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팟캐스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팟캐스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스포티파이 팟캐스트 플랫폼이해: Spotify for Creators와 Anchor by Spotify의 관계

스포티파이 팟캐스트 플랫폼이해:  Spotify for Creators와 Anchor by Spotify의 관계

오늘은 크리에이터 입장에서 바라본  Spotify for Creators와 Anchor by Spotify의 관계를 알아봅니다. 이들의 관계는 어떤 사이일까요?  아래와 같이 이해하면 쉽습니다. 

스포티파이의 펏캐스트 플랫폼

① Anchor by Spotify란?

Anchor는 Spotify가 인수한 "무료 팟캐스트 호스팅 플랫폼"입니다.

오디오 클립(에피소드)을 녹음·편집·업로드하고, RSS 피드를 통해 Spotify와 애플, 구글 등 다양한 플랫폼에 자동 배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즉, 내 팟캐스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고, 주요 플랫폼으로 ‘퍼뜨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② Spotify for Creators란?

Spotify for Creators(구 Anchor, Spotify for Podcasters)는 Anchor 서비스의 브랜드 통합 버전입니다.
최근에는 Anchor 기능들과 Spotify의 분석·수익화·에피소드 게시도구가 한 곳에 합쳐졌습니다.

크리에이터는 한 계정 내에서 팟캐스트 생성, 에피소드 업로드, 청취자 분석, 수익화(광고/구독) 등 모든 과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③ 두 플랫폼의 연결 구조

오디오 클립(파일)을 올릴 크리에이터는 Anchor by Spotify의 기술적 호스팅 기능을 이용하며,

Spotify for Creators의 통합 대시보드에서 팟캐스트 쇼 세팅, 에피소드 게시, 시즌 관리, 분석, 수익화까지 모두 직관적으로 처리합니다.

RSS 피드도 자동으로 관리되어, Anchor에서 생성된 내 팟캐스트가 Spotify뿐 아니라 Apple Podcasts, Google Podcasts까지 동시에 퍼집니다.

▶ 정리하면,

Anchor by Spotify = 팟캐스트 파일 저장·배포(호스팅) 기능
Spotify for Creators = 모든 관리(업로드, 분석, 수익화, 배포 등)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대시보드

실제 오디오 클립을 올릴 때는 한 곳(Spotify for Creators)에서 가능하며, 플랫폼 내적으로 Anchor의 기능이 포함된 셈입니다.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는 “Anchor”와 “Spotify for Creators”가 실질적으로 하나로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으니, 걱정 없이 한 대시보드에서 모든 작업을 하면 됩니다.
오디오 업로드, 게시, 수익화까지 전 과정이 무료·쉽게 관리된다는 점이 주요 장점입니다.

Spotify에 오디오 클립(팟캐스트 에피소드) 업로드하는 방법: 상세 가이드
처음으로 

Spotify에 오디오 클립(팟캐스트 에피소드) 업로드하는 방법: 상세 가이드

Spotify에 오디오 클립(팟캐스트 에피소드) 업로드하는 방법: 상세 가이드

안녕하세요! Spotify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팟캐스트 플랫폼으로, Spotify for Creators(스포티파이 포 크리에이터스)를 통해 쉽게 오디오 에피소드를 업로드하고 게시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Spotify 공식 가이드(2025년 8월 기준)를 바탕으로,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웹과 모바일 앱 모두를 다루며, 지원 파일 형식, 게시 방법, 문제 해결 팁까지 포함했습니다.

중요 참고: 다른 사람의 소유인 오디오를 업로드하는 것은 Spotify 서비스 약관에 위배됩니다. 본인 콘텐츠만 업로드하세요. 첫 에피소드 게시 시 계정 인증(이메일 확인)이 필요합니다.

1. 준비 단계: 계정 설정과 필수 사항

Spotify for Creators 계정 만들기:

  1. 웹 브라우저에서 podcasters.spotify.com에 접속하세요.https://creators.spotify.com/

  2. '시작하기' 또는 '로그인' 버튼 클릭. Spotify 계정이 없으면 새로 만들거나 구글/애플 계정으로 연동.
  3. 팟캐스트 쇼 생성: '새 팟캐스트' 버튼 클릭 후 쇼 이름, 설명, 카테고리(예: 교육, 코미디) 입력. RSS 피드 생성을 위해 호스팅 서비스(예: Anchor by Spotify)가 필요합니다.

