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lerlite 자동화 워크플로우 구성 가이드 (스크린샷 예시 흐름)-step2
📷 Mailerlite 자동화 워크플로우 구성 가이드 (스크린샷 예시 흐름)
각 단계는 Mailerlite 대시보드 내 Automations 메뉴에서 진행됩니다.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예시 화면 흐름도 설명할게요.
1. Automations 메뉴 진입 및 새 워크플로우 생성
-
Mailerlite 대시보드 좌측 메뉴에서 Automations 선택
-
화면 상단 또는 중앙에 “Create workflow” 버튼 클릭
-
워크플로우 이름 입력 (예: “Welcome Sequence”)
-
워크플로우 트리거(trigger) 선택 화면 진입
Mailerlite에서 워크플로우는 구독자가 어떤 액션을 했을 때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일련의 흐름입니다.
2. 트리거 설정
트리거는 워크플로우의 시작 조건입니다. 주로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Joins a group: 특정 그룹에 신규 구독자가 가입할 때
-
Completes a form: 특정 폼(Embedded 또는 Landing Form)을 제출할 때
예를 들어, 구독 폼 제출 → Completes a form을 트리거로 지정한다면,
해당 폼을 통해 가입한 구독자는 자동으로 워크플로우 시작 조건을 만족하게 됩니다.
트리거 설정 후 “Save”를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3. 워크플로우 흐름 설계 (드래그 & 드롭 방식)
자동화 에디터 화면에서는 아래와 같은 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Delay: 일정 시간(예: 1일, 2일) 기다리기
-
Condition: 조건 분기 (예: 구독자 필드 값 또는 그룹 멤버 여부)
-
Send email: 자동 이메일 발송 스텝
-
Action, Webhook, A/B split 등 기타 흐름 제어 요소
예시 워크플로우 흐름:
-
Trigger: 구독 폼 제출
-
Delay: 1일 대기
-
Send email: 환영 및 eBook 링크
-
Delay: 2일 대기
-
Condition: 이메일 오픈 여부 →
– 조건 만족 (오픈했으면) → 다음 이메일
– 조건 불만족 → 리마인드 이메일 -
Send email: 콘텐츠 또는 제안 이메일
-
종료 또는 추가 분기
각 스텝은 드래그 & 드롭 방식으로 배치하며, 각 스텝의 세부 설정을 우측 패널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4. 이메일 스텝 세부 설정
각 Send email 스텝을 추가하면 아래 항목을 설정합니다:
-
이메일 제목(subject)
-
발신자 이름 / 발신 이메일
-
이메일 디자인: 에디터 열기 → 템플릿 선택 → 디자인 입력
-
개인화 태그 삽입 (예:
{{ first_name }}) -
모바일/데스크탑 미리보기
이메일 디자인이 완료되면 “Done editing” 또는 “Save” 버튼을 눌러 워크플로우로 돌아갑니다.
5. 조건 분기 / 딜레이 / 기타 제어 설정
-
조건 분기(Condition)는 이전 이메일 행동(오픈, 클릭 등)이나 구독자 속성(예: 지역, 태그 등)에 따라 분기
-
분기 뒤에 각각 다른 흐름을 배치할 수 있으며,
– 예: 오픈 안 한 그룹에는 리마인드 메일
– 행동한 그룹에는 상품 제안 메일 -
A/B 테스트 기능을 활용해 이메일 제목, 콘텐츠 등을 분기 테스트 가능
6. 워크플로우 활성화 (Activate)
모든 흐름 설정이 완료되면 워크플로우 우측 상단의 “Activate” 버튼을 눌러 자동화 시작.
활성화되면 이 워크플로우는 새로운 구독자에게 자동 실행됩니다.
