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노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노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할일부터 일정까지! 구글 캘린더 X 노션으로 하루 48시간처럼 살기 | 시간 관리 어플 끝판왕

📆 할일부터 일정까지! 구글 캘린더 X 노션으로 하루 48시간처럼 살기 | 시간 관리 어플 끝판왕

매일 바쁘게 보내는데도 저녁에 "오늘 뭐 제대로 끝낸 게 없네?"라는 생각이 들어보셨나요? 이 글에서는 유튜브 영상 “📆 할일부터 일정까지! 구글 캘린더 X 노션으로 하루 48시간처럼 살기 | 시간 관리 어플 끝판왕”을 기반으로, 구글 캘린더와 노션을 연결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타임블록 테트리스'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무료 도구로 하루를 48시간처럼 활용해보세요! 2025년, 여러분의 생산성이 완전히 달라질 겁니다.

왜 구글 캘린더와 노션을 함께 써야 할까?

시중에 웬만한 캘린더 앱(구글 캘린더, 노션 캘린더, 온가 캘린더 등)을 다 써보셨을 텐데, 각 앱이 하나씩 부족한 느낌이 들죠? 구글 캘린더는 큰 그림 일정 관리는 좋지만 세부 투두 연결이 약하고, 노션은 투두 관리에 탁월하지만 전체 일정 조망이 어렵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해답은 바로 두 도구를 연동하는 시스템입니다. 구글 캘린더로 큰 틀을, 노션으로 세부 작업을 관리하면 완벽한 흐름이 만들어집니다. 저자(시간 계획자 마담초)처럼 13년 기획자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화한 '메이크타임 시스템(메타시)'을 참고해 보세요.

타임블록 테트리스: 3가지 도구로 하루를 효율적으로 채우기

오늘은 구글 캘린더, 노션 프로젝트 투두 템플릿, 노션 캘린더의 세 가지 도구만 활용해 '타임블록 테트리스'를 해보세요. 하루를 시간 단위로 쪼개 테트리스처럼 효율적으로 채우는 방법입니다. 단계별로 따라 해보세요!

1. 구글 캘린더: 한 달 큰 그림 설계하기

설명: 구글 캘린더는 한 달 흐름과 고정 일정을 관리하는 데 최적화된 도구입니다. 큰 틀을 먼저 잡아주세요.

활용 방법:

  1. 중요 이벤트 기록: 생일, 회의, 출장, 마감일 등 놓치면 안 되는 일정을 입력하세요. 예: "A4 1차 컨설팅"을 픽스하면 바로 추가. 기억할 필요 없이 저장만 하면 됩니다.
  2. 반복 일정 관리: 매주 월요일 오전 9시 팀 미팅처럼 루틴을 반복 설정으로 한 번만 입력하면 자동 추가됩니다.
  3. 월간 뷰 활용: 한 달 전체를 한눈에 확인해 이벤트가 몰린 날을 미리 조정하세요. 작업 흐름을 원활하게 만듭니다.

실습: 구글 캘린더를 열고, 이번 달 중요한 이벤트를 3개 입력한 뒤 월간 뷰로 확인해보세요.

2. 노션 프로젝트 투두 템플릿: 큰 프로젝트를 작은 작업으로 쪼개기

설명: 구글 캘린더가 큰 그림이라면, 노션은 프로젝트를 실행 가능한 투두로 세분화합니다.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세요.

활용 방법:

  1. 프로젝트 생성: 예: "A4 1차 컨설팅" 프로젝트를 만들고, 데드라인을 설정하세요.
  2. 투두 리스트 작성: 프로젝트를 작은 작업으로 나눠보세요. 예: "사전 질문지 발송", "질문지 분석", "제안서 기획 및 작성", "제안서 발송", "1차 컨설팅 미팅", "2차 컨설팅 일정 공유". 각 투두에 마감일을 부여하세요.
  3. 여러 프로젝트 관리: 모든 프로젝트를 같은 방식으로 쪼개 투두 템플릿에 모으세요. 큰 그림이 명확해집니다.

실습: 노션에서 새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프로젝트" 페이지 생성 후, 위 예시 투두를 입력하고 마감일을 추가하세요.

3. 노션 캘린더: 타임블록 테트리스로 하루 디테일 기획하기

설명: 노션 캘린더는 프로젝트 투두를 시간 단위로 배치하는 데 강력합니다. 구글 캘린더와 연동해 빈 시간을 채우세요. (노션에서 구글 캘린더 연동: 노션 데이터베이스 속성에 '날짜' 필드를 추가하고, 구글 캘린더 임베드나 API 연동으로 동기화 가능. 무료 플랜으로 기본 연동 지원.)

활용 방법:

  1. 데이터베이스 캘린더 뷰 열기: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캘린더' 뷰를 선택. 날짜별로 투두가 표시됩니다. 색상으로 구분해 보기 쉽게 하세요.
  2. 구글 캘린더 일정 참고: 구글 캘린더의 고정 일정을 확인하고, 노션 캘린더의 빈 시간에 투두를 드래그해 배치하세요. 예: 오전 9~11시 "제안서 기획", 오후 2시~ "제안서 작성".
  3. 실시간 수정: 일정 변경 시 노션 캘린더에서 바로 이동. 구글 캘린더와 동기화되어 업데이트됩니다.

실습: 노션 캘린더를 열고, 구글 캘린더 이벤트와 투두를 드래그해 하루 스케줄을 채워보세요. 테트리스처럼 빈 공간을 효율적으로 메우기!

더 촘촘한 관리: 고정 틀부터 디테일 채우기

기본 시스템에 더해 하루를 세밀하게 관리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 구글 캘린더로 고정 틀 설계: 생존 시간(아침 운동, 점심 휴식)을 고정 입력. 컨트롤 불가 시간(미팅, 고객 약속)도 추가해 컨트롤 가능한 시간을 확인하세요.
  • 노션 캘린더로 디테일 채우기: 빈 시간에 투두를 드래그. "이 시간에 이 작업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까?"를 고민하며 실행.
  • 수정과 피드백: 예상치 못한 변경 시 즉시 이동. 하루 끝에 데일리 리포트 작성(예: GPT 피드백 활용). "제안서 기획 시간이 부족했다 → 다음엔 1시간 더 배치"처럼 개선점을 기록하세요.

요약: 4단계 체계적 일정 관리

  1. 구글 캘린더: 고정 일정과 큰 틀 설계 (미팅, 기념일, 프로젝트 마감).
  2. 노션 프로젝트 투두 템플릿: 프로젝트를 세부 투두로 쪼개기.
  3. 노션 캘린더: 시간 단위로 실행 계획 세우기 (구글 캘린더 연동 필수).
  4. 수정 & 피드백: 매일 개선하며 시스템 완성.

이렇게 하면 24시간이 체계적인 성과로 채워집니다. 모든 도구가 무료! 노션 데이터베이스만 잘 만들면 연결됩니다.

템플릿 활용으로 빠르게 시작하기

직접 만드는 게 부담스럽다면 검증된 템플릿을 레버리지하세요.

  • 노션 공식 템플릿: 무료 프로젝트/투두 템플릿 다운로드.
  • 메이크타임 시스템(메타시): 저자 제작, 목표-일정-시간 연결 시스템. 8,000명 이상 사용 중. 후기: "변화와 성장을 경험했다!"
  • 주의사항: 본질적인 기능 중심의 템플릿 선택. 시간 에너지 절약이 핵심!

이전 영상에서 노션 템플릿 제작 안내를 확인하세요. 메타시처럼 목표 달성을 위한 시스템을 추천합니다.

마무리: 2025년, 1% 성장 쌓아 성공의 도미노 만들기

매일 시간을 기획·기록·개선하세요. 1% 성장을 쌓으면 여러분만의 워크 시스템이 되고, 꿈이 현실이 됩니다. 구글 캘린더와 노션 연동으로 하루를 48시간처럼! 2025년 목표 달성 응원합니다. 파이팅! 🚀

시작하기:

  1. 구글 캘린더에 고정 일정 입력.
  2. 노션에서 투두 템플릿 생성.
  3. 노션 캘린더 연동 후 타임블록 실습!
  4. 하루 끝 피드백 작성.

추가 팁: 영상을 반복 시청하며 연동 설정 확인. 메타시 크루처럼 성공 스토리 공유하세요!

참고

이 포스팅 따라 하루를 체계적으로 관리해보세요. 생산성이 2배로 뛸 거예요! ⏰

처음으로 

노션 왕초보를 위한 쉬운 시작 가이드: 10가지 기초 기능으로 생산성 높이기

노션 왕초보를 위한 쉬운 시작 가이드: 10가지 기초 기능으로 생산성 높이기

노션(Notion)은 단순한 메모 앱을 넘어, 개인과 팀의 생산성을 혁신적으로 끌어올리는 디지털 플래너입니다. 이 글에서는 노션 초보자도 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이 단계를 따라 하면 노션 왕초보도 스마트한 일잘러로 변신할 수 있습니다!

노션을 시작하기 전에: 3가지 핵심 개념

노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다음 세 가지 개념을 먼저 이해하세요.

  1. 명확한 목적 설정
    노션을 왜 사용하는지 명확히 정의하세요. 예를 들어, “프로젝트 일정 관리”나 “팀 협업 자동화”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면 필요한 기능만 배우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막연히 “다들 쓰니까”라는 생각은 금물!
  2. 노션은 메모 앱이 아님
    노션은 단순한 메모 도구가 아니라, 여러분만의 디지털 플래너 웹사이트입니다. 페이지 안의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프로젝트와 일정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3. 협업의 필수 도구
    노션은 개인 생산성뿐 아니라 팀 협업에서도 강력합니다. 실시간 정보 공유, 캘린더, 체크리스트로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줄이고 모두가 같은 목표를 향해 일할 수 있게 만듭니다.

노션 초보자를 위한 10가지 기초 기능과 활용 절차

노션의 핵심은 직관적이고 유연한 사용입니다. 아래 10가지 기능을 하나씩 따라 하며 노션을 익혀보세요.

1. 블록 (Block)

설명: 노션의 모든 콘텐츠는 레고 블록처럼 구성됩니다. 텍스트, 이미지, 체크리스트, 표 등이 모두 블록 단위로 관리됩니다.

