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1. 보안 및 관리 용이성:

    • 각 서브도메인마다 별도의 SSL 인증서나 특정 보안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메인 사이트에 문제가 생겨도 서브도메인은 영향을 받지 않거나, 반대로 서브도메인 문제가 메인 사이트로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서브도메인 설정 방법: CNAME 레코드를 활용!

서브도메인 설정의 핵심은 DNS(Domain Name System) 레코드를 올바르게 추가하는 것입니다. 대부분 CNAME 레코드를 사용하여 설정합니다.

1. 사용할 서브도메인 결정:

  • blog, shop, support 등 어떤 이름으로 서브도메인을 만들지 결정합니다.

2. DNS 관리 페이지 접속:

  • 도메인을 구매한 웹사이트(가비아, 호스팅케이알, 후이즈 등)에 로그인하여 'DNS 관리', '도메인 관리', '고급 DNS 설정'과 같은 메뉴를 찾아 들어갑니다.

3. CNAME 레코드 추가:

  1.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는 옵션에서 'CNAME'형을 선택합니다.

  2. 호스트(Host) / 이름(Name) / 별칭(Alias): 여기에 사용할 서브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 예: blog.yourdomain.com을 만들려면 blog만 입력
    • 예: www.yourdomain.com을 만들려면 www만 입력
  1. 값(Value) / 대상(Destination) / 데이터(Data): 서브도메인이 가리킬 목표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 주소는 연결하려는 서비스(블로그스팟, 쇼피파이 등)에서 제공합니다.

  •  예: 블로그스팟 연결 시 ghs.google.com 
  •  예: 쇼피파이 연결 시 shops.myshopify.com

TTL (Time To Live): 기본값을 유지하거나 짧게 설정합니다. (변경 사항 반영 시간)

    참고: 블로그스팟처럼 특정 서비스는 보안 강화를 위해 두 개 이상의 CNAME 레코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각 서비스의 안내에 따라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설정 저장 및 DNS 전파 대기:

  •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 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 DNS 변경 사항이 전 세계에 반영되는 데는 최소 1시간에서 최대 48시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시간 동안 서브도메인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니 기다려 주세요.

4. 서브도메인 활용 시 고려사항

  • 복잡성 증가: 서브도메인이 너무 많아지면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꼭 필요한 경우에만 서브도메인을 사용하세요.
  • SSL 인증서: 각 서브도메인에 맞는 SSL 인증서(HTTPS) 설정이 필요한지 확인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요즘은 와일드카드 SSL이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SSL을 통해 쉽게 적용 가능합니다.)
  • SEO 전략: 서브도메인으로 나눌 것인지, 아니면 서브디렉토리(/blog 형태)로 통합할 것인지는 SEO 전략과 웹사이트 구조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서브도메인은 웹사이트를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보이게 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웹사이트 운영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0 Comment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