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3일 수요일

한글 폰트의 모든 것 – 폰트 종류부터 활용법, 주의사항까지

한글 폰트의 모든 것 – 폰트 종류부터 활용법, 주의사항까지

폰트란 무엇인가?

폰트(Font)는 한글 또는 영문 등 '문자'의 생김새와 스타일을 전반적으로 일컫는 말입니다. 인쇄·디지털 등 모든 글자가 표현되는 매체에서 글의 '느낌'과 '정보 전달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한글 폰트의 모든 것 – 폰트 종류부터 활용법, 주의사항까지

한글 폰트의 주요 분류

명조체

전통적인 서체로, 가로획은 가늘고 세로획은 두꺼운 특징이 있습니다. 신문, 책, 논문 등 '딱딱하고 정제된 느낌'에 자주 쓰입니다.

고딕체

획의 굵기가 일정하여 모던하고 심플한 인상을 줍니다. 웹사이트·프레젠테이션·UI 등 널리 쓰이는 기본 폰트입니다.

손글씨체(필기체)

실제 사람의 손글씨를 디지털화한 스타일로, 따뜻하고 친근한 느낌의 콘텐츠(블로그, SNS, 안내문 등)에 많이 활용됩니다.

장식체/캘리그라피

예술적이고 독특한 디자인의 폰트로, 포스터·간판·로고 및 특별한 느낌을 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인기 한글 폰트 종류 예시

서체명특징(느낌)제공처라이선스
나눔고딕, 나눔명조기본형, 깨끗함네이버무료/오픈
배민체, 배민한나체귀엽고 유쾌함배달의민족무료/상업 사용 일부 제한
카페24 고운밤, 고운밤체감성적, 손글씨풍카페24무료/오픈
윈디라벤더체감성적, 부드러움윈디폰트무료(비상업)
산돌네오고딕, 산돌체균형감, 현대적산돌구름유료

한글 폰트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

라이선스 확인은 필수

무료, 오픈소스, 상업적 이용 가능 여부를 꼼꼼히 파악하세요. 상업적 활용(유튜브 썸네일, 로고, 인쇄물 등)에는 별도의 사용허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폰트 사용은 피하기

한 콘텐츠에 너무 다양한 폰트를 섞으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정보전달에 방해가 됩니다. 2~3개 스타일 이내로 유지하세요.

폰트 크기, 줄간격(line-height) 꼭 맞추기

같은 폰트라도 사이즈와 줄간격에 따라 느낌이 다릅니다. 웹이나 출력 매체별로 최적화된 크기를 사용하면 읽기 좋습니다.

웹/문서/모바일 별로 폰트 호환성 고려

일부 폰트는 특정 운영체제나 브라우저에서 깨질 수 있으니, 대체폰트 설정(font-family)까지 챙기면 안정적입니다.

폰트 임베딩(포함) 또는 파일 연결

배포용 문서(PDF 등)는 폰트 파일을 포함(embed)시키거나 PDF로 변환해 공유해야 깨진 글자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폰트 적용 실전 팁

  • 가장 읽기 편한 크기는 16~18px(웹), 인쇄물은 10~12pt를 권장합니다.
  • 제목, 본문, 인용문 등 '용도별'로 각기 다른 계열(예: 제목=고딕, 본문=명조)을 쓰면 정돈된 느낌을 줍니다.
  • 블로그·SNS용엔 손글씨체, 공공기관·회사 문서엔 명조·고딕계열이 안전합니다.
  • 디자인툴·워드프로그램에 폰트가 없다면, 폰트파일(.ttf/.otf)을 OS에 설치 또는 웹폰트(cdn)방식 활용이 가능합니다.

폰트 다운로드와 추천 사이트

네이버 font(naver.com/font), 배달의민족 폰트(woowahan.com), 산돌구름(sandollcloud.com), 카페24 (cafe24.com), Google Fonts 등이 대표적입니다. 다운로드 전 사용범위(상업적/비상업적/개인)에 맞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마무리 – 한글 폰트로 달라지는 콘텐츠 경쟁력

한글 폰트만 바꿔도 내 콘텐츠의 '개성'과 '전달력'이 확연히 달라집니다. 올바른 폰트 선택과 라이선스 준수, 기본적인 사용법만 챙겨도 읽고 싶은 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글에 생명을 불어넣는 한글 폰트, 내게도 맞는 스타일을 한 번 찾아 바꿔보세요!프로필 사진

처음으로
 

0 Comment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