7. 구독자 흐름 및 성과 파악
-
Automation 페이지에서 Activity 탭을 확인하면 각 구독자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볼 수 있음
-
열린 이메일 수, 클릭 수, 취소(구독 해지) 수 등의 지표 확인
-
워크플로우 성능 개선을 위해 오픈율, 클릭율, 전환율 지표 분석
-
필요 시 워크플로우 일시 중지(Pause) → 수정 후 재활성화 가능
📷 (스크린샷 예시 흐름 요약)
- Automations > Create workflow 화면
- Trigger 선택 (Completes a form / Joins group)
- 드래그 방식으로 Delay → Send Email → Condition 구성 화면
- 이메일 디자인 화면 (제목 입력 / 본문 편집)
- Workflow 활성화 버튼
- Activity 탭에서 구독자 흐름 확인 화면
이렇게 Mailerlite에서 Embedded Form 제출을 트리거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설정하고,
이메일 시퀀스를 설계하여 구독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는 구조가 완성됩니다.
Mailerlite & ConvertKit으로 만드는 구독자 수익 구조(1단계-2단계)
✉️Mailerlite & ConvertKit으로 만드는 구독자 수익 구조(1,2단계)
“SNS 알고리즘 없이도, 자동으로 수익을 만드는 시스템 구축하기”
✅ 1. 왜 이메일 리스트가 핵심인가?
이메일 리스트는 비즈니스의 가장 강력한 자산입니다.
팔로워는 플랫폼이 바뀌면 사라지지만, 이메일 구독자는 직접 보유한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 인스타그램 팔로워 1만 → 도달률 2~5%
- 이메일 구독자 1,000명 → 오픈율 평균 30~50%, 클릭률 10% 이상
즉, 1,000명만 모아도 매달 고정 수익을 만들 수 있는 구조가 됩니다.
✅ 2. 어떤 툴을 써야 할까? (Mailerlite vs ConvertKit 비교)
| 항목 | Mailerlite | ConvertKit |
|---|---|---|
| 가격 | 무료 1,000명까지 (자동화 포함) | 무료 1,000명까지 (자동화 일부 제한) |
| 자동화 기능 | 시각적 워크플로우 강력 | 조건 분기 + 태그 중심 자동화 |
| 추천 대상 | 입문자 / eBook 판매 / 뉴스레터 | 강의, 디지털 상품, 창작자용 |
| 단점 | 고급 세분화는 제한적 | UI 직관성 떨어짐, 고급기능은 유료 |
🎯 개인적으로는 Mailerlite로 시작 → ConvertKit로 확장을 추천합니다.
📥 실전 구현 시작
이제부터 Mailerlite를 기준으로 구독자 수집부터 자동화 시퀀스 구성까지의 전체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 Step 1. 구독 폼 만들기 & 블로그에 설치
1. Mailerlite 가입 후 대시보드 > Forms > Embedded forms 선택
→ 구독 폼 생성
2. 폼 제목 예시:
- “매주 월요일, 마케팅 전략 뉴스레터 받기”
- “구독하면 무료 eBook + 5일 마케팅 자동화 메일 받기”
3. 필수 설정:
- 이름 + 이메일
- GDPR 체크박스 (유럽 대상일 경우)
- 자동 태그 추가 (예:
newsletter-subscriber)
4. 블로그 설치 위치:
- 모든 포스트 하단
- 팝업 or 사이드바
- Notion 웹사이트에도 스크립트 삽입 가능
🔄 Step 2. 자동화 시퀀스 만들기 (워크플로우 기반)
1. 메뉴: Automation > Create Workflow
2. 트리거 설정:
-
When subscriber joins group: newsletter-subscriber
3. 자동 이메일 흐름 예시:
| 순서 | 메일 제목 | 내용 요약 |
|---|---|---|
| 1일차 | 환영합니다! 🎉 | 브랜드 소개 + eBook 다운로드 링크 |
| 3일차 | 무료로 더 드릴게요! | 유용한 도구 리스트, 신뢰 구축 |
| 5일차 | 이런 콘텐츠 좋아하시나요? | 블로그 인기 콘텐츠 링크 공유 |
| 7일차 | 특별 할인, 구독자 한정 🎁 | 유료 상품 20% 할인 or 한정 세일 제안 |
| 10일차 | 후기 + 다음 단계 제안 | 기존 고객 후기 → 고가 상품 유도 CTA |
4. 세부 팁:
- 메일 안에 CTA 버튼은 클릭 추적 가능 (무응답자는 리마인드 메일 전송 가능)
- 시퀀스별 열람율/클릭률 추적 가능
- 리드 스코어링 기능으로 구매 가능성 높은 구독자만 필터링 가능 (ConvertKit 추천)
여기까지가 구독자 수집부터 첫 수익 유도까지의 1차/2차 구조입니다.
