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 송출1탄-다듬기,ElevenLabs에 대화 스크립트 입력하기(단계별 절차)

팟캐스트 송출1탄-다듬기,ElevenLabs에 대화 스크립트 입력하기(단계별 절차)

다음 절차는 일레븐랩스(ElevenLabs)의 다중 화자(멀티스피커) 기능을 활용하여 두 명이 대화하는 팟캐스트 스크립트를 입력하고 음성을 생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각 단계마다 UI 요소와 입력 방식을 최대한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쉽지 않는건 익숙하지 않다는 것이다!

팟캐스트송출1탄-다듬기

1. 로그인 및 프로젝트 준비

  • 웹 브라우저에서 https://elevenlabs.io 에 접속
  • 우측 상단 Sign In 버튼 클릭 후 계정 정보 입력
  • 로그인 후 대시보드에서 New Project 또는 My Projects 메뉴로 이동
새 팟캐스트용 프로젝트 이름(예: “Podcast Duo”)을 입력하고 생성
프로젝트만들기

2. 음성(Voice) 설정

  • 좌측 메뉴에서 Voices 탭 선택
  • 목록에서 사용할 성우1(Voice A) 선택
  • 필요 시 Clone Voice 기능으로 커스텀 목소리 생성
  • 톤·속도·감정 조절 슬라이더(Stability, Clarity, Style Exaggeration) 확인
동일 방식으로 성우2(Voice B) 선택 및 설정

좌측 사이드바의 "Voices" 탭을 클릭하면 음성 목록이 나타납니다. 각 음성 카드에 이름, 샘플 재생 버튼, 설정 슬라이더(Stability: 0-100, Clarity: 0-100, Style Exaggeration: 0-100)가 있습니다. "Clone Voice" 버튼으로 새 음성 생성 가능.


3. 다중 화자 모드 활성화

  • 상단 툴바 또는 편집창 위 Multi-Speaker 아이콘(👥) 클릭
  • 팝업에서 두 개의 음성(Voice A, Voice B)이 등록되었는지 확인
“Enable Alternating Speakers” 옵션이 있으면 활성화

4. 대화 스크립트 구조 작성

메모장 또는 텍스트 에디터에서 아래 형식으로 스크립트 작성

스크립트 나누기

팁: 각 대사 앞에 대화 순서와 화자 태그([Voice A], [Voice B])를 정확히 기입

5. 스크립트 입력 창 사용

  • 일레븐랩스 프로젝트 페이지로 돌아가 Text to Speech 섹션 클릭
  • 입력 창(텍스트 에디터) 상단의 Multi-Speaker Script 토글을
작성한 스크립트를 그대로 복사하여 입력 창에 붙여넣기
듀얼 화자설정하기
 "Text to Speech" 섹션에서 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있으며, 상단에 "Multi-Speaker Script" 토글이 있습니다. 토글 ON 시 태그 기반 입력이 활성화됩니다.


6. 화자 매핑 및 검토

  • 입력 창 우측 패널에 Speaker Assignments 영역 확인
  • “[Voice A]” 태그가 Voice A로, “[Voice B]” 태그가 Voice B로 자동 매핑되었는지 확인
매핑이 올바르지 않다면 드롭다운 메뉴에서 수동으로 화자를 지정
 입력 창 우측에 "Speaker Assignments" 패널이 있으며, 각 태그에 대한 드롭다운으로 화자를 매핑합니다. "Preview" 버튼으로 샘플 생성.

7. 음성 미리 듣기 및 수정

  • 입력 창 하단 Generate Preview 버튼 클릭
  • 합성된 대화 음성 샘플을 재생하여
  • 발음, 감정, 음량 균형 확인
  • 대사 간 간격(페어링)이 자연스러운지 점검
필요 시 스크립트 내용이나 음성 설정(Stability, Clarity)을 조절하고 Regenerate Preview 반복
입력 창 하단에 "Generate Preview" 버튼이 있으며, 클릭 시 재생 바와 수정 버튼이 나타납니다. 어색한 부분 클릭 시 해당 텍스트 강조.

8. 최종 음성 생성

  • 미리 듣기 만족 시 Generate Full Audio 버튼 클릭
  • 음성 생성 완료 후 각 대사별 클립 또는 전체 파일로 다운로드
파일 명을 “VoiceA_VoiceB_PodcastEpisode1.mp3” 등으로 정리
최종음성생성

9. 편집 및 배포 준비

  • 다운로드한 음성 파일을 오디오 편집 툴(Audacity 등)에 임포트
  • 대화 흐름에 맞게 교차 편집, 배경음악·효과음 추가
  • 최종 믹스 파일로 출력(MP3 또는 WAV)
네이버 오디오플랫폼· 팟빵· Spotify· Apple Podcasts 등 플랫폼에 업로드

이 과정을 따르면 일레븐랩스의 다중 화자 기능을 이용해 성우1과 성우2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형태의 팟캐스트 음성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10. 셈플 스크립트

아래는 두 명의 성우가 대화하듯 진행하는 팟캐스트 스크립트 예시입니다. 각 대사 앞에 성우1, 성우2를 붙여 역할 구분을 명확히 했습니다.


성우1: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웹사이트 운영과 SEO 최적화에 꼭 필요한 구글 서치콘솔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성우2: 네, 구글 서치콘솔은 내 사이트가 구글 검색에서 어떻게 노출되는지 확인하고, 오류 수정과 색인 요청까지 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무료 도구입니다.

성우1: 먼저, 서치콘솔을 사용하려면 내 사이트를 ‘속성’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속성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요, 도메인 전체를 관리하는 ‘도메인’ 방식과 특정 URL만 관리하는 ‘URL 접두어’ 방식이 있죠.

성우2: 맞아요. 도메인 방식은 내 사이트와 모든 하위 도메인, 프로토콜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어서 큰 사이트에 적합해요. 대신 DNS 인증을 해야 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성우1: 반면, URL 접두어 방식은 HTML 파일 업로드나 메타 태그 삽입 등 인증 방법이 다양하고 간단해서 블로그나 소규모 사이트에 많이 쓰입니다.

성우2: 그리고 새 글을 올릴 때마다 색인 요청을 꼭 해줘야 검색 결과에 빠르게 노출됩니다. 이와 함께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고, 사이트 속도와 백링크도 관리해야 샌드박스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성우1: 마지막으로, 속성 등록 시 인증 방식을 잘 선택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분산되거나 중요한 페이지가 누락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성우2: 오늘 설명드린 구글 서치콘솔 활용법이 여러분의 사이트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으로 

0 Comment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