활용 방법:

  1. 페이지에서 / (슬래시)를 입력해 블록 메뉴를 엽니다.
  2. /text로 텍스트, /heading 1으로 큰 제목, /to-do로 체크리스트를 추가하세요.
  3. 블록 왼쪽의 점 6개(핸들)를 드래그해 순서를 변경하거나 삭제합니다.

실습: /heading 1로 “오늘의 목표” 제목을 추가하고, /to-do로 할 일 목록(예: “노션 배우기”)을 작성 후 순서를 바꿔보세요.

2. 페이지 (Page)

설명: 페이지는 노션의 기본 작업 단위로, 하위 페이지를 무한히 만들 수 있습니다.

활용 방법:

  1. 사이드바의 + 버튼 또는 /page로 새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2. 상단 커버 이미지와 아이콘으로 페이지를 시각적으로 꾸며보세요.
  3. 페이지를 복제해 여러 버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실습: /page로 “메타시 프로젝트 관리” 페이지를 만들고, 그 안에서 /page로 “주간 계획” 하위 페이지를 추가한 뒤 커버와 아이콘을 설정해보세요.

3. 표 (Table)

설명: 데이터를 행과 열로 정리하는 간단한 도구입니다.

활용 방법:

  1. /table로 표를 생성합니다.
  2. 플러스 버튼을 눌러 열과 행을 추가하고, 배경색을 변경하세요.

실습: /table로 표를 만들고, 첫 번째 열에 “원싱”(To-do), 두 번째 열에 “넥스트 원싱”(Next To-do)을 입력하세요. 예: “노션 기초 배우기” → “메타시 실습”.

4. 토글 (Toggle)

설명: 내용을 숨기거나 보여주는 기능으로, 불필요한 정보를 정리할 때 유용합니다.

활용 방법:

  1. /toggle로 토글을 생성합니다.
  2. 삼각형 버튼을 클릭해 내용을 열고 닫습니다.

실습: /toggle로 “프로젝트 세부 정보”를 만들고, 안에서 “1단계: 목표 설정”, “2단계: 작업 분류”를 입력 후 열고 닫아보세요.

5. 콜라웃 (Callout)

설명: 특정 내용을 강조하는 블록으로, 중요한 정보를 눈에 띄게 표시합니다.

활용 방법:

  1. /callout으로 콜라웃을 추가합니다.
  2. 아이콘과 배경색을 변경해 강조하세요.

실습: /callout으로 “중요: 오늘까지 완료!”를 입력하고, 아이콘을 체크박스로 변경해보세요.

6. 데이터베이스 (Database)

설명: 노션의 핵심 기능으로, 테이블, 보드, 캘린더, 갤러리 등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활용 방법:

  1. /database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2. 테이블(기본), 보드(칸반), 캘린더(일정), 갤러리(이미지) 중 원하는 형태를 선택하세요.

실습: /table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작업 목록을 추가해 캘린더 뷰로 변경해보세요.

7. 관계형(Relation)과 롤업(Rollup)

설명: 데이터베이스 간 연결과 요약을 제공하는 고급 기능입니다.

활용 방법:

  1. /relation으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합니다.
  2. /rollup으로 연결된 데이터를 요약 표시합니다.

참고: 초보자는 이 기능을 나중에 익혀도 충분합니다. 영상에서 추천한 상세 설명 영상을 참고하세요.

8. 템플릿 (Template)

설명: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는 도구로, 미리 설정한 형식을 복제해 사용합니다.

활용 방법: 데이터베이스에서 템플릿을 추가하고, 반복적인 작업(예: 주간 계획)을 빠르게 생성하세요.

실습: 데이터베이스에 주간 계획 템플릿을 만들어 반복 작업을 추가해보세요.

9. 디자인 (Design)

설명: 페이지와 블록을 시각적으로 꾸미는 기능입니다.

활용 방법:

  1. 페이지 상단에 커버 이미지를 추가합니다.
  2. 블록의 배경색, 텍스트 색상을 변경해 개성을 더하세요.

실습: 페이지 커버와 아이콘을 추가하고, 콜라웃의 배경색을 변경해보세요.

10. 추가 꿀팁

단축키: /로 블록을 빠르게 추가하고, @로 사람/페이지를 태그하세요.

공유 기능: 페이지를 링크로 공유해 팀원과 협업하세요.

모바일-데스크톱 연동: 앱과 PC에서 실시간 동기화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

노션 AI: 텍스트 요약, 글 작성 등 AI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세요.

실습: /로 블록을 추가하고, 페이지를 공유 링크로 변환해 팀원에게 보내세요.

템플릿 활용으로 시간 절약하기

노션을 처음부터 만드는 게 부담스럽다면, 템플릿을 활용하세요.

  • 노션 공식 웹사이트: 무료 템플릿이 다양하게 제공됩니다.
  • 메이크타임 시스템: 영상 제작자가 13년 기획자 경험을 바탕으로 만든 검증된 템플릿(8,000명 이상 사용).
  • 주의사항: 제작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템플릿인지, 본질적인 기능을 제공하는지 확인하세요.

마무리: 노션으로 스마트한 일잘러 되기

노션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목표를 실현하고 삶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강력한 시스템입니다. 위 10가지 기능을 하나씩 실습하며 익히고, 템플릿을 활용해 시간을 절약하세요. 꾸준히 사용하다 보면, 여러분도 생산성을 높이고 협업에서 돋보이는 일잘러로 거듭날 것입니다!

시작하기:

  1. 노션을 열고 빈 페이지를 만드세요.
  2. /로 블록을 추가하며 실습 시작!
  3. 영상에서 추천한 기능을 반복 연습하며 익숙해지세요.

추가 팁: 영상을 반복 시청하며 놓친 부분을 복습하고, 템플릿을 적극 활용해 빠르게 시작하세요. 노션을 포기하지 말고, 여러분의 목표 달성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뎌 보세요!

참고

  • 유튜브 영상: 노션 왕초보 가능 | Ep.01
  • 템플릿 추천: 노션 공식 사이트 또는 메이크타임 시스템 템플릿 활용
  • 더 궁금한 점은? 영상 제작자의 다른 콘텐츠를 참고하거나 노션 커뮤니티에서 질문하세요!

이 포스팅을 따라 노션을 시작해보세요. 여러분의 생산성이 4배로 뛸지도 모릅니다! 🚀


유튜브 영상 “[노션 왕초보 가능] 노션으로 월급 4배 오른 사람이, 노션 초보자를 위해 쉽게 알려드림 | Ep.01”를 기반으로 핵심 절차와 10가지 기초 기능을 정리해드렸습니다.처음으로 

매주 자동 리프레시되는 루틴 체크리스트" 구현 가이드: Notion 명령어 및 코딩 활용

매주 자동 리프레시되는 루틴 체크리스트" 구현 가이드: Notion 명령어 및 코딩 활용

이 가이드는 노션을 실생활에 활용하며 응용력을 높이기 위해, "매주 자동 리프레시되는 루틴 체크리스트"를 Notion에서 구현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매주 자동 리프레시되는 루틴 체크리스트
특히 /로 시작하는 Notion 명령어Formula 코딩을 활용해 사용자가 직접 따라 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노션의 코딩 수준이 업그레이드된 점을 살려, 실용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구조 만들기목적: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루틴 체크리스트의 기본 뼈대를 설정.

  • 단계 1-1: 새 페이지 생성
    • /new 입력 > "주간 루틴 체크리스트" 입력 > Enter.
    • 빈 페이지에서 /table 입력 > "Table - Inline" 선택.
  • 단계 1-2: 속성(필드) 추가
    • 기본 "Name" 필드 클릭 > "할 일(Task)"로 수정.
    • /property 입력 > 우측 + 버튼 클릭 > "Checkbox" 선택 > 이름: "완료" > Enter.
    • /property > + 버튼 > "Date" 선택 > 이름: "주 시작일" > Enter.
    • (선택) /property > + 버튼 > "Date" 선택 > 이름: "완료일" > Enter.
  • 코딩 활용: "주 시작일"을 매주 일요일로 자동 설정하려면 Formula 사용.
    • 속성 추가: /property > "Formula" 선택 > 이름: "주 시작일 계산".
    • 코드 입력:
      dateSubtract(now(), mod(dateBetween(now(), dateStart(now()), "days"), 7), "days")
    • 설명: now()로 현재 날짜를 가져오고, mod와 dateSubtract로 현재 주의 일요일을 계산. "주 시작일" Date 속성에 연결해 수동 입력 대신 자동화.

2. 템플릿 및 자동 리프레시 설정목적: 반복 루틴을 템플릿으로 저장하고, 매주 일요일 자동 생성.

  • 단계 2-1: 템플릿 생성
    • 데이터베이스 우측 ▼ 클릭 > /template 입력 > "새 템플릿" 선택.
    • 템플릿 이름: "주간 루틴" > Enter.
    • 내용 입력:
      • "아침 스트레칭" (새 행) > "이메일 확인" (새 행) > "업무 정리" (새 행).
    • "주 시작일"은 비워둠 (자동 입력 예정).
    • 저장: 우측 상단 ✓ 클릭.
  • 단계 2-2: 자동 리프레시 설정
    • 데이터베이스 상단 ⋯ 클릭 > /automation 입력 > "New automation" 선택.
    • Trigger: "Recurring" > "Every week" > "On Sunday" > 시간: 12:00 AM KST (현재 2025-08-30 23:40 KST 기준, 다음 일요일 2025-09-07 00:00).
    • Action: "Create a page from template" > 템플릿: "주간 루틴".
    • 추가 설정: "Set property value" > "주 시작일"에 위 Formula 결과 연결.
  • 코딩 활용: 템플릿 내 동적 데이터 삽입을 위해 변수 사용.
    • 템플릿 Formula: /property > "동적 메시지" (Formula) > 코드:
      "이번 주 시작: " + formatDate(prop("주 시작일"), "YYYY-MM-DD")
    • 설명: "주 시작일" 값을 텍스트로 변환해 템플릿에 동적 표시.

3. 주중 수정 및 항목 관리목적: 주중 루틴 항목을 유연하게 추가/수정/삭제.