파일 준비:

  • 지원 형식: MP3, M4A, WAV (동영상은 MP4, MOV, MPG도 가능하지만 오디오 클립 중심으로 MP3 추천).
  • 파일 크기: 제한 없으나, 큰 파일(2GB 이상)은 업로드 시간이 길고 실패 위험이 있음. MP3의 경우 비트레이트 128kbps 이상 유지.
  • 메타데이터: 제목, 설명, 아트워크(정사각형 이미지, 1400x1400 픽셀 이상) 준비. ID3 태그(앨범 아트 등)는 최소화하여 업로드 속도 최적화.
계정 인증: 첫 게시 시 이메일로 인증 코드가 전송됩니다. 받지 못했다면 스팸 폴더 확인 또는 '인증 재전송' 요청.

2. 에피소드 업로드 방법 (웹과 모바일)

Spotify for Creators에서 직접 업로드합니다. 동영상 편집은 별도 도구(Riverside 통합 추천) 사용하세요.

웹 브라우저에서 업로드:

  1. podcasters.spotify.com에 로그인.
  2. 대시보드에서 '새 에피소드(New Episode)' 버튼 클릭.
  3. '파일 선택(Choose File)' 클릭하여 오디오 파일(MP3 등) 업로드. 업로드 중 진행 바가 표시됩니다.
  4. 업로드 완료 후 '세부 정보(Details)' 페이지로 이동.

모바일 앱(Spotify for Creators 앱)에서 업로드:

  1. 앱 열고 '팟캐스트(Podcasts)' 탭 선택.
  2. '+' 아이콘 누르고 '파일 선택(Choose File)' 선택.
  3. 기기에서 오디오 파일 선택하여 업로드.
  4. 업로드 후 '세부 정보'로 이동.
팁: 파일이 크면 안정적인 Wi-Fi 사용. 업로드 실패 시 파일 재생 확인 후 재시도.

스포티파이-두플랫폼

3. 에피소드 세부 정보 입력 및 게시

파일 업로드 후 세부 사항을 채우고 게시하세요. 초안으로 저장 가능합니다.

1. 세부 정보 입력:

  • 제목(Title): 에피소드 이름 입력(예: "첫 번째 팟캐스트: AI 이야기").
  • 설명(Description): 상세 내용, 키워드 포함(검색 최적화).
  • 추가 세부 정보: 시즌/에피소드 번호, 아트워크 업로드(정사각형 이미지 추천).

2. 게시 옵션 선택:

  • 즉시 게시: '게시일(Publish Date)' 아래 '지금(Now)' 선택.
  • 예약 게시: '일정(Schedule)' 선택 후 날짜/시간 설정(현지 시간 기준).
  • 초안 저장: 작업 중 'X' 클릭으로 저장. 나중에 '초안으로 되돌리기' 또는 '일정 편집'으로 수정.

3. 게시 완료:

  • '게시(Publish)' 버튼 클릭. Spotify에서 검토 후 플랫폼에 표시(몇 분~몇 시간 소요).
  • 예약된 경우 취소: 웹에서 에피소드 선택 > '…' 아이콘 > '초안으로 되돌리기'. 모바일에서 '일정 편집'.
팁: 게시 후 Spotify 앱에서 검색해 확인. 동영상 에피소드의 경우 웹에서만 업로드 가능하며, 오디오 버전이 자동 추출됩니다.

4. 업로드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오류 발생 시:

  • 파일 형식 확인: MP3, M4A, WAV만 지원. 다른 형식은 변환 도구(예: Audacity) 사용.
  • 재생 테스트: 파일이 기기에서 제대로 재생되는지 확인.
  • 브라우저 호환: Chrome, Firefox 추천. 브라우저 캐시 지우기 또는 다른 브라우저 시도.
  • 인터넷 문제: 큰 파일 업로드 시 연결 안정화. 실패 시 파일 분할 업로드 고려.

