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데이터 백업 방법 A to Z

가나톡ganaTOK
By -
0

티스토리 데이터 백업 방법 A to Z

티스토리는 워드프레스처럼 자체 XML 내보내기/가져오기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수동 복사', '크롤링 도구 활용',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야 합니다.

1. 수동 복사 (가장 기본적인 방법)

가장 간단하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방법입니다.

  • 장점: 별도의 도구 없이 가능하며, 텍스트 데이터는 가장 정확하게 보존됩니다.
  • 단점: 글이 많을수록 노가다이며, 이미지 파일은 별도로 저장해야 합니다.

백업 방법:

  1. 각 게시글에 접속하여 본문 텍스트를 드래그하여 복사합니다.
  2. 메모장, 워드 프로세서(한글, MS Word 등)에 붙여넣기 후 저장합니다.
  3. 게시글 내 이미지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해 개별 저장합니다. 이미지가 많다면 비효율적입니다.

//위 음영 부분으로 '수동복사' ...  개인적인 강추입니다. 꼭 필요하면 다음에 T- 스토리글을  블로그스팟으로 옮기면 되겠습니다.!!!

1-1 아래의 두개의 이미지를 가지고 백업해 두는 것도 시간싸움에서 이기는 길이조! 그런데 왜 '티스토리에 데이터 백업 7일남았다는 메세지? ' , 이유가 있어서 백업을 시도했나요?  암튼 백업 방법은 아래 이미지를 따라 하시면 될듯합니다. 

이미지1)

이미지 2)

2. 크롤링 도구 활용 (대량 백업에 유리)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크롤링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기술적인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장점: 대량의 게시글과 이미지를 비교적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 단점: 모든 콘텐츠를 완벽하게 보존하지 못할 수 있고, 도구 사용법을 익혀야 합니다. 일부 이미지는 외부 서버에 호스팅될 경우 누락될 수 있습니다.

추천 도구 (예시):

  • HTTrack Website Copier: 웹사이트 전체를 로컬에 저장할 수 있는 무료 소프트웨어입니다.

  • 사용법:
    • HTTrack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티스토리 블로그 URL을 입력합니다.
    • 다운로드 옵션을 설정하여 HTML 파일과 이미지 파일 등을 포함하도록 합니다.
    • 크롤링을 시작하면 블로그의 모든 페이지와 첨부 파일을 로컬 폴더에 저장합니다.
    • index.html 파일을 열어 오프라인에서 블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복잡한 자바스크립트나 동적인 콘텐츠는 완벽하게 백업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서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너무 빠른 속도로 크롤링하지 않도록 설정에 주의해야 합니다.
  • wget (Linux/macOS 사용자): 명령 프롬프트 기반의 웹 다운로드 도구입니다.

    • 사용 예시:

      wget -r -k -l 7 -p -E -np -P /path/to/backup/folder http://yourblogname.tistory.com-r: 재귀적 다운로드 (하위 링크 포함)
      • -k: HTML 문서 내 링크를 로컬 파일 경로로 변환
      • -l 7: 최대 7단계까지 링크를 따라감 (필요에 따라 조절)
      • -p: 모든 이미지, CSS, JS 파일 다운로드
      • -E: HTML 파일에 .html 확장자 추가
      • -np: 부모 디렉토리로 올라가지 않음
      • -P /path/to/backup/folder: 백업 파일을 저장할 경로 지정
    • 주의사항: 이 역시 서버 부하를 줄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3.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활용 (개별 게시글 저장)

일부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은 웹페이지를 PDF나 MHTML(웹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장점: 시각적으로 원본과 유사하게 저장 가능합니다.
  • 단점: 대량의 게시글을 한 번에 백업하기에는 비효율적입니다. 이미지 등 개별 파일로 분리되기 어렵습니다.

추천 확장 프로그램 (예시):

  • Save as PDF (Chrome): 웹페이지를 PDF 파일로 저장합니다.
  • SingleFile (Chrome, Firefox): 웹페이지 전체를 하나의 HTML 파일로 저장하여 오프라인에서 열람할 수 있게 합니다. CSS, 이미지, 폰트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백업 방법:

  1. 해당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2. 각 게시글 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을 클릭하고 저장합니다.

4. RSS 피드를 통한 텍스트 백업 (제한적)

티스토리는 블로그의 RSS 피드를 제공합니다. RSS 피드에는 게시글의 제목과 일부 본문 내용이 포함됩니다.

  • 장점: 가장 쉽고 빠르게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전체 본문이 아닌 요약된 내용만 포함될 수 있으며, 이미지는 백업되지 않습니다. 댓글, 카테고리 등 다른 정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백업 방법:

  1. http://yourblogname.tistory.com/rss 또는 http://yourblogname.tistory.com/feed 와 같은 RSS 주소에 접속합니다.
  2. 브라우저에서 보이는 XML 데이터를 복사하여 텍스트 파일로 저장합니다.
  3. RSS 리더 프로그램이나 온라인 RSS 추출 도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내보낼 수도 있습니다.

5. API 활용 (개발자용)

티스토리 API를 활용하면 개발 지식이 있는 경우 게시글, 댓글 등을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방법입니다.


백업 시 고려사항 및 팁

  • 정기적인 백업: 블로그 업데이트 주기에 맞춰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예: 월 1회, 분기 1회)
  • 다양한 방법 조합: 텍스트는 RSS나 수동 복사, 이미지는 크롤링 도구 등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백업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백업 파일 관리:

    • 폴더 구조: 백업된 파일을 알아보기 쉬운 폴더 구조로 정리합니다. (예: 년도/월별 폴더)

  • 파일 이름: 백업 날짜를 파일 이름에 포함하여 관리합니다. (예: 티스토리_백업_20250731.zip)
  • 다중 저장: 백업된 데이터를 하나의 장치에만 보관하지 말고, 외장 하드, 클라우드 저장소(Google Drive, Dropbox 등), USB 등 여러 곳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백업 확인: 백업이 완료된 후에는 실제로 파일이 열리고 내용이 정상적으로 보이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 댓글/방명록 백업: 댓글과 방명록은 별도의 백업 도구가 없으면 백업이 어렵습니다. 스크린샷을 찍거나, 페이지 전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아카이빙할 수 있습니다.
  • 스킨/레이아웃: 스킨은 HTML/CSS 코드를 직접 복사하여 보관할 수 있지만, 추후 적용 시에는 재설정 과정이 필요합니다.


결론

티스토리 블로그의 데이터는 당신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티스토리가 자체 백업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지하고, 앞서 소개한 다양한 백업 방법들을 활용하여 꾸준히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대량의 게시글과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백업하고 싶다면 HTTrack과 같은 크롤링 도구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을 대비한 백업은 곧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Tags:

댓글 쓰기

0댓글

댓글 쓰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