  • 단계 3-1: 버튼 생성
    • 데이터베이스 내 커서 위치 > /button 입력 > "버튼" 선택.
    • 버튼 이름: "새 루틴 항목 추가" > Enter.
  • 단계 3-2: 버튼 동작 설정
    • 버튼 클릭 > "Add action" > "Create a new database item".
    • 템플릿: "주간 루틴" 선택.
    • "Set property value" > "주 시작일"에 prop("주 시작일 계산") 연결.
    • 저장: ✓ 클릭.
  • 단계 3-3: 수동 수정
    • 새 항목 추가: 데이터베이스 하단 "New" 클릭 > "할 일" 입력.
    • 수정: 행 클릭 > 내용 편집.
    • 삭제: 행 우클릭 > "Delete".
  • 코딩 활용: 완료율 계산 Formula.
    • /property > "완료율" (Formula) > 코드:
      if(prop("완료"), 1, 0)
    • Rollup 추가: /property > "주간 완료율" (Rollup) > Target: "완료율" > Calculate: Average.

4. 체크 및 리프레시 관리목적: 매일 체크하고, 매주 리셋.

  • 단계 4-1: 체크 관리
    • "완료" 체크박스 클릭으로 매일 기록.
    • Automation: Trigger: "Property changed" ("완료" to true) > Action: "Set property value" > "완료일" to now().
  • 단계 4-2: 리셋 버튼
    • /button > 이름: "루틴 리셋" > Enter.
    • Action: "Edit property" > "완료" to false > Apply to: All items in this database.
    • 저장: ✓ 클릭.
  • 코딩 활용: 아카이브 필터링 Formula.
    • /property > "상태" (Formula) > 코드:
      if(dateBetween(now(), prop("주 시작일"), "days") > 7, "지난주", "이번주")
    • 설명: "주 시작일"이 7일 지난 항목을 "지난주"로 분류.

5. 기록 관리목적: 지난주 데이터 분석.

  • 단계 5-1: 필터 설정
    • 데이터베이스 상단 "Filter" 클릭 > "주 시작일" > "is in the past week".
  • 단계 5-2: 성취율 분석
    • Rollup "주간 완료율"으로 평균 확인.
  • 코딩 활용: 추이 분석 Formula.
    • /property > "주간 트렌드" (Formula) > 코드:
      if(prop("주간 완료율") > 0.7, "좋음", "개선 필요")
    • 설명: 완료율 70% 이상 시 긍정적 피드백.

구현 요약

  • /new, /table, /property, /template, /button, /automation 명령어로 구조화.
  • Formula 코딩으로 "주 시작일", "완료율", "상태" 등을 자동화.
  • 매주 일요일 00:00 KST에 리프레시, 주중 수정 가능.
이 과정을 따라 하면 노션의 코딩과 자동화 기능을 활용해 실생활 루틴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직접 시도하며 응용해보세요! 추가 질문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시작으로

노션은 블록으로 생각하고 응용하기 시리즈1, 5가지 핵심 기능 따라하기

노션은 블록으로 생각하고 응용하기 시리즈1,  5가지 핵심 기능 따라하기

노션을 처음 사용한다면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5가지 기능을 따라하면 노션의 강력한 구조를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각 기능별로 실제 페이지에서 / 명령어를 이용해 만드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노션은 블록으로 생각하고 응용하기,시리즈1

1. 속성을 가진 페이지 만들기

예시: 할 일 관리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1. 새 페이지를 만들고, 입력창에서 /table을 입력해서 “테이블(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합니다.
  2. 표에 ‘할 일’, ‘마감일’, ‘상태’ 등 열(속성)을 추가합니다.
    • 각 열 헤더를 클릭해 속성 유형(텍스트, 날짜, 선택 등)을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3. 각 행에 할 일을 추가하고, 마감일 및 상태도 입력합니다.
/table → 표 만들기 → 열 이름을 클릭해 속성(날짜, 선택 등) 지정 → 할 일 추가

2. 모듈식 페이지 만들기

예시: 블록 단위로 다양한 콘텐츠 추가하기

  1. 페이지에서 /를 입력하면 다양한 블록 메뉴가 뜹니다.
    • /heading → 제목 추가
    • /bulleted list → 점 목록 추가
    • /image → 이미지 추가
    • /todo → 체크리스트 추가
  2. 원하는 블록을 선택해 내용을 입력하고, 드래그&드롭으로 순서를 바꿀 수 있습니다.
/heading → 제목 입력
/bulleted list → 주요 항목 정리
/todo → 작업 체크리스트 만들기

3. 페이지 안의 페이지 안의 페이지 만들기

예시: 프로젝트별 하위 페이지 구조화

  1. 프로젝트용 새 페이지를 만들고 /page를 입력해 “하위 페이지”를 선택합니다.
  2. ‘회의록’, ‘참여자’, ‘일정’ 등 세부 주제별로 하위 페이지를 만들어 구조화합니다.
  3. 하위 페이지 안에서도 다시 /page로 더 깊은 하위 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page → ‘회의록’ 하위 페이지
‘회의록’ 페이지에 또 /page → ‘참석자 정보’ 하위 페이지

4. 엑셀처럼 테이블 활용하기

예시: 재무 관리표 만들기

  1. 새 페이지에서 /table을 입력해 “테이블(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합니다.
  2. ‘항목’, ‘금액’, ‘날짜’, ‘분류’ 등 열을 자유롭게 추가합니다.
  3. 셀을 클릭해 내용을 입력하고, 열을 추가하거나 필터(상단 메뉴)를 통해 원하는 정보만 추릴 수 있습니다.
/table → 데이터 열 추가(금액, 날짜, 선택 등) → 데이터 입력
테이블 메뉴에서 필터/정렬 기능 사용

5. 링크 추가하기

예시: 관련 페이지와 웹사이트 연결하기

  1. 텍스트를 입력한 후, /link to page를 입력해 노션 내 다른 페이지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2. 외부 웹사이트를 연결하려면 텍스트 선택 후 Ctrl+K 또는 ‘링크’ 메뉴를 통해 URL을 삽입합니다.
  3. [[페이지명]]을 입력해 즉시 내부 페이지 링크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link to page → 관련 내부 페이지 선택
텍스트 블록에서 ‘링크’ 아이콘 클릭 또는 Ctrl+K → URL 입력

결론

노션은 / 명령어만으로 핵심 기능들을 빠르게 익히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를 하나하나 따라 해보세요. 처음엔 단순하지만 점차 더 많은 기능과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합니다!

도전 Tip:

실제 노션에서 새 페이지를 열고, 단계별로 / 명령어를 따라 입력하며 필요한 내용을 채워보세요.
이렇게 연습하면 노션의 구조와 장점을 누구나 쉽게 직접 익힐 수 있습니다!

처음으로

모바일 노션에서 표에 행과 열을 더 추가하는 방법

모바일 노션에서 표에 행과 열을 더 추가하는 방법

오늘의 주제는 노션의 표에서 행열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노션은 표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표 종류의 모듈을 관리할 수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Notion에서는 기본 표table(데이터베이스가 아닌 간단한 표)에 행과 열을 직접 추가하는 기능은 제한적입니다. 

모바일노션-표관리하기

모바일 앱(iOS나 Android)에서는 표를 터치할 때 + 버튼이 나타나지 않아 직접 확대할 수 없거든요. 하지만 몇 가지 우회 방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1. PC나 웹 버전에서 미리 추가하기

가장 확실한 방법은 모바일에서 직접 하지 않고, 데스크톱 환경에서 표를 편집하는 거예요. Notion은 모든 기기에서 실시간 동기화되기 때문에 이게 효과적입니다:
  • 컴퓨터에서 Notion 열기: 웹 브라우저(예: Chrome)나 데스크톱 앱으로 해당 페이지를 열어요.
  • 표 편집 모드: 표의 오른쪽 끝이나 하단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이걸 클릭하거나 드래그해서 원하는 만큼 행(가로 줄)이나 열(세로 줄)을 추가하세요. 예를 들어, 10행 5열로 확대할 수 있어요.
  • 저장 후 모바일 확인: 변경 사항이 자동 저장되면 모바일 앱에서 새로고침하거나 앱을 재시작하면 업데이트된 표가 보입니다. 이제 모바일에서 내용을 채우며 사용할 수 있어요.

2. 모바일에서 간접적으로 시도하는 팁

직접 추가는 안 되지만, 일부 트릭으로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어요:
  • 셀 병합이나 복사 활용: 모바일에서 표 셀을 길게 누르면 복사/붙여넣기 메뉴가 뜹니다. 기존 행을 복사해 붙여넣으면 수동으로 행을 늘릴 수 있지만, 이는 불편하고 열 추가에는 적용되지 않아요.
  • 새 표 생성 후 병합: 모바일에서 여러 작은 표를 만들어 붙여놓는 식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이는 추천하지 않아요 – PC에서 한 번에 하는 게 훨씬 효율적입니다.

3. 데이터베이스로 대체 고려

어떤 질문에서는 기본 표table를 지정하셨지만, 모바일 노션의 경우에는 행 추가가 훨씬 쉬운 데이터베이스 표를 추천합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 모바일에서 /table 입력 후 "Table - Inline" 선택.
  • 표 아래에 "New" 버튼이 있어 행을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열은 속성 추가로 늘릴 수 있어요.
이 기능이 모바일에서 제한된 건 Notion의 인터페이스 설계 때문으로 보이는데, 미래 업데이트에서 개선될 수 있어요. 만약 Android나 iOS 버전, 또는 특정 표 유형에 대한 더 세부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을수 있조?   지금까지는 모바일 Notion에서 간단한 표(데이터베이스 아닌 기본 표)의 행과 열을 추가하는 기능은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것을 말씀 드렸습니다. 

4. 모바일노션 표table 관리의 주요 포인트

  • 행/열 추가 불가능하다. 

