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글크기

/* 전반적인 h1, h2, h3 태그 크기 조절 */ h1 { font-size: 1.8em; /* 기본 크기 대비 줄임 */ font-weight: bold; } h2 { font-size: 1.4em; font-weight: bold; } h3 { font-size: 1.1em; font-weight: bold; }
레이블이 서치콘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서치콘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08-23

구글 서치콘솔, 구체적 동작 원리와 구현 마스터하기

구글 서치콘솔, 구체적 동작 원리와 구현 마스터하기

Google Search Console이란?

Google Search Console(서치콘솔)은 내 웹사이트가 Google 검색에서 어떻게 노출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최적화, 오류 수정, 색인 요청, 키워드 추적 등을 할 수 있는 무료 도구입니다.

구글 서치콘솔, 구체적 동작 원리와 구현 마스터하기

필요성:

검색엔진 노출/SEO 최적화
검색어별 트래픽 분석
크롤링 오류 등 사이트 건강 진단
색인 요청, 페이지 삭제 요청, 웹사이트 개선 제안 등

구현 방식:
속성추가

웹사이트 또는 특정 URL을 ‘속성(Property)’으로 등록 후, 소유권 인증(HTML 파일, Meta, DNS 등)을 거쳐 사용.
 
속성유형-선택하기

포스팅 후 해야 할 작업 & 샌드박스 단축법:

  1. 새 글 등록 후 반드시 “색인 요청”을 진행
  2. 빠른 색인과 노출을 위해 꾸준히 품질 높은 콘텐츠 작성, 사이트 기술적 오류 개선, 신뢰도 높은 백링크 확보, SNS(페이스북, 네이버카페 등)에서 공유를 통한 트래픽 유도
  3. 이는 “샌드박스 기간”(초기 구글 노출 대기 기간, 보통 1~3개월) 단축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됨

1. 속성 추가시 두가지(도메인/URL접두어) 선택 기준

기준 도메인 속성 URL접두어 속성
포함 URL 범위 모든 하위도메인, 모든 프로토콜 입력한 접두어(m, www, https 등)만 포함
인증 방식 DNS 인증 필요 HTML파일, 메타태그, Google Tag, GA 등 다양한 방식
추천 상황 전체사이트 및 서브도메인 통합관리 특정 URL/블로그/서브도메인만 관리시
SEO 데이터 범위 전체 통합 부분적 구간만 관리
대표 예시 example.com 전체 관리 https://blog.example.com 만 관리
  • 전체 도메인에 대해 SEO/검색/트래픽을 관리하고 싶을 땐 '도메인'
  • 블로그/특정 프로젝트처럼 일부만 추적하거나 인증이 쉬운 방식을 원할 땐 'URL접두어'

2. 기준을 어긋날 때 발생하는 문제점

  • 도메인 속성 등록했는데 DNS 인증 못함 → 등록 불가
  • URL접두어 사용 시, 나머지 서브도메인·프로토콜 관리 불가
    • 예) HTTPS로 등록했는데 HTTP, www, m, sub 등은 분리 관리되어 노출·트래픽 누락됨
  • 잘못 등록하면 SEO 데이터가 분산, 전체 성능 파악/관리 어려움
  • 속성 범위 혼동 시, 중요한 페이지 누락 가능 → 색인 오류, 트래픽 저하, 노출 저하 등

3. 구체적 설정과정

  1. 서치콘솔 접속 및 로그인(구글계정 필수)
  2. '속성 추가' 클릭 → 두 가지 방식 중 선택
  • 좌측: “도메인(모든 하위도메인, HTTPS, HTTP 통합)`
    • 입력란에 “ganatoday.kr” 등 도메인만 입력
    • DNS(도메인 관리자)에서 TXT 레코드 추가 후 인증 진행
  • 우측: “URL 접두어”
    • https://www.ganatoday.kr 등 전체 주소 입력
    • 홈페이지 root에 제공된 HTML 파일 업로드, meta태그 삽입, 또는 Google Analytics 인증 절차 중 하나 선택
인증이 끝나면 속성 추가 성공 → 사이트 상태 모니터링, 색인 요청, 오류 체크 등 진행

샌드박스 기간 단축 노하우

  • 새 글 올리면 바로 “색인 요청”
  • 양질의 콘텐츠 지속적으로 업로드
  • 사이트 속도/모바일 호환성 등 기술적 측면 최적화
  • 업계 관련성 높은 백링크 획득
  • SNS·카페 등에 글 공유로 트래픽 유도
  • 구글 Search Console, 네이버 등 국내 포털에도 색인 요청 병행

지금까지 정리::

  • 서치콘솔 속성 추가는 “도메인 전체”와 “URL접두어(부분)” 둘 중 목적에 따라 선택
  • 각 인증방식, 데이터 관리 범위에 맞게 등록
  • 잘못 등록하면 SEO/트래픽 관리에 큰 손해
  • 새 글 업로드시 색인 요청+양질 콘텐츠+트래픽 유도=샌드박스 기간 단축 필수!