기타 이슈:

  • 메타데이터 과다: MP3 태그 크기 최소화(아트워크 등).
  • 인증 문제: 이메일 확인 안 될 시 '재전송' 요청 또는 지원 문의.

5. 추가 팁: 효과적인 팟캐스트 관리

  • 편집 도구 연동: Spotify for Creators는 편집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Riverside나 Audacity로 녹음/편집 후 업로드.
  • 홍보: 게시 후 소셜 미디어(Instagram, Twitter) 공유. 청취자 분석은 Creators 대시보드에서 확인.
  • 수익화: 에피소드 10개 이상 게시 후 Spotify의 Anchor를 통해 광고 삽입 가능.
  • 대안 호스팅: 직접 호스팅 대신 Buzzsprout나 Libsyn 같은 서비스 사용 후 RSS 피드로 Spotify 연동(자동 업데이트).
이 가이드는 Spotify 공식 지원 페이지와 사용자 튜토리얼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제로 따라 하며 문제가 생기면 Spotify 지원팀에 문의하세요. 팟캐스트를 시작하시려면 지금 바로 시도해 보세요 – 첫 에피소드가 성공의 열쇠입니다! 추가 질문(예: 동영상 업로드 가이드)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6. 두 플랫폼의 관계가 궁금하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합니다.


처음으로 

팟캐스트 송출1탄-다듬기,ElevenLabs에 대화 스크립트 입력하기(단계별 절차)

팟캐스트 송출1탄-다듬기,ElevenLabs에 대화 스크립트 입력하기(단계별 절차)

다음 절차는 일레븐랩스(ElevenLabs)의 다중 화자(멀티스피커) 기능을 활용하여 두 명이 대화하는 팟캐스트 스크립트를 입력하고 음성을 생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각 단계마다 UI 요소와 입력 방식을 최대한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쉽지 않는건 익숙하지 않다는 것이다!

팟캐스트송출1탄-다듬기

1. 로그인 및 프로젝트 준비

  • 웹 브라우저에서 https://elevenlabs.io 에 접속
  • 우측 상단 Sign In 버튼 클릭 후 계정 정보 입력
  • 로그인 후 대시보드에서 New Project 또는 My Projects 메뉴로 이동
새 팟캐스트용 프로젝트 이름(예: “Podcast Duo”)을 입력하고 생성
프로젝트만들기

2. 음성(Voice) 설정

  • 좌측 메뉴에서 Voices 탭 선택
  • 목록에서 사용할 성우1(Voice A) 선택
  • 필요 시 Clone Voice 기능으로 커스텀 목소리 생성
  • 톤·속도·감정 조절 슬라이더(Stability, Clarity, Style Exaggeration) 확인
동일 방식으로 성우2(Voice B) 선택 및 설정

좌측 사이드바의 "Voices" 탭을 클릭하면 음성 목록이 나타납니다. 각 음성 카드에 이름, 샘플 재생 버튼, 설정 슬라이더(Stability: 0-100, Clarity: 0-100, Style Exaggeration: 0-100)가 있습니다. "Clone Voice" 버튼으로 새 음성 생성 가능.


3. 다중 화자 모드 활성화

  • 상단 툴바 또는 편집창 위 Multi-Speaker 아이콘(👥) 클릭
  • 팝업에서 두 개의 음성(Voice A, Voice B)이 등록되었는지 확인
“Enable Alternating Speakers” 옵션이 있으면 활성화

4. 대화 스크립트 구조 작성

메모장 또는 텍스트 에디터에서 아래 형식으로 스크립트 작성

스크립트 나누기

팁: 각 대사 앞에 대화 순서와 화자 태그([Voice A], [Voice B])를 정확히 기입

5. 스크립트 입력 창 사용

  • 일레븐랩스 프로젝트 페이지로 돌아가 Text to Speech 섹션 클릭
  • 입력 창(텍스트 에디터) 상단의 Multi-Speaker Script 토글을
작성한 스크립트를 그대로 복사하여 입력 창에 붙여넣기
듀얼 화자설정하기
 "Text to Speech" 섹션에서 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있으며, 상단에 "Multi-Speaker Script" 토글이 있습니다. 토글 ON 시 태그 기반 입력이 활성화됩니다.