모바일 앱(아이폰, 안드로이드)에서는 기본 표를 처음 만들 때 보통 3열 x 2행 정도로 고정되어 나타나고, 이를 직접 확대하거나 행/열을 추가하는 버튼(+ 아이콘)이 노출되지 않습니다. PC나 웹 버전에서처럼 표 끝에 마우스를 올려 + 버튼을 드래그하는 방식이 모바일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지원되지 않아요. 이는 Notion의 모바일 버전이 데스크톱만큼 세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크기 조절도 어려움: 

표의 셀 너비나 전체 크기를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이는 것도 모바일에서 직접 할 수 없어요. 예를 들어, PC에서 속성 유형을 임시로 '체크박스'로 바꿔 최소 너비로 조절하는 팁이 있지만, 모바일 앱에서는 이런 속성 편집이 제한적입니다.

5. 모바일 노션 표, 해결 방안 정리

모바일에서 표를 더 크고 많게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우회하는 게 현실적이라는 겁니다.

PC나 웹에서 먼저 편집: Notion 웹 버전(브라우저)이나 데스크톱 앱에서 표를 열고, 행/열을 추가하세요. 표 하단이나 오른쪽 끝에 + 버튼을 드래그하면 여러 행/열을 한 번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제목 행/열 설정이나 셀 병합(아직 미지원)도 여기서 해보세요.

모바일로 동기화: PC에서 저장하면 모바일 앱에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이렇게 하면 모바일에서 보기/편집할 때 이미 확대된 표를 사용할 수 있어요.

대안으로 데이터베이스 고려: 질문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피하고 싶다고 하셨지만, 모바일에서도 행 추가가 상대적으로 쉬운 데이터베이스 표를 사용하는 게 편할 수 있습니다. /table 명령어로 간단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모바일에서 '새 페이지 추가'로 행을 늘릴 수 있어요.

앞으로는 나아지겠지만, 이 기능이 원래부터 모바일에서 불가능한 건 Notion의 설계 때문으로 보이는데요, 업데이트로 개선될 가능성은 아주 큽니다. 언제일까요?

처음으로 

노션 페이지 초대: 게스트나 멤버로 초대받아야 자신의 앱에서 확인 가능한 이유와 방법

노션 페이지 초대: 게스트나 멤버로 초대받아야 자신의 앱에서 확인 가능한 이유와 방법

노션은 강력한 협업 도구로, 페이지를 공유할 때 단순히 링크를 보내는 것 이상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해당 페이지에 게스트나 멤버로 초대받아야 자신의 노션 앱 등에서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이 중요하죠. 이 포스팅에서는 이 내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그런 시스템이 필요한지, 그리고 초대받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노션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안내할게요.
노션의 초대

'노션 페이지 초대'는 무엇인가?

노션에서 페이지를 공유받을 때, 단순히 웹 링크로 보는 것은 누구나 가능하지만, 자신의 노션 계정(앱이나 웹 버전)에서 해당 페이지를 사이드바에 추가하고 지속적으로 접근·관리하려면 초대가 필요합니다.
  • 게스트(Guest): 특정 페이지에만 초대되어 접근할 수 있는 외부 사용자. 워크스페이스 전체가 아닌 초대된 페이지(와 그 하위 페이지)만 볼 수 있습니다.
  • 멤버(Member): 워크스페이스에 정식으로 추가된 내부 사용자. 전체 워크스페이스의 콘텐츠에 접근 가능하며, 더 넓은 권한을 가집니다.
초대받지 않고 링크로만 접근하면 브라우저에서 일시적으로 볼 수 있지만, 자신의 노션 앱 사이드바에 페이지가 나타나지 않아 장기적인 확인이나 편집이 불편합니다. 초대받으면 페이지가 자신의 계정에 "연결"되어 앱에서 바로 열리고, 알림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왜 초대 받아야 하는 가, 이런 시스템이 필요한이유

노션의 초대 시스템은 보안, 효율성, 비용 관리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단순 링크 공유만으로는 모든 사람이 무제한 접근할 수 있어 데이터 유출 위험이 있지만, 초대를 통해 권한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 보안과 권한 관리: 게스트는 특정 페이지에만 제한적으로 접근하므로, 외부 협업자(예: 클라이언트나 파트너)가 불필요한 정보를 보지 못하게 합니다. 멤버는 팀 내부자라 전체 접근이 허용되지만, 관리자가 초대를 통제합니다.
  • 협업 효율성: 초대받으면 자신의 노션 앱에서 페이지가 "내 작업 공간"처럼 보이므로, 앱 내에서 검색·편집·댓글 달기가 쉬워집니다. 링크만으로는 로그아웃 상태에서만 보이거나, 앱에서 직접 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비용 절감: 게스트는 무료로 초대 가능(유료 플랜에서도 과금되지 않음). 반면 멤버는 유료 플랜에서 1인당 비용이 발생하므로, 단기 프로젝트에는 게스트를 활용하는 게 경제적입니다.
  • 왜 앱에서 확인 가능해지는가?: 초대 시 노션이 사용자의 이메일(노션 계정)을 연결해 페이지를 "공유" 상태로 만듭니다. 이렇게 해야 자신의 계정에 페이지가 등록되어 앱 사이드바나 검색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 덕분에 노션은 개인 작업부터 대규모 팀 협업까지 유연하게 지원합니다. 만약 초대 없이 링크만 공유하면 "읽기 전용"으로만 보일 뿐, 자신의 앱에 통합되지 않습니다.

게스트나 멤버로 초대받는 방법

초대는 페이지 소유자(또는 관리자)가 진행하며, 초대받는 사람은 이메일로 알림을 받고 노션에 로그인해 수락합니다. 아래는 단계별 방법입니다.

1. 게스트 초대 방법 (특정 페이지에 초대, 무료)

게스트는 외부인과의 단기 협업에 적합합니다. 초대받으면 해당 페이지가 자신의 노션 앱 사이드바에 "공유된 페이지"로 나타납니다.

초대하는 쪽 (소유자):

  • 페이지 상단의 공유(Share) 버튼을 클릭합니다.
  • 초대 란에 초대할 사람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 오른쪽에서 권한을 선택: 전체(Full access, 공유·편집 가능), 편집(Edit, 편집만), 댓글(Comment, 댓글만), 읽기(View only, 보기만).
  • 초대(Invite) 버튼을 누릅니다. (워크스페이스 설정에서 게스트 초대를 금지한 경우 자동으로 멤버가 됩니다.)

초대받는 쪽:

  • 이메일 알림을 받고 노션 앱이나 웹에 로그인합니다.
  • 사이드바에 초대된 페이지가 나타나며, 클릭해 접근합니다. 앱에서 바로 확인·편집 가능합니다.
게스트는 다른 사람을 초대할 수 없고, 초대된 페이지 외에는 접근 불가합니다.

2. 멤버 초대 방법 (워크스페이스 전체에 초대, 유료 플랜 추천)

멤버는 팀 내부자용으로, 초대받으면 전체 워크스페이스가 자신의 앱에 추가되어 모든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초대하는 쪽 (관리자):

  • 사이드바에서 워크스페이스 이름 옆 화살표를 클릭 > 설정과 멤버(Settings & members) 선택.
  • 멤버 초대(Invite members) 버튼을 누르고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 권한 선택 (관리자 또는 일반 멤버) 후 초대 전송.
  • 또는 초대 링크를 복사해 공유합니다.

초대받는 쪽:

  • 이메일 알림 확인 후 노션에 로그인.
  • 워크스페이스가 앱 사이드바에 추가되며, 모든 페이지가 보입니다. 앱에서 자유롭게 탐색·편집 가능합니다.
멤버는 다른 멤버를 초대할 수 있지만, 유료 플랜에서 1인당 비용이 발생합니다(예: 플러스 요금제에서 추가 과금).

추가 팁

  • 권한 차이 요약 (표로 비교):
항목게스트멤버
접근 범위특정 페이지(하위 포함)만워크스페이스 전체
권한 수준보기/댓글/편집 (설정에 따라)생성/편집/삭제/공유 가능
초대 가능불가가능 (관리자 설정에 따라)
비용무료유료 플랜에서 1인당 과금
적합 용도단기 프로젝트, 외부 협업장기 팀 작업, 내부자
  • 문제 발생 시: 초대받았는데 앱에서 보이지 않으면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하거나, 이메일 도메인 확인(학교나 회사 이메일 필요 시). 교육용 계정은 별도 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주의: 개인 요금제에서는 게스트만 초대 가능하며, 팀 요금제로 업그레이드해야 멤버 추가가 됩니다.

마무리

노션은 협업이 가능합니다. 어떻게? 노션의 게스트·멤버 초대 시스템은 단순 공유를 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자신의 노션 앱에서 페이지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올라갑니다. 만약 초대 관련 문제가 생기면 노션 지원팀에 문의하세요.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래요! 노션으로 더 스마트한 작업 생활을 시작해 보세요. 
노션!  개인용, 협업작업에서 깃허브github만큼이나 좋습니다.

처음으로 

Notion 초보자 가이드: 설치부터 시작까지( a to z)

Notion 초보자 가이드: 설치부터 시작까지

우리에게 노션은 어떤 장난깜일까? Notion은 메모, 작업 관리, 데이터베이스, 협업을 위한 다용도 올인원 작업 공간입니다. 간단한 할 일 목록부터 복잡한 프로젝트 추적기까지 모든 것을 처리할 수 있는 맞춤형 디지털 노트북과 같습니다. 이 가이드는 절대적인 초보자, 왕초보를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설치, 설정, 기본 사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1단계: Notion 설치하기

Notion은 데스크톱, 웹, 모바일에서 모두 작동합니다. 최고의 경험을 위해 데스크톱 앱으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운로드 및 설치:

  • 공식 Notion 웹사이트(notion.so)를 방문하여 데스크톱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운영 체제(Windows, Mac)를 선택합니다. Linux의 경우, 추가 기능을 위해 notion-repackaged 같은 서드파티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설치 프로그램(.exe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고 안내에 따릅니다. 일반적으로 관리자 권한 없이 빠르게 설치됩니다.

  • Mac: .dmg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애플리케이션 폴더로 드래그합니다.

  • 설치 후 앱을 실행합니다. 설치 없이 브라우저에서 바로 웹 버전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Linux 사용자는 Ubuntu 같은 배포판을 위한 AppImage 또는 .deb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은 iOS 및 Android 앱 스토어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2단계: 회원 가입 및 계정 설정

앱 또는 웹 버전을 열고 무료 계정에 가입합니다.

