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은 처음이지, 일정관리 단계별 가이드
노션 들어가기에서부터 일정관리 단계별 가이드
노션(Notion)이 뭐길래 이렇게 인기일까?
- 유연성과 커스터마이징 자유도: 블록 기반 구조로 텍스트, 테이블, 캘린더, 갤러리, 칸반 보드 등 다양한 '뷰(View)'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페이지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수 있어, 개인 메모부터 팀 프로젝트까지 유연하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일정 관리에서 캘린더 뷰와 테이블 뷰를 결합하면 시각적·체계적 관리가 가능합니다.
- 협업과 공유의 편리함: 실시간 공동 편집, URL 공유, 권한 설정(읽기/편집)이 쉽습니다. 팀원 초대나 외부 공유가 간단해 프리랜서, 팀 프로젝트, 마케팅 랜딩 페이지로도 활용됩니다. 자동 저장 기능으로 백업 걱정이 없고, 모바일 앱 지원으로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합니다.
- 템플릿과 AI 기능의 강점: 수천 개의 무료 템플릿(예: Weekly Agenda, Personal Planner)이 있어 초보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최근 AI 기능(스마트 블록, 자동화, 데이터 분석)이 추가되어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이는 업무 생산성을 2배 이상 높인다는 사용자 피드백이 많습니다.
- 다양한 용도와 사용자 기반: 개인 포트폴리오, 이력서, 독서록, 가계부부터 사내 프로젝트 관리, 온라인 마케팅까지 활용 범위가 넓습니다. 특히 20~30대에서 월 검색량 100만 회 이상으로 인기 있으며, 코딩 없이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단점으로는 데이터가 쌓이면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고급 기능(무제한 AI)은 유료 플랜(개인용 월 $8~)이 필요합니다.
노션 일정 관리 단계별 가이드
1. 노션 계정 만들고 첫 페이지 생성하기
- 공식 사이트(notion.so)에 접속해 'Sign up' 클릭. 구글/애플 계정으로 1분 만에 가입.
- 로그인 후 좌측 사이드바에서 '+ New page' 버튼 클릭. 페이지 제목(예: "My Schedule") 입력 후 생성.
2. 일정 관리를 위한 ‘캘린더 뷰’ 추가
- 새 페이지에서 '/' 명령어 입력 후 'Database - Calendar view'를 선택하거나, 빈 페이지에 '/calendar' 타이핑.
- 데이터베이스 생성 후, 열(Column)로 'Name'(일정 제목), 'Date'(날짜) 추가.
- 예시: 회의 일정 등록 시 'Name'에 "팀 미팅", 'Date'에 날짜 입력. 반복 일정은 'Recurring' 속성으로 설정.
3. 필수 속성 추가로 나만의 일정 관리하기
- 데이터베이스 우측 상단 'Properties' 클릭 후, 새 속성 추가: 'Select'로 태그(예: "업무/개인"), 'Status'로 상태(진행 중/완료), 'Number'로 우선순위(1~5).
- 속성 값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색상, 아이콘 추가로 시각적 구분.
4. 뷰(View) 설정으로 가독성 높이기
- Table View: 스프레드시트처럼 리스트 정리.
- Board View: 칸반 스타일(상태별 카드 이동, Trello 대체).
- Calendar View: 월/주 단위 캘린더로 날짜 중심 보기.
5. 템플릿으로 일정 관리 시작하기
- 노션 내 'Templates' 갤러리(좌측 사이드바)에서 검색: 'Weekly Agenda'나 'Personal Planner' 선택 후 'Use this template' 클릭.
- 템플릿 복제 후 커스터마이징: 자신의 일정에 맞게 속성 수정.
마무리: 작은 설정이 생산성을 크게 바꿉니다
Shopify에서 드랍쉬핑하는 방법 (2025 가이드)
Shopify에서 드랍쉬핑하는 방법 (2025 가이드)
1. Shopify 스토어 만들기
- 스토어 제작: Shopify 사이트에서 무료 체험을 시작하고, 홈페이지, 제품 페이지, 메뉴를 설정하세요. 도메인을 등록하거나 구매해 스토어 이름을 맞춥니다.
- 계정을 선택합니다.