이메일 자동화 도구(+Mailerlite 구독 폼 만드는 과정 (Embedded Form 생성))
✍️이메일 자동화 도구(Mailerlite, ConvertKit)를 활용한 구독자 기반 수익화 전략
Mailerlite 구독 폼 만드는 과정 (Embedded Form 생성)
이 가이드는 Mailerlite 웹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실제 레이아웃은 버전이나 요금제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1. Mailerlite 로그인 & 대시보드 진입
-
Mailerlite 계정으로 로그인
-
좌측 메뉴에서 Forms 탭 선택
2. Embedded forms 메뉴 선택
-
Forms 메뉴 하위에 여러 옵션 있는데, Embedded forms 또는 Embedded 항목 선택
-
이 옵션은 “웹사이트에 삽입할 수 있는 코드 기반 폼”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3. 새 폼 생성 (Create embedded form)
-
“Create embedded form” 또는 “Create Form” 버튼 클릭
-
폼 이름 입력: 예)
newsletter_signup -
리스트(Subscriber List) 선택: 이 폼을 통해 구독자가 저장될 리스트 선택
-
태그 또는 그룹 연결: 예)
newsletter-subscriber태그 자동 부여
4. 폼 디자인 및 필드 구성
-
기본 필드들: 이메일, 이름
-
필요 시 추가 필드: 예) 관심사, 지역 등
-
체크박스 필드: GDPR 동의, 뉴스레터 수신 동의 등
-
필드 레이블 및 placeholder 설정
-
버튼 텍스트: 예) “구독하기”, “지금 받기” 등
-
스타일 설정: 배경색, 글꼴, 버튼 색상 등
-
반응형 디자인 옵션: 모바일/데스크탑 대응 여부
5. 설정 완료 및 코드 복사
-
디자인 및 필드 확인 후 “Save & get code” 또는 “Embed” 버튼 클릭
-
복제 가능한 코드(HTML + JavaScript)가 제공됨
-
보통
<script>태그 또는<div>태그 형태의 코드 조합 -
예시 코드 형태:
<div id="mlb2-abcde"></div> <script> var ml_webform_abcde = ml_webform_abcde || { uuid: "xyz123", lid: "7890", form: { settings: { ... } } }; </script> <script src="https://static.mailerlite.com/webforms/selector.js"></script>
6. 폼 코드 웹사이트 삽입
-
복사한 코드를 블로그, 웹사이트, 노션 등에 삽입
-
삽입 위치 예:
-
블로그 포스트 하단
-
사이드바 위젯
-
팝업
-
Notion 페이지 (HTML 지원 시)
-
-
삽입 후 실제 폼이 사이트에 표시되는지 확인 (미리보기나 실제 접속 확인)
✅ 완료되면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기
이제 폼이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구독자가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으면,
다음 단계는 이 폼에 응답한 구독자를 대상으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즉, "누가 폼에 입력했을 때 어떤 이메일 흐름이 자동으로 발송될 것인가"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단계가 됩니다.
Mailerlite & ConvertKit 자동화 워크플로우 구성 가이드(+구독자수익구조 만들기)
✉️Mailerlite & ConvertKit 자동화 워크플로우 구성 가이드(+구독자수익구조 만들기)
“SNS 알고리즘 없이도, 자동으로 수익을 만드는 시스템 구축하기”
✅ 1. 왜 이메일 리스트가 핵심인가?
이메일 리스트는 비즈니스의 가장 강력한 자산입니다.
팔로워는 플랫폼이 바뀌면 사라지지만, 이메일 구독자는 직접 보유한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
인스타그램 팔로워 1만 → 도달률 2~5%
-
이메일 구독자 1,000명 → 오픈율 평균 30~50%, 클릭률 10% 이상
즉, 1,000명만 모아도 매달 고정 수익을 만들 수 있는 구조가 됩니다.
