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애드센스신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애드센스신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티스토리 애드센스 신청을 위한 설정 가이드 (2025년 9월2일 기준)

티스토리 애드센스 신청을 위한 설정 가이드 (2025년 9월2일 기준)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며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면, 블로그의 기본 설정부터 광고 정책 준수까지 체계적인 준비가 필수입니다. 2025년 현재, 티스토리는 카카오의 운영 정책 변화로 자체 광고 도입과 애드센스 제한(앵커 광고, 오퍼월 광고, 모바일 전면 광고 금지)이 강화되었습니다.
티스토리 애드센스 신청을 위한 설정 가이드

이로 인해 블로그 접근 제한 등의 제재 위험이 커졌으니, 반드시 정책을 준수하세요. 아래는 반응형 스킨 설정부터 애드센스 신청, 광고 정책 준수까지의 전체 과정입니다.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블로그 기본 설정: 반응형 스킨 적용부터 시작하기

티스토리 블로그는 모바일 트래픽이 60% 이상을 차지하므로, 반응형 스킨(Responsive Web Design)이 필수입니다. 구글 애드센스 정책에서도 모바일 친화적 사이트를 강조하며, 비반응형 스킨은 승인 거절이나 검색 노출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스킨은 PC/모바일 화면에 자동으로 최적화되어 광고 노출과 사용자 경험을 높입니다.

반응형 스킨 선택 및 적용 단계:

  1.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접속: 블로그 주소 뒤에 /manage를 붙여 접속 (예: yourblog.tistory.com/manage).
  2. 스킨 변경 메뉴 이동: 왼쪽 메뉴에서 [꾸미기] > [스킨 변경] 클릭.
  3. 반응형 스킨 선택:
    • 기본 제공 스킨 중 반응형: #1, #2, Poster, Whatever, Letter, Portfolio, Magazine 등 16개 이상 추천. (초보자라면 #1 또는 #2가 심플하고 가벼워 좋음.)
    • 무료 배포 스킨: FastBoot, CCZ-CROSS, 베이스캠프(Basecamp), 리눅스킨(LinuXkin) 등. GitHub에서 다운로드 가능 (예: https://github.com/ruden91/public-basecamp-skin).
    • 추천 기준: 로딩 속도 빠름 (페이지 로드 3초 이내), 모바일 최적화, 애드센스 광고 공간 여유 있음. 유료 스킨(JB Factory 등)은 기능이 많지만 초보자에겐 과부하될 수 있음.
  4. 스킨 적용 및 미리보기: 선택한 스킨의 [미리보기] > [적용] 클릭. PC/모바일 화면에서 테스트.
  5. 모바일 설정 필수 조치: [꾸미기] > [모바일] > "티스토리 모바일웹 자동 연결"을 사용하지 않습니다로 설정. (반응형 스킨 사용 시 모바일 기본 스킨이 오버라이드되어 깨질 수 있음. 이 설정으로 모바일 주소(m. 블로그)가 검색 결과에서 사라지고, 반응형 스킨이 적용됨.)

반응형 스킨의 장단점 (테이블로 비교)

항목 정점 단점
사용 편의성 PC/모바일 자동 최적화, 애드센스 광고 자동 조정 (예: 모바일에서 광고 크기 축소) 초기 설정 시 CSS 수정 필요 (초보자 어려움)
SEO/수익 영향 구글 모바일 우선 인덱싱에 유리, 트래픽 증가 (모바일 70% 이상) 비반응형 스킨 사용 시 애드센스 승인 거절 가능성 ↑
추천 스킨 #1 (심플, 1단형), FastBoot (2단형, 무료), 베이스캠프 (미니멀리즘) 로딩 느린 스킨 사용 시 페이지 속도 저하 → 이탈률 ↑

팁: 스킨 변경 후 구글 서치 콘솔(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에서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 반응형 스킨 적용 시 애드센스 승인률 20-30% 향상.

2. 애드센스 신청 및 승인 준비

애드센스 신청은 구글 계정으로 시작하며, 티스토리와 연동이 쉽습니다. 2025년 기준, 승인 심사 기간은 2-4주지만, 콘텐츠 20-30개 이상 준비 시 1주 이내 가능. 
승인 조건: 양질 콘텐츠(중복 없음), 정책 준수, 트래픽(하루 100회 이상 추천).

신청 단계 (티스토리 기준):

  1.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 접속: https://adsense.google.com/intl/ko_kr/start/ > [시작하기] > 구글 계정 로그인.
  2. 개인 정보 입력: 이름, 주소(실거주지 정확히, PIN 우편 수령용), 연령(18세 이상) 입력 > 제출.
  3. 사이트 추가: [사이트] > [+ 사이트 추가] > 티스토리 블로그 URL 입력 (https://yourblog.tistory.com) > 저장.
  4. 코드 복사 및 티스토리 적용:
    • 애드센스에서 자동 광고 코드 생성 (광고 > [코드 가져오기]).
    • 티스토리 관리자 > [꾸미기] > [스킨 편집] > [HTML 편집] > <head> 바로 아래에 코드 붙여넣기 > [적용].
  5. 티스토리 연동: 티스토리 관리자 > [수익] > [구글 애드센스 연동하기] > 구글 계정 로그인 > "애드센스 데이터 보기와 관리" 체크 > [계속].
  6. 검토 요청: 애드센스 > [사이트] > 티스토리 URL > [검토 요청]. (CMP: Google 인증 CMP 채택 선택.)
  7. 승인 확인: 애드센스 > [사이트]에서 상태 확인 (승인됨/검토 중/승인되지 않음). 이메일 알림도 받음.