보안 설정을 최신으로 유지하여 계정을 안전하게 보호하십시오.
2. 드랍쉬핑 앱 선택 및 연결
추천 앱 (한국 셀러(판매자 전용)):
- CJdropshipping: 중국 기반으로 글로벌 배송 지원. 전자제품, 액세서리 등 다양하며, 한국 배송 가능.
- Printful: 주문형 인쇄(POD)로 디자인 제품 판매. 의류, 모자 등에 브랜드 적용 가능.
- DSers: AliExpress 연동으로 자동 주문 처리. 영어 인터페이스지만 Shopify 사용자에게 인기.
3. 제품 추가 및 페이지 최적화
- 앱에서 제품을 불러오면 자동으로 세부 정보와 이미지가 채워집니다.
- 기본 내용을 편집해 독창적인 설명과 이미지를 추가하세요. Shopify의 AI 도구(Shopify Magic)로 검색 엔진 친화적 콘텐츠를 생성하세요.
- 가격 설정: 이익률을 고려해 경쟁력 있게 책정하세요.
4. 공급업체 직접 연결 (앱 없이)
- 도매 공급업체를 찾아 계약하세요 (AliExpress, Alibaba 등 마켓플레이스 이용).
- Shopify에 제품을 수동 등록하고, 주문 시 공급업체에 전달하세요. 배송은 공급업체가 담당.
- 장점: 더 높은 마진과 자유도, 하지만 수동 조율이 필요합니다.
5. Shopify Collective 활용 (북미 중심)
성공 팁: 차별화와 운영 최적화
- 브랜드화: POD나 화이트라벨로 제품에 로고를 넣어 경쟁 피하세요. Printful 같은 앱 활용.
- 마케팅: 이메일(Shopify Email)과 소셜 미디어로 트래픽 유도. 고객 데이터 분석으로 인기 제품 파악.
- 고객 지원: Shopify Inbox로 채팅 추가. 리뷰 앱으로 신뢰 구축.
- 주의사항: 배송 속도와 관세를 고객에게 미리 안내하세요. 한국 배송 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6. Shopify 무료 체험 후 비용 안내 (2025년 기준)
1. Starter 플랜 (소셜 미디어 판매 중심)
- 체험 후 3개월: 월 1달러
- 정규 요금: 월 5달러 (연간 없음, 간단한 판매에 적합)
2. Basic 플랜 (초보자 추천)
- 체험 후 3개월: 월 1달러
- 정규 요금: 월 39달러 (연간 결제 시 월 29달러)
3. Shopify 플랜 (성장 중 비즈니스)
- 체험 후 3개월: 월 1달러
- 정규 요금: 월 105달러 (연간 결제 시 월 79달러)
4. Advanced 플랜 (대형 스토어)
- 체험 후 3개월: 월 1달러
- 정규 요금: 월 399달러 (연간 결제 시 월 299달러)
5. Shopify Plus 플랜 (기업용)
- 체험 후 3개월: 월 1달러 (적용 가능 여부 확인 필요)
- 정규 요금: 월 2,300달러부터 (맞춤 견적, 대규모 비즈니스 대상)
추가 비용 고려사항
- 거래 수수료: Shopify Payments 사용 시 플랜별로 2.4~2.9% + 30센트. 외부 결제 시 추가 0.5~2%.
- 앱/테마: 무료 옵션 많지만, 유료 앱은 월 5~100달러 정도 추가될 수 있음.
- 도메인/기타: 도메인 구매 시 연 10~20달러, 맞춤 개발 시 별도 비용.
- 해지: 언제든 가능하며, 체험 기간 내 해지 시 비용 없음.