✅ 2. 어떤 툴을 써야 할까? (Mailerlite vs ConvertKit 비교)
| 항목 | Mailerlite | ConvertKit |
|---|---|---|
| 가격 | 무료 1,000명까지 (자동화 포함) | 무료 1,000명까지 (자동화 일부 제한) |
| 자동화 기능 | 시각적 워크플로우 강력 | 조건 분기 + 태그 중심 자동화 |
| 추천 대상 | 입문자 / eBook 판매 / 뉴스레터 | 강의, 디지털 상품, 창작자용 |
| 단점 | 고급 세분화는 제한적 | UI 직관성 떨어짐, 고급기능은 유료 |
🎯 개인적으로는 Mailerlite로 시작 → ConvertKit로 확장을 추천합니다.
📥 실전 구현 시작
이제부터 Mailerlite를 기준으로 구독자 수집부터 자동화 시퀀스 구성까지의 전체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 Step 1. 구독 폼 만들기 & 블로그에 설치
① Mailerlite 가입 및 로그인
-
이메일 계정으로 가입 또는 로그인
-
가입 후, 구독자 리스트(Group)를 먼저 하나 생성
-
이름 예시:
Newsletter Subscribers -
이 리스트는 나중에 폼과 자동화 이메일의 기준이 됩니다.
-
② 구독 폼(Embedded Form) 생성
이 가이드는 Mailerlite 웹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실제 레이아웃은 버전이나 요금제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1. Mailerlite 로그인 & 대시보드 진입
-
Mailerlite 계정으로 로그인
-
좌측 메뉴에서 Forms 탭 선택
2. Embedded forms 메뉴 선택
-
Forms 메뉴 하위에 여러 옵션 있는데, Embedded forms 또는 Embedded 항목 선택
-
이 옵션은 “웹사이트에 삽입할 수 있는 코드 기반 폼”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3. 새 폼 생성 (Create embedded form)
-
“Create embedded form” 또는 “Create Form” 버튼 클릭
-
폼 이름 입력: 예)
newsletter_signup -
리스트(Subscriber List) 선택: 이 폼을 통해 구독자가 저장될 리스트 선택
-
태그 또는 그룹 연결: 예)
newsletter-subscriber태그 자동 부여
4. 폼 디자인 및 필드 구성
-
기본 필드들: 이메일, 이름
-
필요 시 추가 필드: 예) 관심사, 지역 등
-
체크박스 필드: GDPR 동의, 뉴스레터 수신 동의 등
-
필드 레이블 및 placeholder 설정
-
버튼 텍스트: 예) “구독하기”, “지금 받기” 등
-
스타일 설정: 배경색, 글꼴, 버튼 색상 등
-
반응형 디자인 옵션: 모바일/데스크탑 대응 여부
5. 설정 완료 및 코드 복사
-
디자인 및 필드 확인 후 “Save & get code” 또는 “Embed” 버튼 클릭
-
복제 가능한 코드(HTML + JavaScript)가 제공됨
-
보통
<script>태그 또는<div>태그 형태의 코드 조합 -
예시 코드 형태:
<div id="mlb2-abcde"></div> <script> var ml_webform_abcde = ml_webform_abcde || { uuid: "xyz123", lid: "7890", form: { settings: { ... } } }; </script> <script src="https://static.mailerlite.com/webforms/selector.js"></script>
6. 폼 코드 웹사이트 삽입
-
복사한 코드를 블로그, 웹사이트, 노션 등에 삽입
-
삽입 위치 예:
-
블로그 포스트 하단
-
사이드바 위젯
-
팝업
-
Notion 페이지 (HTML 지원 시)
-
-
삽입 후 실제 폼이 사이트에 표시되는지 확인 (미리보기나 실제 접속 확인)
✅ 완료되면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기
이제 폼이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구독자가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으면,
다음 단계는 이 폼에 응답한 구독자를 대상으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즉, "누가 폼에 입력했을 때 어떤 이메일 흐름이 자동으로 발송될 것인가"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단계가 됩니다.