  • 이메일, Google 또는 Apple ID를 사용하여 계정을 만듭니다. 무료 플랜은 개인용으로 충분하며, 팀을 위한 유료 플랜(예: Plus 플랜)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하면 빈 작업 공간이 나타납니다. Notion은 시작을 돕기 위해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간단한 할 일 목록이나 개인 대시보드 같은 템플릿을 선택해 탐색해 보세요.

  • 전문가 팁: 설정 및 멤버(계정의 설정)기본 설정에서 테마, 알림, 연동(연결) 등을 즉시 조정하여 환경을 맞춤 설정을 할수있습니다.

기본 설정

3단계: 기본 탐색 및 인터페이스

Notion의 인터페이스는 깔끔하고 직관적입니다.

  • 사이드바: 왼쪽에는 작업 공간 페이지, 검색창, 빠른 링크가 있습니다. 이를 사용해 페이지를 탐색하거나 새로 만들 수 있습니다.

  • 페이지: Notion의 모든 것은 페이지입니다. 사이드바의 +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새 페이지를 만듭니다.

  • 검색: 상단의 검색창을 사용하면 작업 공간 내 모든 것을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업데이트 및 휴지통: 최근 변경 사항을 확인하거나 삭제된 항목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 빈 페이지를 탐색하며 시작해 보세요. 슬래시(/)를 입력하면 텍스트, 제목, 이미지 같은 블록 메뉴가 나타납니다.

    인터페이스

4단계: 페이지와 블록으로 콘텐츠 만들기

블록은 Notion의 핵심입니다. 레고 조각처럼 재배치할 수 있습니다.

기본 블록 추가:

  • 페이지에 입력하여 텍스트를 만듭니다. 마크다운 단축키를 사용하세요: #은 제목, -은 글머리 기호, >는 인용구입니다.

  • /를 누르고 할 일 목록, 이미지, 구분선 같은 옵션을 선택합니다.

  • 예시: /todo를 입력하여 할 일 목록을 만들고, 완료 시 체크합니다.

페이지 구성:

  • 블록을 드래그하여 재배치하거나, 블록을 다른 블록 옆으로 드래그하여 열을 만듭니다.

  • 하위 페이지 추가: /page를 입력하여 현재 페이지 안에 새 페이지를 삽입합니다. 위키나 중첩된 메모에 유용합니다.

  • 맞춤 설정: 상단의 ... 메뉴를 통해 페이지 아이콘, 커버, 글꼴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한 개인 대시보드 만들기: "나의 할 일" 같은 제목을 추가하고, 할 일 블록과 캘린더를 삽입해 보세요.


5단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정리

데이터베이스는 Notion을 구조화된 데이터를 위한 강력한 도구로 변모시킵니다. 스프레드시트와 메모가 결합된 형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 /database를 입력하고 테이블, 보드, 캘린더 같은 보기를 선택합니다.

  • 속성 추가: 이름, 날짜, 태그, 상태 같은 열(속성)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마감일과 필터가 있는 콘텐츠 캘린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맞춤 설정 및 사용:

  • 항목을 정렬, 필터링,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예: 우선순위에 따라 할 일 필터링).

  • 보기: 목록을 위한 테이블 보기와 프로젝트를 위한 칸반 보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 고급 기능: 데이터베이스를 관계로 연결하거나, 수식을 사용하여 작업 시간을 합산하는 등의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 시도해 보기: 날짜, 의제, 메모 열이 있는 회의록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보세요.


6단계: 공유 및 협업

Notion은 팀워크에 탁월합니다.

  • 페이지 공유: 상단의 공유 버튼을 클릭하여 이메일로 초대하거나 공개 링크를 생성합니다.

  • 권한 설정: 보기 전용, 편집, 댓글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팀의 경우, 공유 작업 공간을 만드세요.

  • 댓글: 텍스트를 강조 표시하고 댓글을 추가하여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공개: 페이지를 외부 공유를 위한 공개 웹사이트로 게시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사무실 매뉴얼 페이지를 팀원과 공유하여 함께 편집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팁

  • 작게 시작하세요: 한 번에 너무 많은 것을 하려고 하지 말고, 한 페이지부터 시작하여 확장해 나가세요.

  • 템플릿 탐색: Notion 갤러리에는 작업 관리, 위키 등 미리 만들어진 다양한 템플릿이 있습니다.

  • 더 알아보기: 2025년 업데이트를 다루는 2시간짜리 초보자 강좌처럼 실습을 위한 무료 영상 튜토리얼을 확인해 보세요.

  • 일반적인 문제: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 도움말 버튼을 사용하거나 Notion 공식 가이드를 검색하세요.

이러한 기본 사항만으로도 Notion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게 실험하고 맞춤 설정해 보세요. Notion은 매우 유연한 도구입니다. 고급 수식과 같은 특정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하세요!



처음으로

노션의 구조

노션의 구조

오늘의 노션의 구조, 계층적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노션에서 '새로운 워크스페이스'와 '새 페이지'는 기능적으로 완전히 다른 개념이 있조!  이 둘의 관계를 이해한다면 노션의 구조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노션 시작하기

1. 워크스페이스 (Workspace)

그럼 워크스페이스, 작업공간은 무엇일까요? 노션의 워크스페이스는 가장 큰 개념의 '작업 공간' 또는 '회사같은 조직'입니다. 계정과 워크스페이스를 왜 보여드릴까요? 계정의 바로 아래 워크스페이스가 존재한다는 거조! 계정이 곧 작업공간이다.  이렇게 생각한다면....당신의 생각은?

계정과 워크스페이스

워크스페이스는 Notion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우리의 모든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문서들이 저장되고 관리되는 공간을 말하조. 현재  워크스페이스는 "tv 영미당의 Notion"입니다. 이 워크스페이스 안에는 다양한 작업을 할수있는데, 에를들면, 작성한 모든 페이지들, 만든 데이터베이스들, 업로드한 파일들, 그리고 팀원들과 공유하는 문서들 그것입니다.  이 모든 것들이 포함되어 있는 곳이 워크 스페이스가 됩니다.

쉽게 말해서 워크스페이스는 당신의 디지털 작업 공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치 실제 사무실이나 책상처럼, 모든 작업 자료들이 정리되어 있는 곳이죠.

  • 독립된 공간: 하나의 워크스페이스는 별도의 독립된 작업 환경을 의미합니다. 회사, 개인 작업, 팀 프로젝트 등 완전히 분리된 내용을 관리할 때 사용합니다. 분리되었다 합체되는 객체같은 존재입니다.

  • 멤버 관리: 워크스페이스는 멤버를 초대하고 관리하는 가장 상위의 단위입니다. 팀원이나 동료를 초대하여 함께 작업하고, 멤버별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브젝트이니 가능하겠조!!

  • 설정 및 관리: 워크스페이스 전체의 설정(이름, 아이콘, 도메인, 보안 설정 등)을 관리하는 곳입니다. 워크스페이스 소유자만이 이러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맞아요, 누군가는 권한을 가지고 전체 조직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이것이 계층적 사고입니다. 수평적이나 질서를 유지하라!!! 너를 자유롭게 하리라!

  • 사용 예:

    • 회사 업무용 워크스페이스(페르조나, 공적인 페르조나)

    • 개인적인 메모나 할 일을 위한 워크스페이스(사적인 페르조나)

    • 특정 프로젝트 팀을 위한 워크스페이스(협동 페르조나)

이들이 모여 사는 곳, 각각이며 유일한 오브젝트가 노션안에 있다는 것이조!!

2. 페이지 (Page)

페이지는 워크스페이스 내에서 콘텐츠를 담는 '문서' 또는 '파일'을 말합니다. 수많은 유형의 콘텐츠를 담고 있는 노션!  그래서 우리는 이를 좋아합니다.

페이지

  • 콘텐츠의 최소 단위: 페이지는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등 모든 콘텐츠를 담을 수 있는 빈 도화지 같은 공간입니다. 노션의 모든 정보는 페이지 안에 블록 형태로 존재합니다.

  • 계층적 구조: 페이지는 페이지 안에 또 다른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계층적 구조를 가집니다. 마치 폴더 안에 파일을 넣고, 그 파일 안에 또 다른 폴더를 넣는 것과 같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단독 사용 가능: 페이지는 독립적으로 생성되거나 다른 페이지의 하위 페이지로 생성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

    • 회의록 페이지

    • 프로젝트 계획 페이지

    • 개인 일기 페이지

    • 고객 데이터베이스 페이지

핵심 차이점 요약

이제 이들을 정리해서 요약해 봅시다. 계정이 있으면 이 계정이 작업하는 공간, 워크스페이스가 있고 우리가 전원주택, 시골집이 있듯이 새 워크스테이션을 만들수 있겠조!!

구분새로운 워크스페이스새 페이지
개념독립된 작업 공간 (회사, 팀)콘텐츠를 담는 문서 (파일)
규모가장 상위의 단위워크스페이스의 하위 단위
목적작업 환경 분리, 멤버 관리정보 정리, 콘텐츠 작성
관계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워크스페이스 안에 속한 내용물

새 워크스테이션

결론적으로, 노션의 구조는 "워크스페이스 → 페이지 → 블록"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새로운 워크스페이스는 새로운 회사를 만드는 것과 같고, 새 페이지는 그 회사 안에서 새로운 문서를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와우 노션,  멋진 노션의 세계로 한 발자국 더 가까이 가봅시다.

처음으로 

노션 사용, 궁금증을 해결해 줄 Q&A[시리즈10-완성]

노션 사용, 궁금증을 해결해 줄 Q&A[시리즈10-완성]

여러분 축하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노션 초보를 넘어, 원하는 것을 직접 만들어낼 수 있는 사용자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지난까지  9개의 가이드글을 통해 노션의 기본 모듈부터 워크스페이스 구조화, 데이터베이스, 협업, 그리고 템플릿 활용법까지 모두 익혔으니까요.  이제 마지막 챕터 10번째입니다!!

노션QnA

마지막 가이드에서는 그동안 많은 분들이 궁금해했던 질문들을 모아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이 Q&A가 노션의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질의 응답시간

Q1. 노션은 유료인가요? 무료 버전으로도 충분한가요?