마무리
팟캐스트 송출1탄-다듬기,ElevenLabs에 대화 스크립트 입력하기(단계별 절차)
팟캐스트 송출1탄-다듬기,ElevenLabs에 대화 스크립트 입력하기(단계별 절차)
1. 로그인 및 프로젝트 준비
- 웹 브라우저에서 https://elevenlabs.io 에 접속
- 우측 상단 Sign In 버튼 클릭 후 계정 정보 입력
- 로그인 후 대시보드에서 New Project 또는 My Projects 메뉴로 이동
2. 음성(Voice) 설정
- 좌측 메뉴에서 Voices 탭 선택
- 목록에서 사용할 성우1(Voice A) 선택
- 필요 시 Clone Voice 기능으로 커스텀 목소리 생성
- 톤·속도·감정 조절 슬라이더(Stability, Clarity, Style Exaggeration) 확인
3. 다중 화자 모드 활성화
- 상단 툴바 또는 편집창 위 Multi-Speaker 아이콘(👥) 클릭
- 팝업에서 두 개의 음성(Voice A, Voice B)이 등록되었는지 확인
4. 대화 스크립트 구조 작성
5. 스크립트 입력 창 사용
- 일레븐랩스 프로젝트 페이지로 돌아가 Text to Speech 섹션 클릭
- 입력 창(텍스트 에디터) 상단의 Multi-Speaker Script 토글을 켬
| "Text to Speech" 섹션에서 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있으며, 상단에 "Multi-Speaker Script" 토글이 있습니다. 토글 ON 시 태그 기반 입력이 활성화됩니다. |
6. 화자 매핑 및 검토
- 입력 창 우측 패널에 Speaker Assignments 영역 확인
- “[Voice A]” 태그가 Voice A로, “[Voice B]” 태그가 Voice B로 자동 매핑되었는지 확인
7. 음성 미리 듣기 및 수정
- 입력 창 하단 Generate Preview 버튼 클릭
- 합성된 대화 음성 샘플을 재생하여
- 발음, 감정, 음량 균형 확인
- 대사 간 간격(페어링)이 자연스러운지 점검
| 입력 창 하단에 "Generate Preview" 버튼이 있으며, 클릭 시 재생 바와 수정 버튼이 나타납니다. 어색한 부분 클릭 시 해당 텍스트 강조. |
8. 최종 음성 생성
- 미리 듣기 만족 시 Generate Full Audio 버튼 클릭
- 음성 생성 완료 후 각 대사별 클립 또는 전체 파일로 다운로드
9. 편집 및 배포 준비
- 다운로드한 음성 파일을 오디오 편집 툴(Audacity 등)에 임포트
- 대화 흐름에 맞게 교차 편집, 배경음악·효과음 추가
- 최종 믹스 파일로 출력(MP3 또는 WAV)
10. 셈플 스크립트
아래는 두 명의 성우가 대화하듯 진행하는 팟캐스트 스크립트 예시입니다. 각 대사 앞에 성우1, 성우2를 붙여 역할 구분을 명확히 했습니다.
성우1: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웹사이트 운영과 SEO 최적화에 꼭 필요한 구글 서치콘솔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성우2: 네, 구글 서치콘솔은 내 사이트가 구글 검색에서 어떻게 노출되는지 확인하고, 오류 수정과 색인 요청까지 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무료 도구입니다.
성우1: 먼저, 서치콘솔을 사용하려면 내 사이트를 ‘속성’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속성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요, 도메인 전체를 관리하는 ‘도메인’ 방식과 특정 URL만 관리하는 ‘URL 접두어’ 방식이 있죠.
성우2: 맞아요. 도메인 방식은 내 사이트와 모든 하위 도메인, 프로토콜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어서 큰 사이트에 적합해요. 대신 DNS 인증을 해야 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성우1: 반면, URL 접두어 방식은 HTML 파일 업로드나 메타 태그 삽입 등 인증 방법이 다양하고 간단해서 블로그나 소규모 사이트에 많이 쓰입니다.
성우2: 그리고 새 글을 올릴 때마다 색인 요청을 꼭 해줘야 검색 결과에 빠르게 노출됩니다. 이와 함께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고, 사이트 속도와 백링크도 관리해야 샌드박스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성우1: 마지막으로, 속성 등록 시 인증 방식을 잘 선택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분산되거나 중요한 페이지가 누락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성우2: 오늘 설명드린 구글 서치콘솔 활용법이 여러분의 사이트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5-08-24 LAFC 경기 종료 후 관전평 & 손흥민 포인트, 주요 기록(Post View)
25-08-24 LAFC 경기 종료 후 관전평 & 손흥민 포인트, 주요 기록(Post View)
⚽ 경기 결과 및 관전평
🌟 손흥민 주요 포인트
- 데뷔골: 전반 6분 환상적인 프리킥으로 MLS 첫 골 기록
- 슈팅: 이날 손흥민은 무려 8회의 슈팅을 시도, 그중 절반 가까이가 유효 슈팅으로 이어졌음.
