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자동 리프레시되는 루틴 체크리스트" 구현 가이드: Notion 명령어 및 코딩 활용
매주 자동 리프레시되는 루틴 체크리스트" 구현 가이드: Notion 명령어 및 코딩 활용
이 가이드는 노션을 실생활에 활용하며 응용력을 높이기 위해, "매주 자동 리프레시되는 루틴 체크리스트"를 Notion에서 구현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특히 /로 시작하는 Notion 명령어와 Formula
코딩을 활용해 사용자가 직접 따라 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노션의 코딩 수준이 업그레이드된 점을 살려, 실용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구조 만들기목적: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루틴 체크리스트의 기본 뼈대를 설정.
-
단계 1-1: 새 페이지 생성
- /new 입력 > "주간 루틴 체크리스트" 입력 > Enter.
- 빈 페이지에서 /table 입력 > "Table - Inline" 선택.
-
단계 1-2: 속성(필드) 추가
- 기본 "Name" 필드 클릭 > "할 일(Task)"로 수정.
- /property 입력 > 우측 + 버튼 클릭 > "Checkbox" 선택 > 이름: "완료" > Enter.
- /property > + 버튼 > "Date" 선택 > 이름: "주 시작일" > Enter.
- (선택) /property > + 버튼 > "Date" 선택 > 이름: "완료일" > Enter.
-
코딩 활용: "주 시작일"을 매주 일요일로 자동 설정하려면 Formula 사용.
- 속성 추가: /property > "Formula" 선택 > 이름: "주 시작일 계산".
-
코드 입력:
dateSubtract(now(), mod(dateBetween(now(), dateStart(now()), "days"), 7), "days")
- 설명: now()로 현재 날짜를 가져오고, mod와 dateSubtract로 현재 주의 일요일을 계산. "주 시작일" Date 속성에 연결해 수동 입력 대신 자동화.
2. 템플릿 및 자동 리프레시 설정목적: 반복 루틴을 템플릿으로 저장하고, 매주 일요일 자동 생성.
-
단계 2-1: 템플릿 생성
- 데이터베이스 우측 ▼ 클릭 > /template 입력 > "새 템플릿" 선택.
- 템플릿 이름: "주간 루틴" > Enter.
-
내용 입력:
- "아침 스트레칭" (새 행) > "이메일 확인" (새 행) > "업무 정리" (새 행).
- "주 시작일"은 비워둠 (자동 입력 예정).
- 저장: 우측 상단 ✓ 클릭.
-
단계 2-2: 자동 리프레시 설정
- 데이터베이스 상단 ⋯ 클릭 > /automation 입력 > "New automation" 선택.
- Trigger: "Recurring" > "Every week" > "On Sunday" > 시간: 12:00 AM KST (현재 2025-08-30 23:40 KST 기준, 다음 일요일 2025-09-07 00:00).
- Action: "Create a page from template" > 템플릿: "주간 루틴".
- 추가 설정: "Set property value" > "주 시작일"에 위 Formula 결과 연결.
-
코딩 활용: 템플릿 내 동적 데이터 삽입을 위해 변수 사용.
-
템플릿 Formula: /property > "동적 메시지" (Formula) > 코드:
"이번 주 시작: " + formatDate(prop("주 시작일"), "YYYY-MM-DD")
- 설명: "주 시작일" 값을 텍스트로 변환해 템플릿에 동적 표시.
-
템플릿 Formula: /property > "동적 메시지" (Formula) > 코드:
3. 주중 수정 및 항목 관리목적: 주중 루틴 항목을 유연하게 추가/수정/삭제.
-
단계 3-1: 버튼 생성
- 데이터베이스 내 커서 위치 > /button 입력 > "버튼" 선택.
- 버튼 이름: "새 루틴 항목 추가" > Enter.
-
단계 3-2: 버튼 동작 설정
- 버튼 클릭 > "Add action" > "Create a new database item".
- 템플릿: "주간 루틴" 선택.
- "Set property value" > "주 시작일"에 prop("주 시작일 계산") 연결.
- 저장: ✓ 클릭.
-
단계 3-3: 수동 수정
- 새 항목 추가: 데이터베이스 하단 "New" 클릭 > "할 일" 입력.
- 수정: 행 클릭 > 내용 편집.
- 삭제: 행 우클릭 > "Delete".
-
코딩 활용: 완료율 계산 Formula.
-
/property > "완료율" (Formula) > 코드:
if(prop("완료"), 1, 0)
- Rollup 추가: /property > "주간 완료율" (Rollup) > Target: "완료율" > Calculate: Average.
-
/property > "완료율" (Formula) > 코드:
4. 체크 및 리프레시 관리목적: 매일 체크하고, 매주 리셋.
-
단계 4-1: 체크 관리
- "완료" 체크박스 클릭으로 매일 기록.
- Automation: Trigger: "Property changed" ("완료" to true) > Action: "Set property value" > "완료일" to now().
-
단계 4-2: 리셋 버튼
- /button > 이름: "루틴 리셋" > Enter.
- Action: "Edit property" > "완료" to false > Apply to: All items in this database.
- 저장: ✓ 클릭.
-
코딩 활용: 아카이브 필터링 Formula.
-
/property > "상태" (Formula) > 코드:
if(dateBetween(now(), prop("주 시작일"), "days") > 7, "지난주", "이번주")
- 설명: "주 시작일"이 7일 지난 항목을 "지난주"로 분류.
-
/property > "상태" (Formula) > 코드:
5. 기록 관리목적: 지난주 데이터 분석.
-
단계 5-1: 필터 설정
- 데이터베이스 상단 "Filter" 클릭 > "주 시작일" > "is in the past week".
-
단계 5-2: 성취율 분석
- Rollup "주간 완료율"으로 평균 확인.
-
코딩 활용: 추이 분석 Formula.
-
/property > "주간 트렌드" (Formula) > 코드:
if(prop("주간 완료율") > 0.7, "좋음", "개선 필요")
- 설명: 완료율 70% 이상 시 긍정적 피드백.
-
/property > "주간 트렌드" (Formula) > 코드:
구현 요약
- /new, /table, /property, /template, /button, /automation 명령어로 구조화.
- Formula 코딩으로 "주 시작일", "완료율", "상태" 등을 자동화.
- 매주 일요일 00:00 KST에 리프레시, 주중 수정 가능.
0 Comment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