승인 팁 (2025년 기준):

  • 콘텐츠: 20개 이상, 1,000자 이상 원본 글 (AI 생성 콘텐츠 금지, 중복 10% 이내).
  • 트래픽: 구글 서치 콘솔 등록 후 색인 요청 (sitemap.xml 제출).
  • 정책 준수: 아래 3절 참조. 승인 거절 시 이유(콘텐츠 부족 등) 확인 후 재신청 (1-2주 대기).
  • 평균 소요시간: 7-14일 (하루 만 승인 사례: 콘텐츠 30개 이상, 트래픽 500회 이상).

여러 블로그 추가 방법: 기존 애드센스 계정 > [사이트] > [+ 사이트 추가] > 새 티스토리 URL 입력 > 코드 적용 > 검토 요청. (1계정당 최대 500 사이트 가능, 하지만 정책 위반 시 전체 정지 위험.)

3. 티스토리 정책에 따른 광고 설정 (애드센스 + 자체 광고 준수)

2025년 티스토리 정책은 애드센스 제한 강화와 자체 광고 도입으로 변화했습니다. 위반 시 블로그 접근 제한, 수익 정지 발생. '응원하기' 기능은 2025년 5월 28일 종료 (기존 후원금은 익월 정산).

주요 정책 및 준수 방법 (테이블로 정리)

정책 항목 내용 및 제한사항 준수 방법 및 팁
앵커/어퍼워/전면 광고금지(25.6.1~)

티 자체광고(23.6.27~)
화면 고정(앵커), 콘텐츠 전 강제 시청(오퍼월), 모바일 전면 광고 금지. 가독성 저해로 이탈률 ↑. 애드센스 > [광고] > [자동 광고] > 해당 옵션 OFF. HTML 스크립트 직접 삭제. 고객센터 확인 요청. 위반 시 7일 접근 제한.
수익형 블로그 본문 상/하단 랜덤 노출 (1개). 애드센스와 공존, 수익은 티스토리 활용 (블로거 수익 없음). 수익 메뉴에서 광고 연동 확인. 미노출 원할 시 수익 플러그인 해제. 연속 광고 시 가독성 저하 주의.
광고 차단 회복 애드블록 사용자에게 광고 허용 요청 메시지 표시 가능. 애드센스 > [개인정보 보호 및 메시지] > [광고 차단 회복] > 메시지 생성 > `<head>에 코드삽입.(수익10~20%증가 가능,하지만 이탈률up 주의)`에 코드 삽입. (수익 10-20% 증가 가능, 하지만 이탈률 ↑ 주의.)
저단가 광고 차단 0.01달러 미만 광고(예: Adobe NA) 차단으로 RPM(1,000회 노출당 수익) 향상. 애드센스 > [보고서] > [노출 RPM] 확인 > [브랜드 안전성] > [차단 관리] > 네트워크 검색 > 차단.
전체 정책 준수 콘텐츠 원본성, HTTPS 적용, 페이지 속도 3초 이내. AI 콘텐츠 과다 시 제한. 구글 서치 콘솔 등록,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 티스토리 고객센터 문의로 규제 해제.

광고 설정 최적화 팁:

  • 자동 광고: 애드센스 > [광고] > [자동 광고] ON (인페이지 광고만, 빈도 '보통 이하').
  • 위치: 본문 중간/하단, 사이드바 (티스토리 자체 광고와 겹치지 않게).
  • 2025 변화: CPM(노출 기반) 비중 ↑, CPC(클릭 기반) ↓. 콘텐츠 품질로 RPM 높임.
  • 위반 시 대응: 고객센터 문의 (https://help.tistory.com) > "정책 준수 확인 요청" 제출 > 검토 후 해제 (1-3일 소요).

4. 추가 팁: 수익 최적화와 주의사항

  • 수익 기대치: 초보자 월 10-50만 원 (콘텐츠 100개 이상, 트래픽 1만 회 기준). 2025년 정책으로 애드센스 수익 10-20% ↓ 예상, 하지만 자체 광고로 트래픽 안정화.
  • 위험 관리: 정책 위반 시 계정 영구 정지 가능. 백업: 워드프레스 이전 고려 (플러그인 자유로움).
  • 트래픽 증가: 구글 서치 콘솔/네이버 웹마스터 등록, 키워드 최적화 (롱테일 키워드 사용).
  • 2025 트렌드: AI 콘텐츠 금지 강화, 모바일 최적화 필수. 응원하기 종료로 대체 후원(카카오페이 등) 도입.

이 가이드를 따라 설정하면 애드센스 승인과 안정적 수익화가 가능합니다. 정책 변화가 잦으니 티스토리 공지애드센스 도움말을 정기 확인하세요. 

언제나 가나투데이는 함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