- 공격 포인트: 3경기 연속 공격 관여(직전 경기 골, 어시스트 포함)
- 기회 창출: 동료들에게 7차례 결정적 기회 제공, 전방과 측면을 넘나드는 왕성한 활동량
- 평점: 경기 후 폿몹(8.7), 소파스코어(8.6)에서 팀 내 최고 평점.
▲오늘 선발 라인업
댈러스: 마이클 콜로디, 샤크 무어, 세바스티앙 이베아가, 랄라스 아부바카르, 베너드 카뭉고, 하미루, 카익 페헤이라, 알데르손 훌리오, 크리스티안 카피스, 파트릭슨 델가도, 로건 패링턴.
LAFC: 위고 요리스, 세르지 팔렌시아, 에디 세구라, 은코시 타파리, 라이언 홀링스헤드, 이고르 제주스, 마르코 델가도, 티모시 틸먼, 나단 오르다스, 손흥민, 데니스 부앙가.
📊 팀별 슈팅수, 기록 등 주요 스탯
🗣️ 총평
따라하는 팟캐스트 플랫폼별 상세 비교와 사용법
따라하는 팟캐스트 플랫폼별 상세 비교와 사용법
1. 팟빵 (Podbbang)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기본 기능), 프리미엄 기능은 유료 (월 5,000원~).
- 주요 기능: 음성 파일 업로드, 에피소드 관리, 청취자 통계, 댓글/커뮤니티, RSS 피드 자동 생성.
- 장점: 한국어 인터페이스 완벽 지원, 국내 청취자 기반이 크고, 모바일 앱이 편리. 초보자 친화적.
- 단점: 글로벌 배포가 제한적, 고급 분석 기능이 상대적으로 부족.
- 대상 사용자: 국내 중심 팟캐스터, 초보자.
- 글로벌/국내: 국내 특화.
사용법:
- 팟빵 앱/웹사이트에서 계정 생성 및 로그인.
- '채널 생성'으로 팟캐스트 채널 등록 (제목, 설명 입력).
- '에피소드 업로드'에서 MP3 파일 업로드, 제목/설명/태그 입력.
- 업로드 후 자동 배포, 통계 확인 가능.
2. 네이버 오디오 클립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네이버 계정 필요).
- 주요 기능: 음성 클립 업로드, 시리즈 관리, 청취자 피드백, 네이버 검색 연동.
- 장점: 네이버 생태계(검색, 블로그 등)와 연동되어 국내 노출이 강력. 간단한 편집 도구 내장.
- 단점: 글로벌 지원이 약하고, 상업적 기능(광고)이 제한적.
- 대상 사용자: 네이버 사용자 기반의 국내 팟캐스터.
- 글로벌/국내: 국내 특화.
사용법:
- 네이버 앱/웹에서 오디오 클립 섹션 접속, 네이버 계정 로그인.
- '클립 만들기'로 새 시리즈 생성 (제목, 커버 이미지).
- 음성 파일 업로드 후 태그/설명 추가.
- 게시 후 네이버 검색에 자동 노출, 청취 데이터 확인.
3. Spotify for Podcasters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스포티파이 계정 필요), 유료 광고/분석 옵션 추가.
- 주요 기능: 에피소드 업로드, 자동 배포(Spotify, Apple 등), 청취자 분석, 수익화(광고 삽입).
- 장점: 전 세계 5억+ 사용자 기반, 고급 통계(지역별 청취율) 제공. 모바일 녹음/편집 도구 내장.
- 단점: 초기 검토 시간이 길 수 있고, 무료 버전에서 일부 기능 제한.
- 대상 사용자: 글로벌 확장 원하는 팟캐스터, 음악/오디오 콘텐츠 제작자.
- 글로벌/국내: 글로벌 (한국어 지원).
사용법:
- Spotify for Podcasters 웹/앱에서 계정 생성.
- '새 팟캐스트'로 쇼 생성 (제목, 설명, 카테고리).
- '에피소드 업로드'에서 MP3 파일 업로드, 메타데이터 입력.