노션은 기본적으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 버전은 페이지와 블록 생성에 제한이 없어 개인용으로는 거의 무제한으로 쓸 수 있습니다. 단, 게스트(외부 협업자) 초대 인원이나 파일 업로드 용량에 제한이 있습니다.

  • 개인 사용자: 대부분의 개인 사용자는 무료 버전만으로도 충분합니다.

  • 팀/기업 사용자: 여러 명이 함께 작업하고 대용량 파일 업로드가 필요하다면 유료 플랜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Q2. 실수로 내용을 삭제했어요. 복구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노션의 '페이지 이력' 기능을 사용하면 과거의 내용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 복구 방법: 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 버튼을 클릭하고 '페이지 이력'을 선택하세요. 변경 이력이 시간순으로 나열되는데, 원하는 시점을 선택하면 해당 시점의 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실수로 지운 내용을 복구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Q3. 노션에서 글자 모양을 바꾸거나, 폰트를 추가할 수 있나요?

노션은 현재 3가지 기본 글꼴(기본, 세리프, 모노)만 지원합니다. 폰트를 직접 추가하는 기능은 아직 제공되지 않지만, 다음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

  • 글꼴 변경: 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를 누른 후 '글꼴' 메뉴에서 원하는 글꼴을 선택하세요.

  • 글씨 꾸미기: 글자를 드래그하면 굵게, 기울임, 밑줄, 취소선, 그리고 색상과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가 나타납니다.

Q4. 모바일에서도 노션을 사용할 수 있나요?

네, 물론입니다. 노션은 PC, 모바일, 태블릿 등 모든 기기에서 동기화되는 앱을 제공합니다.

  • 동기화: PC에서 작업한 내용이 모바일 앱에서도 실시간으로 동기화됩니다. 이동 중에도 할 일이나 메모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죠.

  • 오프라인 사용: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페이지를 수정하고 메모를 남길 수 있습니다. 인터넷이 다시 연결되면 자동으로 동기화됩니다.

Q5. 노션으로 만든 페이지를 다른 사람과 공유했는데, 그 사람이 수정하지 못하게 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공유할 때 '권한'을 설정하면 됩니다.

  • 설정 방법: 페이지 상단 '공유' 버튼을 누른 후, 공유 대상 옆의 권한을 '보기 가능'으로 설정해 보세요. 이렇게 하면 다른 사람이 페이지 내용을 보기는 하지만, 수정하거나 댓글을 남길 수는 없습니다.


노션, 여러분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합니다!

이것으로 노션 쉽게 사용하기 가이드글 시리즈를 마칩니다. 노션은 단순히 기록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여러분의 생각과 업무 방식을 혁신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제 익숙한 기능들을 활용하며 여러분의 필요에 맞춰 노션 워크스페이스를 확장해 보세요. 여러분의 노션 여정을 응원하겠습니다!

처음으로 

노션 템플릿, 똑똑하게 활용하는 법[시리즈9]

노션 템플릿, 똑똑하게 활용하는 법[시리즈9]

지금까지 노션의 기본적인 블록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나만의 워크스페이스를 직접 만들어봤습니다. 하지만 노션의 모든 기능을 처음부터 다 배우고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죠.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노션 템플릿'입니다.

똑똑하게 활용하는 법

노션 템플릿은 이미 전문가들이 잘 만들어 둔 워크스페이스나 페이지 양식입니다. 템플릿을 활용하면 복잡한 기능도 클릭 한 번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노션 사용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템플릿을 똑똑하게 활용하는 3가지 방법을 알려 드릴게요.

1. 템플릿 갤러리 활용하기

노션은 공식적으로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갤러리'를 운영합니다. 이 갤러리에는 업무, 개인,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템플릿이 무료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 접근 방법: 노션 왼쪽 사이드바에서 '템플릿'을 클릭하거나, 노션 페이지에서 /템플릿을 입력하고 '템플릿 갤러리'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용도별 템플릿: '프로젝트 관리', '개인 목표 설정', '독서 노트', '이력서' 등 다양한 용도의 템플릿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활용: 마음에 드는 템플릿을 찾았다면, '템플릿 사용' 버튼을 누르세요. 템플릿이 여러분의 워크스페이스로 복제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 '부분 복제'로 원하는 기능만 가져오기

템플릿 전체가 아니라 특정 기능만 마음에 들 때가 있죠? 예를 들어, 멋진 캘린더 보기나 효율적인 할 일 관리 시스템만 가져오고 싶을 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 블록 단위 복제: 마음에 드는 템플릿 페이지로 이동해서, 원하는 블록에 마우스를 올립니다. 블록 왼쪽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하고 '복제'를 누르면 해당 블록만 복사할 수 있습니다.

  • 페이지 단위 복제: 특정 페이지 전체를 복제하고 싶다면, 해당 페이지를 클릭한 후 오른쪽 상단의 ••• 버튼을 누르고 '복제'를 선택하세요.

💡 활용 팁: 템플릿 전체를 가져와서 필요한 부분만 복제한 후 나머지는 삭제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기능만 가져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나만의 템플릿 만들기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여러분이 직접 템플릿을 만드는 것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페이지 양식이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템플릿으로 저장해두면, 매번 새로 만들 필요 없이 클릭 한 번으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 템플릿 만들기: 노션 페이지에서 /템플릿 버튼을 입력하고 버튼을 만드세요.

  • 템플릿 설정: '템플릿' 부분을 클릭하면 페이지가 열립니다. 여기에 여러분이 자주 사용하는 양식(예: 회의록, 일일 업무 보고)을 만들고, '닫기'를 누르면 템플릿이 저장됩니다.


실습: 템플릿으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만들기

이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템플릿을 활용해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1. 템플릿 갤러리 방문: 노션 사이드바에서 '템플릿'을 클릭하고, 검색창에 '프로젝트 관리'를 검색해 보세요.

  2. 템플릿 복제: '프로젝트 관리' 템플릿을 찾았다면 클릭하고, 오른쪽 상단의 '템플릿 사용' 버튼을 누릅니다.

  3. 내용 수정: 여러분의 워크스페이스에 복제된 '프로젝트 관리' 페이지가 보일 겁니다. 여기에 있는 샘플 데이터를 지우고, 여러분의 실제 프로젝트 이름과 할 일 목록을 입력해 보세요.

  4. 보기 변경: 이 템플릿에는 이미 여러 가지 보기(칸반보드, 캘린더 등)가 설정되어 있을 겁니다. 상단의 보기 메뉴를 눌러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확인해 보세요.

어떤가요? 직접 만들지 않아도 전문가가 만들어 둔 훌륭한 시스템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템플릿을 그대로 사용하다가, 익숙해지면 자신에게 맞게 수정하고 개선해 나가면 됩니다.


마무리: 다음 시간에는...

이제 템플릿 활용법까지 익혔으니, 여러분은 더 이상 노션 초보자가 아닙니다. 마지막 가이드에서는 그동안 가장 많이 받은 질문들을 모아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노션 사용, 궁금증을 해결해 줄 Q&A'에서 그동안 궁금했던 점들을 모두 해결해 봅시다!


처음으로 

노션으로 일정 관리 시작하기 [시리즈8]

노션으로 일정 관리 시작하기[시리즈8]

매일의 할 일, 회의 일정, 중요한 기념일까지. 복잡한 일정 때문에 머릿속이 뒤죽박죽인 경험, 누구나 해봤을 겁니다. 기존의 캘린더 앱은 날짜를 관리하는 데는 좋지만, 일정과 관련된 메모나 파일까지 함께 정리하기는 어렵죠.

일정관리

하지만 노션은 다릅니다. 노션의 데이터베이스와 캘린더 보기를 활용하면 일정을 단순히 기록하는 것을 넘어, 일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한곳에 모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노션으로 똑똑하게 일정을 관리하는 법을 알려 드릴게요.

데이터베이스와 캘린더, 두 개의 모듈을 하나로

노션에서 일정을 관리하는 핵심은 '날짜 속성'을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우리의 모든 일정이 담길 '표'라고 생각하세요. 이 표에 날짜, 이름, 상태 등의 속성을 추가하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기록할 수 있습니다.

  • 캘린더 보기: 이 데이터베이스를 캘린더 보기로 바꾸는 순간, 입력했던 모든 일정이 달력에 나타납니다. 단순히 날짜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클릭 한 번으로 일정의 세부 정보(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죠.

이처럼 노션은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날짜를 시각화하는 캘린더'라는 두 가지 모듈을 결합하여 일정 관리의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일정 관리를 더 스마트하게 만들어주는 팁

  • 속성 활용: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다양한 속성을 추가해 보세요. 체크박스 속성으로 완료 여부를 표시하고, 상태 속성으로 진행 중, 보류 등을 구분하며, 태그 속성으로 '개인', '업무', '병원'처럼 일정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반복 작업: 노션에서는 반복되는 일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주 월요일마다 '주간 회의' 일정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날짜 멘션: 페이지 안에서 @오늘 또는 @다음 주 화요일을 입력하면 날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캘린더에 반영됩니다.


실습 1: 나만의 캘린더 만들기

자, 이제 직접 노션으로 일정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1. 새로운 페이지 열기: 노션에서 새 페이지를 만들고, 이름을 '🗓️ 나의 캘린더'라고 정해 주세요.

  2. 데이터베이스 생성: 페이지 안에 /데이터베이스를 입력하고, '전체 페이지'를 선택하세요.

  3. '날짜' 속성 추가: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추가'를 클릭하고 날짜 속성을 만들어 주세요.

  4. 데이터 입력: 첫 번째 행에 '7월 19일 이발소 예약'이라고 입력한 뒤, '날짜' 속성 칸을 클릭해서 날짜를 2025년 7월 19일로 설정하세요.

  5. 캘린더 보기 추가: 데이터베이스 상단의 + 보기 추가 버튼을 누르고, '캘린더'를 선택한 후 '완료'를 누릅니다.

  6. 캘린더 확인: 이제 여러분이 방금 입력한 일정이 캘린더에 나타날 겁니다. 캘린더에서 빈 날짜를 클릭하면 바로 새로운 일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7. 속성 확인: 캘린더에서 '7월 19일 이발소 예약'을 클릭하면 하나의 페이지가 열립니다. 여기에 '시간', '위치', '담당자' 등 필요한 속성을 추가해 보세요.

