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팔란티어 급락, 시트론 리서치의 팔란티어 공매도 리포트, 완벽 요약 및 분석

팔란티어 급락, 시트론 리서치의 팔란티어 공매도 리포트, 완벽 요약 및 분석 🔍

최근 팔란티어 주가 급락의 배경에는 시트론 리서치(Citron Research)의 공매도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웠던 이 리포트의 내용과 그에 대한 논리적인 반박, 그리고 시트론 리서치에 대한 평가를 깊이 있게 분석해 보았습니다.

시트론 리서치(Citron Research)의 공매도 리포트

📝 시트론 리서치 공매도 리포트 핵심 요약

시트론 리서치는 총 6장으로 구성된 짧은 리포트를 통해 팔란티어의 적정 주가를 40달러로 제시하며, 이는 "관대한 평가"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의 주장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됩니다.

  1. 오픈AI와의 비교: 오픈AI의 현재 기업 가치 5,000억 달러를 기준으로 PSR(주가매출비율) 17배를 적용할 경우, 팔란티어의 2026년 예상 매출(56억 달러)에 같은 배수를 적용하면 주가는 40달러가 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들은 17배 PSR이 이미 SaaS 기업 중 최고 수준이라고 강조했습니다.

  2. 사업 모델의 한계: 오픈AI가 거대한 시장을 가진 '플라이휠' 효과(사용자 증가 → AI 모델 개선 → 제품 향상)를 보이는 반면, 팔란티어는 정부 계약에 의존적이고 맞춤형 서비스 중심이라 확장성이 제한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즉, '컨설팅을 소프트웨어로 포장한 상태'라고 비판했습니다.

  3. 경쟁 환경에서의 불리함: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브릭스, AWS 등 거대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팔란티어가 불리한 위치에 있으며, 특히 데이터브릭스가 가장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4. 경영진 신뢰도 문제: 알렉스 카프(Alex Karp) CEO가 지난 2년간 20억 달러 상당의 자사 주식을 매도한 사실을 언급하며, AI 랠리를 개인적인 '출구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 리포트에 대한 논리적 반박

이 리포트는 표면적으로 그럴듯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러 논리적 허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상장 기업과 비상장 기업의 부적절한 비교: 시트론은 상장된 팔란티어의 가치를 아직 비상장 상태인 오픈AI의 5,000억 달러 가치와 단순 비교했습니다. 만약 오픈AI가 상장된다면 그 가치는 현재보다 훨씬 높게 평가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오픈AI가 상장 후 받을 수 있는 프리미엄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이루어진 비교는 타당성이 떨어집니다.

  • 시장의 기존 인지 내용: 리포트의 주요 내용인 팔란티어의 높은 밸류에이션(고평가)은 이미 많은 투자자들이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일반적으로 공매도 리포트는 기술적 사기나 회계 부정 같은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지만, 시트론의 리포트는 새로운 정보나 기술적 부정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

오픈ai와 비교

📉 시트론 리서치의 '수상한' 과거 행적

시트론 리서치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과거 행적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창업자 앤드류 레프트(Andrew Left)는 이미 여러 차례 실패와 논란을 겪은 인물입니다.

  • 게임스톱 공매도 참패: 2021년 게임스톱 주가 하락을 예측하며 공매도를 쳤지만, 개인 투자자들의 집단 행동으로 인해 주가가 1,500% 이상 폭등하며 막대한 손실을 입었습니다. 심지어 유튜브에 "다시는 공매도를 치지 않겠다"고 사과 방송까지 했지만, 이후에도 계속 공매도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 엔비디아와 테슬라 공매도 실패: 2016년 엔비디아를 '카지노'라고 비판하며 공매도를 쳤지만, 엔비디아 주가는 이후 1년간 238%나 상승했습니다. 테슬라의 경우 5년간 공매도를 이어가다 갑자기 매수 포지션으로 전환하는 등 일관성 없는 행동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및 법무부(DOJ) 기소: 2024년 7월에는 주가 조작과 사기 혐의로 기소당했습니다. 특정 종목을 추천한 후 주가 변동을 유발하고, 반대 포지션에서 이익을 취한 혐의입니다.

이러한 전례들을 고려할 때, 시트론 리서치의 주장은 매우 신중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창업자 앤드류 레프트(Andrew Left)

Today, 팔란티어의 현황:

 팔란티어는 빅데이터 분석과 AI 기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정부 기관용 ‘고담(Gotham)’, 민간 기업용 ‘파운드리(Foundry)’, 그리고 소프트웨어 배포 플랫폼 ‘아폴로(Apollo)’가 있습니다. CIA, FBI 등 정부 기관과 대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하며, 최근 민간 부문에서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가와 밸류에이션: 2025년 8월 기준, 팔란티어 주가는 190달러를 찍고 난 이후 5거래일 연속하락하여, 오늘 현재 157.75달러(52주 범위: 29.31~190.00달러)로, 연초 대비 144% 상승하며 시가총액 372.7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PER 290배, 매출 대비 주가 비율 80배로 고평가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논란과 강점: 팔란티어는 높은 고객 충성도와 락인 효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지만, 과도한 주식 보상과 임원 매도, 동양인 채용 차별 논란(미국 노동부 소송, 170만 달러 배상 합의) 등으로 비판받기도 합니다.

마무리, 結論: 자연스러운 시장 조정일 뿐, 공매도 리포트는 '트리거' 역할

결론적으로, 팔란티어의 급격한 주가 하락은 시트론 리서치의 리포트가 일부 영향을 미쳤을 수 있지만, 그보다 시장이 고점에 도달하며 발생한 자연스러운 조정의 과정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시트론의 리포트는 오랜 기간 주가 상승으로 인해 수익을 실현하고자 했던 투자자들의 매도를 부추기는 일종의 '트리거' 역할만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는 팔란티어의 사업 모델과 성장 잠재력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시트론 리서치의 리포트처럼 불완전한 정보에 휘둘리기보다는, 기업의 펀더멘털을 중심으로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