6. 화자 매핑 및 검토

  • 입력 창 우측 패널에 Speaker Assignments 영역 확인
  • “[Voice A]” 태그가 Voice A로, “[Voice B]” 태그가 Voice B로 자동 매핑되었는지 확인
매핑이 올바르지 않다면 드롭다운 메뉴에서 수동으로 화자를 지정
 입력 창 우측에 "Speaker Assignments" 패널이 있으며, 각 태그에 대한 드롭다운으로 화자를 매핑합니다. "Preview" 버튼으로 샘플 생성.

7. 음성 미리 듣기 및 수정

  • 입력 창 하단 Generate Preview 버튼 클릭
  • 합성된 대화 음성 샘플을 재생하여
  • 발음, 감정, 음량 균형 확인
  • 대사 간 간격(페어링)이 자연스러운지 점검
필요 시 스크립트 내용이나 음성 설정(Stability, Clarity)을 조절하고 Regenerate Preview 반복
입력 창 하단에 "Generate Preview" 버튼이 있으며, 클릭 시 재생 바와 수정 버튼이 나타납니다. 어색한 부분 클릭 시 해당 텍스트 강조.

8. 최종 음성 생성

  • 미리 듣기 만족 시 Generate Full Audio 버튼 클릭
  • 음성 생성 완료 후 각 대사별 클립 또는 전체 파일로 다운로드
파일 명을 “VoiceA_VoiceB_PodcastEpisode1.mp3” 등으로 정리
최종음성생성

9. 편집 및 배포 준비

  • 다운로드한 음성 파일을 오디오 편집 툴(Audacity 등)에 임포트
  • 대화 흐름에 맞게 교차 편집, 배경음악·효과음 추가
  • 최종 믹스 파일로 출력(MP3 또는 WAV)
네이버 오디오플랫폼· 팟빵· Spotify· Apple Podcasts 등 플랫폼에 업로드

이 과정을 따르면 일레븐랩스의 다중 화자 기능을 이용해 성우1과 성우2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형태의 팟캐스트 음성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10. 셈플 스크립트

아래는 두 명의 성우가 대화하듯 진행하는 팟캐스트 스크립트 예시입니다. 각 대사 앞에 성우1, 성우2를 붙여 역할 구분을 명확히 했습니다.


성우1: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웹사이트 운영과 SEO 최적화에 꼭 필요한 구글 서치콘솔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성우2: 네, 구글 서치콘솔은 내 사이트가 구글 검색에서 어떻게 노출되는지 확인하고, 오류 수정과 색인 요청까지 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무료 도구입니다.

성우1: 먼저, 서치콘솔을 사용하려면 내 사이트를 ‘속성’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속성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요, 도메인 전체를 관리하는 ‘도메인’ 방식과 특정 URL만 관리하는 ‘URL 접두어’ 방식이 있죠.

성우2: 맞아요. 도메인 방식은 내 사이트와 모든 하위 도메인, 프로토콜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어서 큰 사이트에 적합해요. 대신 DNS 인증을 해야 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성우1: 반면, URL 접두어 방식은 HTML 파일 업로드나 메타 태그 삽입 등 인증 방법이 다양하고 간단해서 블로그나 소규모 사이트에 많이 쓰입니다.

성우2: 그리고 새 글을 올릴 때마다 색인 요청을 꼭 해줘야 검색 결과에 빠르게 노출됩니다. 이와 함께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고, 사이트 속도와 백링크도 관리해야 샌드박스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성우1: 마지막으로, 속성 등록 시 인증 방식을 잘 선택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분산되거나 중요한 페이지가 누락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성우2: 오늘 설명드린 구글 서치콘솔 활용법이 여러분의 사이트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으로 