📌 폼 정보 입력
-
폼 이름:
Monday Marketing Letter -
연결 그룹:
Newsletter Subscribers선택
📌 폼 문구 예시
-
제목(헤드라인):
“매주 월요일, 마케팅 전략 뉴스레터 받기”
-
서브텍스트:
“지금 구독하면 무료 eBook + 5일 마케팅 자동화 메일 받기”
(콘텐츠 마그넷 형태)
✅ ③ 필드 구성 및 설정
-
필수 필드 추가
-
이메일 (기본 제공)
-
이름 (옵션 추가 가능)
-
GDPR 체크박스:
-
문구 예:
[ ] 본인은 뉴스레터 수신에 동의합니다. (GDPR)
-
-
-
자동 태그 또는 그룹 추가 설정
-
구독 시 자동으로
newsletter-subscriber태그 부여 -
추후 자동화 시퀀스 트리거로 활용 가능
-
-
버튼 텍스트 변경
-
예: “지금 구독하기”, “무료 자료 받기”
-
-
스타일 커스터마이징
-
색상, 테두리, 폰트 등 디자인 조정
-
폼 사이즈: 가로 폭은 블로그 폭에 맞게 반응형 추천
-
✅ ④ 폼 저장 및 HTML 코드 복사
-
우측 상단 또는 하단의 “Next” / “Save & get code” 클릭
-
생성된 코드 (스크립트 + DIV) 복사 예:
<!-- Begin MailerLite Signup Form -->
<div class="ml-form-embed" data-account="123456" data-form="7890"></div>
<script src="https://static.mailerlite.com/js/w/webforms.min.js?v1234"></script>
<!-- End MailerLite Signup Form -->
✅ ⑤ 블로그 및 사이트에 폼 설치
🔻 설치 위치 제안
-
모든 블로그 포스트 하단
-
WordPress:
footer.php또는 개별 포스트 템플릿 -
티스토리: HTML 위젯 추가
-
-
사이드바 위젯
-
HTML 위젯에 위 코드 삽입
-
-
팝업 형태로 사용 (Mailerlite 팝업 폼 이용 가능)
-
Notion 웹사이트
-
Notion에서 직접 HTML 삽입 불가하므로,
-
Cloudflare Pages, Super.so 등 외부 호스팅을 통해 삽입
-
✅ ⑥ 구독 테스트
-
블로그/사이트에서 폼 노출 확인
-
본인 이메일로 구독 테스트 → Mailerlite > Subscriber 탭에서 접수 확인
-
자동 태그(
newsletter-subscriber)도 함께 부여됐는지 확인
🎯 Step 1 결과
-
구독 폼이 블로그에 설치되어
-
구독자가 들어오면 Mailerlite 그룹 + 태그에 자동 등록되고
-
다음 단계인 자동화 이메일 시퀀스로 연결 가능해짐
SNS를 활용한 개인 브랜드 수익화 루트 5가지(+정보성콘텐츠, 팔로워, 파트너스, 광고수익, 툴킷)
📱 SNS를 활용한 개인 브랜드 수익화 루트 5가지
팔로워보다 중요한 건 ‘신뢰와 구조’입니다
✅ 왜 SNS가 수익화에 유리한가?
-
사용자와 실시간 연결 → 즉각적인 반응과 유입
-
신뢰 기반 → 전환율이 높음
-
무료 플랫폼 → 초기비용 0원
-
다양한 포맷 활용 → 이미지, 영상, 글, 릴스, 쇼츠 등
✅ 수익화를 위한 전제: 팔기 전에 쌓아야 할 것들
✅ SNS 개인 브랜드 수익화 루트 5가지
1. 정보성 콘텐츠 → 전자책 판매
- 예: “블로그 키우는 법”, “30일 루틴 정리” 등
- PDF 제작 → 스마트스토어 or 링크 판매
- 노션 + 인스타 스토리 연결 → 전환율 UP
2. 팔로워 대상 미니 클래스 운영
-
구독자 1,000명 이하도 가능
-
줌, 구글 미트 등으로 실시간 진행
-
주제: 생산성, 글쓰기, 콘텐츠 기획 등 실용형
3. 파트너스 마케팅 (링크 수익)
- 쿠팡파트너스, 인스타그램 스토리 링크 활용
- 사용 후기, 추천 제품 콘텐츠에 자연스럽게 삽입
- 틈새 아이템일수록 클릭률 높음
- 블로그 포스팅에 넣기: 예, 아래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으로, 블로그제작에 도움을 제공합니다.