실습:: 2차 도메인 vs. blogger.com 도메인: 서치콘솔 등록의 구현하기

블로그의 속성 유형 등록 시, 2차 도메인(개인 구매 도메인 등)과 블로그스팟 등에서 부여된 abc0000.blogger.com 도메인은 등록 과정, 인증방식, 관리 범위에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1. 2차 도메인의 서치콘솔 등록

속성 유형 선택:
  • 일반적으로 “도메인” 속성(왼쪽)을 선택.
  • 예시: mysite.com, www.mysite.com, blog.mysite.com 등 모든 하위도메인·프로토콜 포함 관리 가능.
소유권 인증 방식:
  • 반드시 DNS 인증(TXT 레코드) 필요. 내 도메인 관리자(예: Gabia, hosting.kr 등)에 접속해서 구글에서 제공한 TXT값을 입력해야 인증 완료.
  • DNS 레코드 입력 후 인증까지 시간 소요(몇 분~몇 시간).
관리 범위:
  • 등록한 도메인과 모든 하위 도메인, 모든 프로토콜(http, https, www, m, app 등)이 자동으로 포함됨.
  • 한 번에 사이트 전체 SEO와 색인 현황, 오류 등 통합 관리 가능.

2. abc1234.blogger.com(블로그스팟 공식 도메인)의 서치콘솔 등록

속성 유형 선택:
  • 기본적으로 “URL 접두어” 속성(오른쪽)을 선택. 계정이 연결된 경우 자동 소유권 인증이 되는 경우도 있음.
  • 예시: https://abc0000.blogger.com 등 실제로 블로그스팟에서 사용 중인 주소 입력.
소유권 인증 방식:
  • 다양한 방식 허용(HTML파일 업로드, meta태그, Google Tag/Analytics 활용 등).
  • blogger.com 블로그는 Google 계정이 동일하면 자동 인증되는 경우가 많고, 별도의 HTML파일/meta태그 삽입 등 직접 인증을 거칠 수도 있음.
  • blogger.com의 경우 기본적으로 구글이 운영하므로, 색인·사이트맵 송신·피드 제출이 자동 처리되는 편임.
관리 범위:
  • 입력한 URL 접두어(https, http, www 등 SEO에 직접 연결된 URI만)만 관리됨.
  • 예) https://abc0000.blogger.com만 선택 시, blog.abc0000.blogger.com이나 http://abc0000.blogger.com 등은 포함되지 않음.
  • 전체 사이트/서브도메인 관리가 아니라 한정된 영역만 관리.

3. 두 속성 타입의 선택 이유와 실제 차이

2차 도메인(개인 맞춤 도메인) 사용 시

  • 전체 범위 관리 필요(특히, 여러 하위도메인, HTTPS/HTTP 혼용, 블로그 외 서비스까지 포함) → '도메인 속성' 등록 & DNS 인증 권장
  • 인증(도메인 소유권 확인) 과정이 복잡할 수 있지만, 관리 성능·통합적 SEO 데이터 측면에서 훨씬 유리.

blogger.com 원래 도메인 사용 시

  • 계정 연동, 자동 인증, 손쉬운 등록 → 'URL 접두어' 등록이 일반적
  • 별도의 도메인 소유권 변경이 필요 없으므로 초보자도 쉽게 진행 가능
  • 단, 변경된 도메인(맞춤형)으로 블로그를 이전한 경우 반드시 새 도메인으로 속성 재등록 필요.

4. 설정 예시

상황 속성 유형 인증 방식 관리 범위 특징 및 주의사항
blog.mysite.com(내가 구매한) 도메인 DNS(TXT) 레코드 필요 blog.mysite.com + 모든 하위 전체 데이터 통합관리 유리
abc0000.blogger.com URL접두어 HTML/meta/자동 인증 해당 URL 접두어만 포함 계정 자동 연동 시 인증 즉시 완료
www.mysite.com 도메인 DNS www.mysite.com + 모든 하위 맞춤 도메인, 리디렉션 권장
맞춤형 blogspot(도메인 변경) 도메인/URL DNS/기존 인증 혼합 변경된 도메인(맞춤형)만 포함 속성 재등록 필요, 안내문 확인

5. 추가 팁

  • blogger.com에서 맞춤 도메인(예: www.mydomain.com) 사용 시 반드시 blogspot 설정에서 www 리디렉션을 켜야 Google이 정상적으로 인식
  • www 없는 도메인은 blogger.com에서 불가. 꼭 www 붙여 서치콘솔에 등록 필요
  • 인증 후 반드시 sitemap 및 RSS 제출하여 구글 노출 최적화

마무리 정리:

2차 도메인과 blogger.com 도메인은 속성 타입(도메인/URL접두어), 인증 방식, 관리 범위가 다르고, 저마다 등록/운영 전략이 달라집니다. 목적·기반에 따라 반드시 맞는 방법을 선택해야 관리·SEO 최적화에서 불이익이 없습니다.

관련질문
도메인 속성과 URL 접두어 속성의 인증 방식 차이는 무엇인가?
abc0000.blogger.com 등록할 때 필요한 별도 설정 요소는 무엇인가?
2차 도메인 등록 시 DNS TXT와 CNAME 검증 중 어떤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가?
도메인 속성으로 등록하면 서브도메인별 데이터 수집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내 블로그가 abc0000.blogger.com에서 2차 도메인으로 이동하면 색인 영향은 어떻게 되는가?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