따라하는 팟캐스트 플랫폼별 상세 비교와 사용법

따라하는 팟캐스트 플랫폼별 상세 비교와 사용법

아래에서 주요 팟캐스트 플랫폼을 상세히 비교하고, 각 플랫폼의 사용법을 간단히 안내하겠습니다. 비교 기준은 비용, 주요 기능, 장점/단점, 대상 사용자, 그리고 글로벌/국내 지원 여부를 중심으로 했습니다. 정보는 2025년 8월 기준으로 검색된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하며, 실제 사용 시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약관을 확인하세요.
따라하는 팟캐스트 플랫폼별 상세 비교와 사용법

1. 팟빵 (Podbbang)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기본 기능), 프리미엄 기능은 유료 (월 5,000원~).
  • 주요 기능: 음성 파일 업로드, 에피소드 관리, 청취자 통계, 댓글/커뮤니티, RSS 피드 자동 생성.
  • 장점: 한국어 인터페이스 완벽 지원, 국내 청취자 기반이 크고, 모바일 앱이 편리. 초보자 친화적.
  • 단점: 글로벌 배포가 제한적, 고급 분석 기능이 상대적으로 부족.
  • 대상 사용자: 국내 중심 팟캐스터, 초보자.
  • 글로벌/국내: 국내 특화.

사용법:

  1. 팟빵 앱/웹사이트에서 계정 생성 및 로그인.
  2. '채널 생성'으로 팟캐스트 채널 등록 (제목, 설명 입력).
  3. '에피소드 업로드'에서 MP3 파일 업로드, 제목/설명/태그 입력.
  4. 업로드 후 자동 배포, 통계 확인 가능.

2. 네이버 오디오 클립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네이버 계정 필요).
  • 주요 기능: 음성 클립 업로드, 시리즈 관리, 청취자 피드백, 네이버 검색 연동.
  • 장점: 네이버 생태계(검색, 블로그 등)와 연동되어 국내 노출이 강력. 간단한 편집 도구 내장.
  • 단점: 글로벌 지원이 약하고, 상업적 기능(광고)이 제한적.
  • 대상 사용자: 네이버 사용자 기반의 국내 팟캐스터.
  • 글로벌/국내: 국내 특화.

사용법:

  1. 네이버 앱/웹에서 오디오 클립 섹션 접속, 네이버 계정 로그인.
  2. '클립 만들기'로 새 시리즈 생성 (제목, 커버 이미지).
  3. 음성 파일 업로드 후 태그/설명 추가.
  4. 게시 후 네이버 검색에 자동 노출, 청취 데이터 확인.

3. Spotify for Podcasters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스포티파이 계정 필요), 유료 광고/분석 옵션 추가.
  • 주요 기능: 에피소드 업로드, 자동 배포(Spotify, Apple 등), 청취자 분석, 수익화(광고 삽입).
  • 장점: 전 세계 5억+ 사용자 기반, 고급 통계(지역별 청취율) 제공. 모바일 녹음/편집 도구 내장.
  • 단점: 초기 검토 시간이 길 수 있고, 무료 버전에서 일부 기능 제한.
  • 대상 사용자: 글로벌 확장 원하는 팟캐스터, 음악/오디오 콘텐츠 제작자.
  • 글로벌/국내: 글로벌 (한국어 지원).

사용법:

  1. Spotify for Podcasters 웹/앱에서 계정 생성.
  2. '새 팟캐스트'로 쇼 생성 (제목, 설명, 카테고리).
  3. '에피소드 업로드'에서 MP3 파일 업로드, 메타데이터 입력.
  4. 게시 후 Spotify 앱에 자동 배포, 대시보드에서 통계 확인.

4. Apple Podcasts Connect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Apple ID 필요), 구독 모델로 수익화 가능.
  • 주요 기능: 에피소드 업로드, RSS 피드 관리, 청취자 분석, Apple 기기 최적화.
  • 장점: iOS 사용자 중심의 강력한 배포망, 고품질 기준으로 신뢰성 높음. 구독 기능으로 수익 창출 용이.
  • 단점: 엄격한 콘텐츠 검토(음질, 메타데이터), 글로벌이지만 Android 지원이 약함.
  • 대상 사용자: Apple 생태계 사용자 대상, 전문 팟캐스터.
  • 글로벌/국내: 글로벌 (한국어 지원).