4. 디지털 템플릿·툴킷 판매
-
플래너, 콘텐츠 캘린더, SNS 운영 툴
-
Canva, Notion, Excel 등으로 제작
-
감성 디자인 + 실용성 = 고부가가치 상품
5. 협업 제안/광고 수익
- DM 기반 소규모 협업(소상공인, 브랜드 등)
- 릴스 or 피드 콘텐츠에 브랜드 태그 + 콘텐츠 제작
- 팔로워 수보다 계정 신뢰도 + 콘텐츠 퀄리티가 중요
💬 결론: 팔로워 수보다 중요한 건 ‘브랜드의 신뢰력’
✔ 누군가에게 꾸준히 도움을 주는 계정✔ 하나의 주제에 집중해 콘텐츠를 만드는 계정✔ 판매보다는 연결을 만드는 계정
이런 계정은 적은 팔로워로도 강력한 전환력을 가진 수익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해시태그
#SNS수익화 #개인브랜드 #1인브랜드 #인스타마케팅 #콘텐츠수익 #전자책판매 #파트너스마케팅 #디지털템플릿 #협업제안 #수익파이프라인
감사합니다. 가나투데이였습니다. #ganatoday #가나 투데이
규제 비켜간 지역은? 비규제지역 투자 포인트 정리(+규제는 기회로, 구도정리)
규제 비켜간 지역은? 비규제지역 투자 포인트 정리
🧭 1. 규제는 기회를 옮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집중된 지금,
시장은 규제를 피해 흘러갑니다.
서울과 경기 핵심지역이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비규제지역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규제만 없다고 해서 모든 비규제지역이 기회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은 풍선효과 가능성과 실거주 수요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지역을 선별해야 합니다.
이번 보너스편에서는 현재 규제를 비켜간 주요 지역과, 그 지역에서 어떤 전략으로 접근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 2. 규제지역과 비규제지역 구도 정리
2025년 10월 대책 이후,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일제히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사실상 수도권 핵심 대부분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에 포함되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일부 지역을 규제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이들은 가격 안정세, 거래량 감소, 공급 여유 등을 이유로 정책적 사각지대에 남아 있으며,
풍선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도 분류됩니다.
✅ 규제지역 vs 비규제지역 주요 비교
| 항목 | 규제지역 (서울·경기 12곳 등) | 비규제지역 |
|---|---|---|
| 주택담보대출 LTV | 40% (무주택 기준) | 최대 70% 가능 |
| 전세대출 제한 | 있음 (1주택자 2억 한도 등) | 상대적 완화 |
| 실거주 의무 | 2년 이상 강제 | 없음 (매입 후 전세 가능) |
| 청약 당첨 제한 | 전매제한·재당첨 제한 존재 | 상대적으로 자유로움 |
🧭 왜 일부 지역은 규제를 피했을까?
▪ 단기 급등세 없음
-
가격 상승폭이 서울·경기 핵심보다 낮거나 보합 수준 유지
▪ 인구 유입 대비 공급 안정
-
김포·인천 일부 지역은 신도시 공급 지속 중
-
지방 도시는 수요보다 공급이 앞선 곳 다수
▪ 정책적 ‘완충지대’ 유지 목적
-
수도권 수요를 완전히 막지 않기 위해 일부 지역은 규제 회피 허용
-
예: 김포, 인천 서구, 청주, 전주 등
📌 규제 이탈 지역의 의미
-
갭투자 가능 지역으로서 주목
-
무주택자 및 실수요자의 대체 진입지로 작동
-
정책 리스크가 적고, 장기 보유 부담 낮은 시장
이제 본격적으로 비규제지역 중에서도 유망한 수도권 외곽 지역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 3. 수도권 외곽 유망 지역 분석 – 김포·인천·평택의 기회
규제지역을 피한 수도권 외곽 도시들은
정책 사각지대에 있으면서도 서울 접근성, 인프라, 신도시 개발 등
기초 체력을 갖춘 곳들이 많습니다.