- 게시 후 Spotify 앱에 자동 배포, 대시보드에서 통계 확인.
4. Apple Podcasts Connect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Apple ID 필요), 구독 모델로 수익화 가능.
- 주요 기능: 에피소드 업로드, RSS 피드 관리, 청취자 분석, Apple 기기 최적화.
- 장점: iOS 사용자 중심의 강력한 배포망, 고품질 기준으로 신뢰성 높음. 구독 기능으로 수익 창출 용이.
- 단점: 엄격한 콘텐츠 검토(음질, 메타데이터), 글로벌이지만 Android 지원이 약함.
- 대상 사용자: Apple 생태계 사용자 대상, 전문 팟캐스터.
- 글로벌/국내: 글로벌 (한국어 지원).
사용법:
- Apple Podcasts Connect 웹사이트에서 Apple ID 로그인.
- '새 팟캐스트' 생성 (RSS 피드 URL 입력 또는 직접 업로드).
- 에피소드 추가: MP3 파일 업로드, 제목/설명/아트워크 입력.
- 검토 제출 후 승인되면 Apple Podcasts에 배포, 분석 대시보드 이용.
5. Buzzsprout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90일 한정), 유료 플랜 월 $12~ (무제한 업로드).
- 주요 기능: 무제한 호스팅, 자동 배포(Apple, Spotify 등), 상세 통계, 웹 플레이어 임베드.
- 장점: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초보자 가이드 풍부. 다중 플랫폼 배포가 쉬움.
- 단점: 무료 기간 후 유료 전환 필요, 고급 편집 도구 부족.
- 대상 사용자: 중소 규모 팟캐스터, 다중 배포 원하는 사용자.
- 글로벌/국내: 글로벌 (영어 중심, 한국 사용자 적음).
사용법:
- Buzzsprout 웹사이트에서 계정 생성.
- '새 에피소드'로 MP3 파일 업로드, 메타데이터 입력.
- 배포 설정: Apple/Spotify 등 선택.
- 게시 후 통계 및 웹 플레이어 코드 확인.
6. Transistor
비교 요약:
- 비용: 월 $19~ (무제한 에피소드, 다중 쇼 지원).
- 주요 기능: 다중 팟캐스트 호스팅, 심층 분석(다운로드 추적), 웹사이트 빌더, 수익화 도구.
- 장점: 여러 쇼를 한 계정에서 관리 가능, 고급 통계로 마케팅에 유용.
- 단점: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고, 초보자 학습 곡선 있음.
- 대상 사용자: 전문 팟캐스터, 다중 채널 운영자.
- 글로벌/국내: 글로벌.
사용법:
- Transistor 웹사이트에서 계정 생성.
- '새 쇼' 생성 후 에피소드 업로드 (MP3 파일, 세부 정보 입력).
- 배포 및 분석 설정.
- 대시보드에서 청취자 데이터 모니터링.
7. SoundCloud
비교 요약:
- 비용: 무료 (3시간 한도), 유료 플랜 월 $8~ (무제한 업로드).
- 주요 기능: 음성/음악 업로드, 플레이리스트, 소셜 공유, 기본 통계.
- 장점: 무료 시작 용이, 음악 팟캐스트에 강함. 소셜 미디어 연동 좋음.
- 단점: 팟캐스트 전용 기능이 약하고, 고급 분석 부족.
- 대상 사용자: 저비용 실험자, 음악 중심 콘텐츠 제작자.
- 글로벌/국내: 글로벌 (한국어 지원).
사용법:
- SoundCloud 앱/웹에서 계정 생성.
- '업로드'로 MP3 파일 업로드, 제목/태그 입력.
- 플레이리스트로 에피소드 그룹화.
- 공유 및 기본 통계 확인.
8. RSS.com
비교 요약:
- 비용: 월 $4.99~ (무제한 업로드, 기본 플랜).
- 주요 기능: 무제한 호스팅, 자동 배포, 상세 통계, 기부/수익화 옵션.
- 장점: 저비용 고성능, 초보자 친화적. 글로벌 디렉토리 배포 강력.
- 단점: 커뮤니티 기능이 약함.
- 대상 사용자: 비용 효율적 운영 원하는 팟캐스터.