사용법:

  1. Apple Podcasts Connect 웹사이트에서 Apple ID 로그인.
  2. '새 팟캐스트' 생성 (RSS 피드 URL 입력 또는 직접 업로드).
  3. 에피소드 추가: MP3 파일 업로드, 제목/설명/아트워크 입력.
  4. 검토 제출 후 승인되면 Apple Podcasts에 배포, 분석 대시보드 이용.

5. Buzzsprout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90일 한정), 유료 플랜 월 $12~ (무제한 업로드).
  • 주요 기능: 무제한 호스팅, 자동 배포(Apple, Spotify 등), 상세 통계, 웹 플레이어 임베드.
  • 장점: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초보자 가이드 풍부. 다중 플랫폼 배포가 쉬움.
  • 단점: 무료 기간 후 유료 전환 필요, 고급 편집 도구 부족.
  • 대상 사용자: 중소 규모 팟캐스터, 다중 배포 원하는 사용자.
  • 글로벌/국내: 글로벌 (영어 중심, 한국 사용자 적음).

사용법:

  1. Buzzsprout 웹사이트에서 계정 생성.
  2. '새 에피소드'로 MP3 파일 업로드, 메타데이터 입력.
  3. 배포 설정: Apple/Spotify 등 선택.
  4. 게시 후 통계 및 웹 플레이어 코드 확인.

6. Transistor

비교 요약:

  • 비용: 월 $19~ (무제한 에피소드, 다중 쇼 지원).
  • 주요 기능: 다중 팟캐스트 호스팅, 심층 분석(다운로드 추적), 웹사이트 빌더, 수익화 도구.
  • 장점: 여러 쇼를 한 계정에서 관리 가능, 고급 통계로 마케팅에 유용.
  • 단점: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고, 초보자 학습 곡선 있음.
  • 대상 사용자: 전문 팟캐스터, 다중 채널 운영자.
  • 글로벌/국내: 글로벌.

사용법:

  1. Transistor 웹사이트에서 계정 생성.
  2. '새 쇼' 생성 후 에피소드 업로드 (MP3 파일, 세부 정보 입력).
  3. 배포 및 분석 설정.
  4. 대시보드에서 청취자 데이터 모니터링.

7. SoundCloud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3시간 한도), 유료 플랜 월 $8~ (무제한 업로드).
  • 주요 기능: 음성/음악 업로드, 플레이리스트, 소셜 공유, 기본 통계.
  • 장점: 무료 시작 용이, 음악 팟캐스트에 강함. 소셜 미디어 연동 좋음.
  • 단점: 팟캐스트 전용 기능이 약하고, 고급 분석 부족.
  • 대상 사용자: 저비용 실험자, 음악 중심 콘텐츠 제작자.
  • 글로벌/국내: 글로벌 (한국어 지원).

사용법:

  1. SoundCloud 앱/웹에서 계정 생성.
  2. '업로드'로 MP3 파일 업로드, 제목/태그 입력.
  3. 플레이리스트로 에피소드 그룹화.
  4. 공유 및 기본 통계 확인.

8. RSS.com

비교 요약:

  • 비용: 월 $4.99~ (무제한 업로드, 기본 플랜).
  • 주요 기능: 무제한 호스팅, 자동 배포, 상세 통계, 기부/수익화 옵션.
  • 장점: 저비용 고성능, 초보자 친화적. 글로벌 디렉토리 배포 강력.
  • 단점: 커뮤니티 기능이 약함.
  • 대상 사용자: 비용 효율적 운영 원하는 팟캐스터.
  • 글로벌/국내: 글로벌.

사용법:

  1. RSS.com 웹사이트에서 계정 생성.
  2. '새 팟캐스트'로 쇼 설정.
  3. 에피소드 업로드 (MP3, 메타데이터).
  4. 배포 및 분석 도구 활용.
이 비교를 통해 목적에 맞는 플랫폼을 선택하세요. 예를 들어, 국내 청취자를 타겟으로 한다면 팟빵이나 네이버가, 글로벌을 노린다면 Spotify나 Apple이 적합합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