특히 김포, 인천 일부, 평택은 풍선효과와 실거주 수요가 함께 몰릴 가능성이 높은 지역입니다.
🛤️ 김포시 – 서울5호선 연장 기대 + 비규제 프리미엄
▪ 특징
-
GTX-D 노선 무산 이후 침체되었으나,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 및 김포한강선 추진 재점화 -
가격 하락 후 안정화 국면, 2021~22년 대비 20% 이상 조정
▪ 유망지
-
김포한강신도시, 장기동, 구래동 일대
-
1,000세대 이상 구축 단지 중심으로 가격 저점 구간
▪ 전략
-
실거주 겸 장기 보유에 적합
-
전세가율 높아 갭투자도 여전히 가능
🌇 인천 서구·계양구 – 3기 신도시 + GTX-B 개발 주목
▪ 특징
-
청라국제도시, 계양지구 등은 인프라·교통 호재 지속
-
인천 전체는 미분양 많지만, 특정 지역은 수요 집중
▪ 유망지
-
청라, 가정, 검단 신도시 일부 단지
-
GTX-B 수혜 기대 지역(가정역, 송도역 중심)
▪ 전략
-
입주 3~5년차 구축단지 저가 매입 후 실거주 추천
-
향후 규제 지역 전환 가능성 → 선제 진입 효과 있음
🏗️ 평택시 – 삼성전자 배후지 + 전세 안정
▪ 특징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대규모 증설
-
공장 수요 기반 실입주 수요 탄탄
▪ 유망지
-
고덕신도시, 평택역·서정역 인근
-
중소형 아파트 중심
▪ 전략
-
실거주·임대 수요 모두 존재
-
가격 급등세 없어서 정책 리스크 낮음
🧭 수도권 외곽 투자 전략 요약
| 지역 | 추천 유형 | 전략 키워드 |
|---|---|---|
| 김포 | 실거주+중기투자 | 5호선 연장, 저점 매수 |
| 인천 서구 | 입주 대기자 | GTX-B, 청라/검단 중심 |
| 평택 | 실입주 + 임대 겸용 | 직장 수요, 안정적 수익 |
수도권 외곽은 지금 규제를 비껴가고 있지만, 수요는 점점 유입되고 있는 지역입니다.
특히 장기 보유와 실거주 계획을 병행할 수 있는 투자자라면 가장 전략적인 대안지가 될 수 있습니다.
🏘️ 4. 지방 중소도시 투자 포인트 – 청주·전주·창원의 기회
서울·수도권 규제가 강화될수록 지방 중소도시로의 투자 이동은 하나의 자연스러운 흐름입니다.
특히 지방 광역시가 아닌, 중소도시 중 규제를 피한 곳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진입가, 규제 부담 없음, 실거주 기반 수요 유지 등으로
저위험 장기 보유 전략에 적합한 지역들입니다.
🏙️ 청주시 – 세종 대체지로 급부상
▪ 특징
-
세종시 규제 강화 이후 대체 주거지로 부상
-
산업단지 + 공공기관 이전 수요로 인구 유입 지속
▪ 유망지
-
오창읍, 복대동, 봉명동 일대
-
전세가율 70~80% 수준으로 갭투자 유리
▪ 전략
-
장기 보유 시 세종의 반사이익 기대
-
전세 수요로 공실 리스크 낮음
🏙️ 전주시 – 공공기관 이전 + 정주 인프라 확대
▪ 특징
-
전주혁신도시 중심으로 공공기관 밀집
-
교육·의료 등 정주여건 개선으로 거주 선호도↑
▪ 유망지
-
전주혁신도시, 만성지구, 덕진구 일대
-
2,000세대 이상 대단지 위주로 공급 집중
▪ 전략
-
실거주 겸 소형 아파트 투자 유리
-
매입가 대비 임대 수익률 5~6% 가능
🏙️ 창원시 – 재개발 기대감 + 실거주 수요 유지
▪ 특징
-
마산·진해 통합 이후 도심 정비사업 확산
-
조선·기계 산업 회복세와 연계한 실수요 존재
▪ 유망지
-
성산구, 의창구 중심 구축 단지
-
84㎡ 이하 중소형 중심
▪ 전략
-
재개발 예정지 인근 장기 매입 후 시세 상승 기대
-
임대 수익 + 보유 중 가치 상승 동시 노릴 수 있음
📌 지방 중소도시 투자 요약
| 지역 | 강점 | 전략 방향 |
|---|---|---|
| 청주 | 세종 반사이익 + 고전세가율 | 저위험 갭투자 |
| 전주 | 공공기관 수요 + 혁신도시 | 실거주 + 중소형 임대 |
| 창원 | 재개발 기대 + 산업기반 | 장기 보유 + 가치상승 기대 |
이러한 지역들은 단기적인 급등은 어렵지만,
정책 리스크에서 자유롭고, 실수요 기반이 탄탄한 시장입니다.