실습 2: 캘린더 일정 관리하기

이제 만들어진 캘린더를 실제 사용하는 과정을 연습해 볼게요.

  1. 새로운 일정 추가: 캘린더에서 2025년 8월 21일을 클릭하여 새 일정을 만드세요. 제목은 '친구와 저녁 약속'이라고 입력합니다.

  2. 일정 페이지 열기: 방금 만든 '친구와 저녁 약속' 일정을 클릭하면 페이지가 열립니다.

  3. 이미지 추가: 페이지 상단에 커서를 올리고 '커버 추가'를 누르거나, 페이지 안에 /를 입력하고 이미지를 선택하여 약속 장소 사진을 넣어보세요.

  4. 약속 정보 입력: 페이지 본문에 /를 입력하고 텍스트를 선택하여 '저녁 7시, 강남역 1번 출구에서 만나자.'처럼 구체적인 약속 정보를 기록하세요.

  5. 메모 추가: 약속과 관련된 내용을 자유롭게 메모해 보세요. /를 입력하고 토글을 사용해 '가고 싶은 식당 리스트'를 정리하면 더 깔끔합니다.

이처럼 노션 캘린더는 단순히 날짜를 기록하는 것을 넘어, 일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한 페이지에 담을 수 있습니다. 약속 시간, 장소, 참고 자료까지 한눈에 확인하며 효율적으로 일정을 관리할 수 있죠.


마무리: 다음 시간에는...

어떤가요? 노션의 데이터베이스와 캘린더 기능이 합쳐지니 훨씬 강력해졌죠?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직접 만드는 것이 어렵다면, 이미 잘 만들어진 양식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노션 템플릿, 똑똑하게 활용하는 법'을 알려 드릴게요. 전문가들이 만들어 둔 멋진 워크스페이스를 내 것으로 만드는 법을 배워 봅시다!



처음으로 

노션 데이터베이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기[시리즈7]

노션 데이터베이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기[시리즈7]

노션의 가장 강력한 기능이자 동시에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바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하지만 겁먹을 필요 없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엑셀'이나 '표'처럼 생각하고, 그 안에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도구라고 이해하면 훨씬 쉽습니다.

노션데이터베이스

이번 가이드에서는 노션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실용적인 활용법을 알려 드릴게요.

데이터베이스의 3가지 핵심 개념

노션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3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3가지 개념만 명확히 이해하면 데이터베이스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습니다.

  1. 페이지(Page): 데이터베이스의 '행'입니다. 예를 들어, '독서 목록' 데이터베이스에서 책 한 권 한 권이 모두 하나의 페이지가 됩니다. 각 페이지 안에는 해당 책의 독서 노트나 감상평 등 자세한 내용을 담을 수 있습니다.

  2. 속성(Property): 데이터베이스의 '열'입니다. 페이지(행)에 대한 정보를 담는 항목이죠. '독서 목록' 데이터베이스에서 책의 '제목', '저자', '장르', '읽은 날짜' 등이 모두 속성입니다.

  3. 보기(View):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어떻게 보여줄지' 결정하는 기능입니다. 같은 데이터베이스라도 다양한 보기(표, 갤러리, 캘린더, 칸반보드 등)로 바꿀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왜 유용할까?

일반 표와 달리 노션 데이터베이스가 강력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다양한 보기: 표 형태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캘린더 보기로 일정을 확인하며, 갤러리 보기로 시각적인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 필터(Filter) & 정렬(Sort): '장르가 소설인 책만 보기'처럼 원하는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골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제목 순', '읽은 날짜 순'으로 데이터를 정렬할 수도 있죠.

  • 관계(Relation):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서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독서 목록' 데이터베이스와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서, 어떤 책이 특정 프로젝트에 영향을 줬는지 기록할 수 있습니다.


실습: 나만의 독서 목록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자, 이제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1. 새로운 페이지 만들기: 노션에서 새 페이지를 만들고, 이름을 '독서 목록'이라고 정해 주세요.

  2. 데이터베이스 생성: 페이지 안에 /데이터베이스를 입력하고, '인라인으로 보기'를 선택합니다.

  3. 속성 추가: 데이터베이스의 열(+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속성을 만드세요.

    • '저자'라는 이름의 텍스트 속성

    • '장르'라는 이름의 단일 선택 속성 (옵션에 '소설', '에세이', '자기계발' 등을 추가)

    • '읽은 날짜'라는 이름의 날짜 속성

    • '별점'이라는 이름의 선택 속성 (옵션에 '⭐️⭐️⭐️⭐️⭐️', '⭐️⭐️⭐️⭐️' 등을 추가)

  4. 데이터 입력: 첫 번째 행에 책 제목을 입력하고, 만들어 둔 속성에 맞춰 저자, 장르, 읽은 날짜, 별점 등을 채워 넣으세요.

  5. 보기 변경: 데이터베이스 왼쪽 상단의 '+ 보기 추가'를 누르고 '갤러리 보기'를 선택해 보세요. 책 표지 이미지로 시각적인 독서 목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심화 실습: 필터 기능도 사용해 보세요. '장르' 속성 옆의 깔때기 모양 아이콘(필터)을 누른 후, '장르'가 '소설'인 책만 보이도록 설정해 보세요.

실습 2: 책 읽고 기록하기

자, 이제 구체적으로 책 한 권을 읽고 기록하는 과정을 연습해 볼게요.

  1. 새 페이지 열기: 위에서 만든 '독서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첫 번째 행에 책 제목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하나의 페이지가 만들어집니다. 이 페이지를 클릭해서 여세요.

  2. 속성 입력: 페이지 상단에 보이는 '제목', '저자', '장르', '읽은 날짜' 등 속성에 맞춰 정보를 입력합니다.

  3. 내용 작성: 속성 아래 빈 공간에 독서 노트를 자유롭게 작성해 보세요.

    • 토글을 사용해 '인상 깊은 구절', '나의 생각' 등을 나누어 정리하면 더 깔끔합니다.

    • /텍스트를 입력하고 책을 읽고 느낀 점이나 소감을 솔직하게 남겨 보세요.

  4. 포스팅 링크 추가: 만약 이 책에 대한 리뷰를 블로그나 개인 웹사이트에 올렸다면, /를 입력하고 웹 북마크를 선택한 뒤 해당 포스팅의 링크를 붙여 넣으세요.

  5. 마무리: 페이지 상단에 표지 추가 버튼을 눌러 책 표지 이미지를 넣으면 페이지가 더욱 보기 좋아집니다.

이렇게 하나의 페이지에 책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을 수 있습니다. 독서 목록 데이터베이스는 여러분의 생각을 담는 노트이자, 기록을 관리하는 도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됩니다.


마무리: 다음 시간에는...

어떤가요? 데이터베이스가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몇 가지 속성과 보기만으로도 정보를 훨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노션의 다양한 템플릿을 활용하여 복잡한 데이터베이스도 쉽게 시작하는 법을 알려 드릴게요. 노션 템플릿, 똑똑하게 활용하는'노션으로 일정 관리 시작하는 법'을 통해 노션 전문가가 되어 봅시다!


처음으로 

협업을 위한 노션 페이지 공유 및 권한 설정[시리즈6]

협업을 위한 노션 페이지 공유 및 권한 설정[시리즈6]

지금까지 혼자서 노션 워크스페이스를 만들고 꾸미는 법을 배웠습니다. 이제부터 노션의 진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단계, 바로 협업입니다. 노션은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거나, 가족과 일정을 공유하는 등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할 때 더욱 강력해집니다.

노션페이지공유

이번 가이드에서는 노션 페이지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방법과, 각 상황에 맞는 권한 설정 팁을 알려 드릴게요.

1. 페이지 공유의 기본: '공유' 버튼 활용하기

페이지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공유' 버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 이메일로 초대: 함께 작업할 사람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초대'를 누르면, 해당 사용자가 노션 워크스페이스에 초대됩니다. 이 방법은 팀원이나 가족처럼 지속적으로 함께 작업할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 링크로 공유: '웹에 공유' 기능을 켜면 페이지 링크가 생성됩니다. 이 링크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해당 페이지를 볼 수 있죠. 이 기능은 포트폴리오를 만들거나, 외부인에게 정보를 공유할 때 유용합니다.

💡 활용 팁: '웹에 공유'로 링크를 만들 때는 '수정 허용', '댓글 허용' 등의 옵션을 설정해 공유 범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2. 권한 레벨, 이것만 알면 돼요

노션에는 다양한 권한 레벨이 있습니다. 권한을 잘 설정하면 중요한 정보가 잘못 수정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전체 접근 허용: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수정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팀 프로젝트의 모든 구성원에게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정 가능: 페이지의 내용을 수정하고 댓글을 달 수 있지만, 페이지를 공유하거나 권한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 댓글 가능: 페이지의 내용을 볼 수 있고 댓글만 달 수 있습니다. 문서를 검토하고 피드백을 주는 용도로 좋습니다.

  • 보기 가능: 페이지의 내용을 오직 보기만 할 수 있습니다. 정보 전달을 위한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3. 효율적인 협업을 위한 팁

페이지 공유와 권한 설정 외에도, 노션에는 협업을 돕는 유용한 기능들이 많습니다.

  • @멘션: 팀원을 멘션해서 특정 업무나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멘션을 받은 사람은 알림을 받게 됩니다.

  • 댓글: 블록 옆에 마우스를 올리면 ••• 버튼이 나타납니다. '댓글'을 눌러 특정 내용에 대한 의견을 남길 수 있습니다. 이는 문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소통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 페이지 이력: '업데이트' 메뉴에서 '페이지 이력'을 누르면 페이지의 변경 사항을 시간순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수로 내용이 지워졌을 때도 쉽게 복구할 수 있죠.


실습: 가족 여행 계획 페이지 공유하기

이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한 협업 페이지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1. 새 페이지 만들기: '나만의 대시보드' 페이지 안에 가족 여행 계획이라는 새 페이지를 만듭니다.

  2. 페이지 내용 추가: 페이지 안에 /를 입력하고  할 일 목록을 선택하여 '항공권 예약', '숙소 알아보기' 등을 작성해 보세요.