- 글로벌/국내: 글로벌.
사용법:
- RSS.com 웹사이트에서 계정 생성.
- '새 팟캐스트'로 쇼 설정.
- 에피소드 업로드 (MP3, 메타데이터).
- 배포 및 분석 도구 활용.
팟캐스트 주요 플랫폼:: 네이버 오디오 클립업로드하기
팟캐스트 주요 플랫폼:: 네이버 오디오 클립 업로드하기
이 글에서는 주요 팟캐스트 플랫폼들을 살펴보고, 나에게 맞는 플랫폼을 고르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팟캐스트 음성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 주요 플랫폼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팟캐스트 플랫폼 소개
- 팟빵: 한국에서 인기 있는 팟캐스트 플랫폼으로, mp3 파일 업로드 후 에피소드 등록 및 관리가 가능하며, 청취자 통계와 댓글 기능도 제공합니다.
- 네이버 오디오 클립: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 플랫폼으로, 채널 생성 후 음성 클립을 업로드하고 청취자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 Spotify for Podcasters: 스포티파이 팟캐스트 전용 플랫폼으로, 에피소드 음성 파일을 업로드하고 전 세계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 Apple Podcasts Connect: 애플 팟캐스트 에피소드 업로드 및 관리용 플랫폼으로, 엄격한 음질 검증 절차가 있습니다.
- Buzzsprout: 효율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호스팅 서비스로, 다양한 팟캐스트 디렉토리에 자동 배포하고 통계도 제공합니다.
- Transistor: 다중 팟캐스트 호스팅과 자세한 청취자 분석 기능을 갖춘 플랫폼입니다.
- SoundCloud: 음악 및 팟캐스트 호스팅도 지원하며, 무료로 일정량의 콘텐츠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 RSS.com: 무제한 에피소드 업로드와 자동 배포, 심층 분석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입니다.
초보자 및 국내 청취자 대상:
글로벌 배포 및 다양한 청취층 확보:
콘텐츠 관리와 통계, 편의성 중시:
간단한 시작과 비용 효율성 우선:
네이버 오디오 클립 채널 만들기
네이버 오디오클립 채널 가입 절차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요.
✅ 1단계: 채널 개설
-
채널 아이디, 설명글, 태그, 썸네일 등 기본 정보를 입력
-
이건 오디오 파일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
쉽게 말해, 팟캐스트를 틀 공간(집)을 먼저 만드는 단계예요.
✅ 2단계: 클립(에피소드) 등록
-
방금 보여주신 화면(“클립 관리”)은 바로 이 단계예요.
-
여기에 오디오 파일(mp3, wav 등)을 반드시 업로드해야만 등록 완료됩니다.
-
즉, 채널만 만들고 에피소드를 하나도 올리지 않으면 비어 있는 채널 상태로 남아요.
-
네이버는 실제 콘텐츠(오디오 파일)가 있어야 본격적으로 노출을 시작합니다.
채널(전체 계정) 개설 이후에, 실제로 청취자가 듣게 될 에피소드(클립) 를 업로드하는 절차입니다.
구체적으로 설명드리면:
📌 화면 구성 의미
-
제목 (최대 65자)
→ 에피소드의 제목 입력란 (예: "여행과 돈, 나를 찾는 첫걸음") -
진행자 (선택 등록, 최대 60자)
→ 방송 진행자 이름이나 닉네임 기재 (예: "가나투데이") -
제작일 (선택 등록)
→ 오디오 원본 제작일 기재 (없어도 무방) -
설명글 (최대 5000자)
→ 해당 클립의 상세 설명, 내용 요약, 청취자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 작성 -
클립 썸네일 이미지
→ 에피소드별 대표 이미지 (1280×1280 사이즈 권장) -
오디오파일 업로드
→.wav,.flac,.mp3,.aac파일 업로드 (최대 800MB, 무손실 음원 권장) -
앱에서 기기 다운로드 허용 여부
→ 사용자가 데이터 절약을 위해 다운로드할 수 있게 허용할지 여부 선택
즉, 이 단계는 쉽게 말해 팟캐스트에서 ‘에피소드 업로드하기’ 와 같은 절차입니다 🎙️
이후 최종 업로드화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