실거주 겸 장기 투자 전략에 최적화된 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 5. 실거주 겸 투자 가능한 지역 선정법
비규제지역을 노리는 전략의 핵심은 단 하나입니다.
“내가 실제로 살 수 있으면서, 동시에 오를 가능성도 있는 곳인가?”
즉, 단순히 싸다고 사는 것이 아니라
실거주와 투자 가치가 공존하는 지역을 정밀하게 선별해야
정책 리스크 없이 안전하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 실거주 겸 투자지역 선정 기준 3가지
✅ 1) 자본력 기준
-
총 매입가 ≤ 자기자본 + 정책대출 한도 내에서 접근
-
전세가율 70% 이상일 경우 → 갭투자 위험도 낮음
-
월세 수익 대비 투자 회수 기간 15년 이내면 적정
✅ 2) 생활 기반 기준
-
출퇴근, 자녀 교육, 의료·교통 등 실생활 유지 가능성
-
택지개발지구 or 신도시 > 도심 낙후 지역보다 실거주에 유리
-
주변 상권, 학군, 공공시설 등 거주 지속성 고려
✅ 3) 개발계획 기준
-
3~5년 내 도시계획, 교통망 확장, 기업 유치, 재개발 등 호재 있는 지역
-
지자체 예산 집중 or 공공개발 예정 지역이면 우선 검토 대상
-
단기 시세차익보다 중장기 수요 변화 예측이 중요
🧭 지역 선별 예시
| 유형 | 지역 | 조건 |
|---|---|---|
| 실거주 우선 | 인천 서구·검단 | 교통호재 + 청약 대기 수요 |
| 투자 우선 | 청주 오창, 전주 만성 | 고전세가율 + 안정적 수요 |
| 혼합 전략 | 김포·평택 | 실거주 가능 + 저가매물 + 교통 개발 가능성 |
📌 부동산 판단의 새로운 공식
✅ “사는 이유”가 명확하고
→ “올라야 할 이유”도 존재하는 지역만 선택하라
이제 시장은
“돈 되는 지역”이 아니라 “살 수 있는 지역 중 돈 되는 곳”만이 답입니다.
✅ 6. 덜 묶인 지역이, 더 멀리 간다
부동산 규제는 대부분의 문을 닫지만,
몇몇 문은 일부러 열어둡니다.
그 문이 바로 비규제지역, 그리고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도시들입니다.
2025년 현재,
서울과 경기 핵심지는 고강도 규제로 묶였지만,
김포, 인천 서구, 청주, 전주, 창원 같은 지역은
여전히 투자와 실거주가 가능한 기회의 공간입니다.
🧭 앞으로의 투자 키워드
| 키워드 | 설명 |
|---|---|
| 🎯 실거주 기반 | 내가 살 수 있어야 가치도 지킨다 |
| 💰 레버리지 최소화 | 고정금리·정책 대출 등 안전한 자금 구성 |
| 📍 지역 선별력 | 규제·개발·생활 기반 3박자 모두 고려 |
📌 전략 마무리
- 정책이 허락한 공간 안에서 움직이자
- 규제를 피했지만, 수요는 충분한 곳을 찾자
- 살 수 있는 곳이 곧 오를 수 있는 곳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