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의 방향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의 방향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모두 디지털 형태의 화폐이지만, 발행 주체, 목적, 지향하는 가치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금융 시스템 내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의 방향

1. CBDC의 방향성: '중앙 집중형' 법정화폐의 디지털 전환

CBDC는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통제하는 디지털 형태의 법정화폐입니다. CBDC의 방향성은 통화 정책의 효율성, 국가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정성 및 효율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 발행 주체 및 통제: 중앙은행. 통제 권한이 중앙 집중형입니다.

  • 주요 목적:

    • 지급결제 혁신: ISO 20022 등 새로운 금융 표준을 활용하여 국내외 지급결제 시스템의 속도와 투명성을 높입니다.

    • 금융 안정성: 민간 디지털 화폐의 위험으로부터 금융 시스템을 보호하고, 비상 상황 시 통화 정책의 전달 채널로 기능합니다.

    • 통화 주권 수호: 민간 디지털 화폐나 타국 CBDC에 대한 통화 주권을 지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 방향: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어, 현금의 역할을 대체하고 국가 간 CBDC 연동을 통해 새로운 공식적인 글로벌 지급결제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2. 스테이블코인의 방향성: '민간 주도형' 금융 혁신과 효율성

스테이블코인은 민간 기업이 발행하며, 그 가치를 법정화폐(주로 달러)나 다른 자산에 고정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의 방향성은 탈중앙 금융(DeFi)과의 연결, 실시간 결제의 효율성, 투명성에 초점을 맞춥니다.

  • 발행 주체 및 통제: 민간 기업(Tether, Circle 등) 또는 탈중앙화된 프로토콜. 통제 권한이 분산형 또는 준(準)중앙 집중형입니다.

  • 주요 목적:

    • 블록체인 거래의 매개체: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 가격 변동 없이 가치를 저장하고 거래하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 국경 간 결제 및 P2P: 기존 은행 시스템을 거치지 않는 빠르고 저렴한 국경 간 송금 및 개인 간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 DeFi 인프라: 탈중앙화된 대출, 예금, 거래소 등의 기반 자산이 됩니다.

  • 방향: 금융 규제 당국의 엄격한 감독을 받으며, 규제된 형태로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생태계 사이의 교량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특히 토큰화된 자산(RWA) 거래 및 블록체인 기반의 혁신적 금융 서비스에서 핵심적인 유동성 역할을 맡게 됩니다.


3. 공존 또는 경쟁: 두 화폐의 미래 관계

두 디지털 화폐는 서로 경쟁하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교 요소CBDC (중앙은행 주도)스테이블코인 (민간 주도)
기본 역할법정화폐의 디지털 형태 (현금 대체)법정화폐 가치 연동 자산 (효율적인 거래 매개체)
규제 수준최고 수준의 국가 규제 및 통제은행 및 증권사 수준의 규제 (준수 요구)
주요 사용처국가 지급결제 시스템, 대규모 거래, 공공 부문블록체인/DeFi, P2P 소액 결제, 민간 국경 간 송금

결국 CBDC는 신뢰와 안정성을 대표하는 '국가의 돈'으로서 새로운 금융 표준을 주도하고, 스테이블코인은 효율성과 혁신을 대표하는 '민간의 돈'으로서 새로운 디지털 경제를 연결하는 핵심 수단이 될 것입니다.

진실한 소식, 소리하나를 담다 - 참소리, ganatoday!
그린아프로

감사합니다. 가나투데이였습니다. #ganatoday #가나 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