  3. 공유 설정: 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공유' 버튼을 누르세요.

  4. 팀원 초대: 이메일 입력란에 함께 여행을 갈 가족의 이메일을 입력하고 '전체 접근 허용'으로 권한을 설정한 뒤 초대합니다.

  5. 댓글 남기기: '숙소 알아보기' 블록 옆에 마우스를 올리고 ••• → '댓글'을 누른 뒤 "수영장이 있는 숙소를 찾아볼까?"라고 의견을 남겨보세요.

이렇게 하면 가족이 같은 페이지에서 여행 계획을 함께 세울 수 있습니다. 각자 의견을 남기고 할 일을 나눠서 진행하면 훨씬 효율적이겠죠?


마무리: 다음 시간에는...

이제 노션의 핵심 협업 기능까지 익혔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노션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인 '노션 데이터베이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기'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복잡한 정보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처음으로 

노션 페이지, 깔끔하게 꾸미는 팁[시리즈5]

노션 페이지, 깔끔하게 꾸미는 팁[시리즈5] 

노션은 기능만 강력한 것이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도구입니다. 복잡한 정보도 깔끔하게 정리하면 훨씬 보기 좋고, 페이지에 대한 애착도 커지죠. 이번 가이드에서는 전문 디자이너가 아니어도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노션 페이지 꾸미기 팁 5가지를 알려 드릴게요.

노션페이지

1. 아이콘과 커버로 페이지에 개성 입히기

가장 쉽고 빠르게 페이지를 꾸미는 방법입니다. 페이지 제목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아이콘 추가커버 추가 버튼이 나타납니다.

  • 아이콘: 페이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이모티콘이나 이미지를 추가하세요. (예: 📚 독서 노트, ✈️ 여행 계획)

  • 커버: 페이지 상단에 들어가는 큰 이미지입니다. 노션 기본 제공 이미지 외에도 Unsplash 같은 무료 이미지 사이트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찾아 올릴 수 있습니다.

💡 활용 팁: 커버에 심플한 단색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Unsplash(무료사진사이트)에서 찾은 자연 풍경 사진을 활용해 보세요.

2. 레이아웃 분할로 정보 정리하기

페이지의 정보를 두세 개의 열로 나누면 훨씬 정돈되어 보입니다. /를 입력하고 을 선택하면 다양한 레이아웃 옵션이 나타납니다.

  • 2열, 3열: 할 일 목록과 빠른 메모를 나란히 두거나,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과 담당자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활용 팁: 대시보드 페이지를 2열 또는 3열로 나누어, 왼쪽에는 할 일과 일정을, 오른쪽에는 빠른 메모와 참고 자료를 배치해 보세요.

3. 색상과 하이라이트로 중요한 내용 강조하기

노션에서 글씨의 색상을 바꾸거나 하이라이트 기능을 사용하면 중요한 내용을 부각시킬 수 있습니다.

  • 색상 변경: 텍스트를 드래그한 후 메뉴에서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세요. (예: 빨간색으로 경고 메시지, 초록색으로 긍정적인 내용 강조)

  • 하이라이트: 형광펜처럼 텍스트 배경에 색을 입힙니다.

💡 활용 팁: 회색 배경이나 노란색 하이라이트를 활용해 콜아웃 블록처럼 중요한 문구를 강조해 보세요.

4. 구분선과 토글로 페이지에 여백 주기

페이지가 텍스트로 가득 차 있으면 답답해 보일 수 있습니다. 구분선토글을 사용해 시각적인 여백을 만들어 주세요.

  • 구분선: /를 입력하고 구분선을 선택하면 얇은 가로선이 생겨서 내용을 분리해 줍니다.

  • 토글: 지난 가이드에서 배운 토글은 정보를 숨겨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페이지를 깔끔하게 보이게 하는 시각적인 효과도 뛰어납니다.

💡 활용 팁: 주제가 바뀔 때마다 구분선을 넣어보세요. 한 페이지에 여러 주제를 다루더라도 훨씬 정돈된 느낌을 줍니다.

5. 이모지와 폰트 스타일로 분위기 연출하기

이모지(이모티콘)는 텍스트를 더 생동감 있게 만들어 줍니다. 또, 텍스트에 굵게, 기울임, 밑줄, 취소선을 적용해 보세요.

  • 이모지: 페이지 제목, 리스트, 심지어 일반 텍스트에도 이모지를 넣어 재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 폰트 스타일: 중요한 단어나 문장에 볼드체(내용)를 적용해서 강조해 보세요.

💡 활용 팁: 페이지 제목에 [이모지] 제목과 같은 규칙을 적용하면 한눈에 어떤 페이지인지 파악하기 쉽습니다.


실습: 대시보드 디자인하기

이제 이 팁들을 활용해 지난번 만들었던 '나만의 대시보드' 페이지를 더 멋지게 꾸며 봅시다.

  1. 커버 추가: '나만의 대시보드' 페이지 제목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커버 추가'를 클릭하세요. '갤러리 변경'을 눌러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Unsplash에서 'minimal'을 검색해 심플한 이미지를 골라보세요.

  2. 색상으로 할 일 구분: '오늘의 할 일' 목록에서 완료한 할 일은 취소선(Ctrl + Shift + S)을 긋고, 아직 하지 않은 할 일은 '파란색'으로 강조해 보세요.

  3. 구분선 추가: '오늘의 할 일'과 '빠른 메모' 사이에 /를 입력하고 구분선을 추가해 두 블록을 명확히 분리해 주세요.

  4. 아이콘 변경: 다른 페이지에 있는 아이콘을 바꿔보세요. 예를 들어, '7월 17일 회의록' 페이지에 📝 아이콘을 넣어 보세요.

이처럼 작은 변화만으로도 노션 페이지는 훨씬 더 사용하고 싶고, 보고 싶은 공간으로 바뀝니다.


마무리: 다음 시간에는...

이제 나만의 노션 워크스페이스를 만들고 꾸미는 법까지 익혔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협업을 위한 노션 페이지 공유 및 권한 설정'에 대해 알아볼게요. 노션의 강력한 협업 기능을 활용하는 법을 배워 봅시다.


처음으로 

노션에서 가장 많이 쓰는 기능 5가지[시리즈 4]

노션에서 가장 많이 쓰는 기능 5가지[시리즈 4]

이제 나만의 워크스페이스 구조도 만들었으니, 노션을 더 편리하게 만들어 줄 핵심 기능들을 알아볼 차례입니다. 블록과 페이지는 노션의 기본 뼈대이지만, 아래 소개할 5가지 기능은 이 뼈대를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줄 거예요.

노션-4

1. 멘션(@) 기능: 사람, 날짜, 페이지를 연결하기

멘션 기능은 노션의 협업과 연결성을 높여주는 가장 유용한 기능입니다. @ 기호를 입력하면 다양한 대상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 사람 멘션(@[이름]): 팀원이나 다른 사용자를 멘션해서 특정 페이지나 내용에 대한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 회의록에서 담당자를 지정할 때 유용해요.

  • 날짜 멘션(@[날짜]): 오늘, 내일 또는 특정 날짜를 멘션해서 기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고서 작성(@6월 7일)처럼요.

  • 페이지 멘션(@[페이지명]): 다른 페이지의 제목을 멘션해서 현재 페이지에서 바로 해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활용 팁: 프로젝트 관리 페이지에서 @를 사용해 담당자와 마감 기한을 명확히 표시해 보세요.

2. 링크드 데이터베이스 뷰: 한곳에서 여러 정보를 확인하기

노션의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링크드 데이터베이스 뷰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페이지에 가져와서 다른 형태로 볼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 원본 데이터베이스: '전체 프로젝트'라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듭니다.

  • 링크드 뷰: '오늘의 할 일' 대시보드 페이지에 이 데이터베이스의 '칸반보드' 뷰를 가져와서 오늘 할 일만 필터링해 볼 수 있습니다. '월간 일정' 페이지에는 '캘린더' 뷰를 가져와서 프로젝트 일정을 한눈에 볼 수 있죠.

칸반보드::간단히 말해, 복잡한 업무를 시각적인 카드로 정리해서 업무 흐름을 쉽게 관리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활용 팁:
이 기능 덕분에 데이터는 한곳에 저장하되, 필요한 곳에서 필요한 형태로만 볼 수 있어 정보의 중복을 막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3. 토글(Toggle) 기능: 정보를 숨기고 펼치기

토글은 정보를 깔끔하게 정리해주는 블록입니다. 제목을 클릭하면 안에 있는 내용이 보였다가 사라지는 기능이죠.

  • 목차 정리: 긴 글의 목차를 만들고, 각 목차 아래에 토글을 넣어 내용을 숨겨두면 페이지가 훨씬 간결해 보입니다.

  • FAQ 만들기: 자주 묻는 질문을 토글 제목으로 만들고, 답변을 토글 안에 숨겨두면 페이지가 깔끔해집니다.

💡 활용 팁: 회의록처럼 내용이 방대한 페이지에서 토글을 사용해 안건별로 내용을 정리해 보세요.

4. 템플릿 버튼: 자주 쓰는 양식 복제하기

템플릿 버튼을 사용하면 미리 만들어 둔 페이지 양식을 클릭 한 번으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 회의록 템플릿: '참석자', '안건', '결정사항', '할 일'과 같은 항목을 미리 만들어두고, 회의가 있을 때마다 이 버튼을 클릭해서 새로운 회의록을 만드세요.

  • 일일 업무 보고서: 매일 작성해야 하는 보고서 양식을 템플릿 버튼으로 만들어두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활용 팁: 대시보드에 '새 회의록 작성' 버튼을 만들어 두면 필요할 때마다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페이지 아이콘 & 커버: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페이지 제목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아이콘 추가커버 추가 버튼이 나타납니다.

  • 아이콘: 페이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이모티콘을 추가해서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쉽게 만듭니다. (예: 📚 독서 노트, ✈️ 여행 계획)

  • 커버: 페이지 상단에 멋진 이미지를 추가해서 개성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 활용 팁: 아이콘과 커버는 워크스페이스를 시각적으로 풍부하게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페이지를 빠르게 식별하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핵심기능실습

실습: 대시보드에 핵심 기능 적용하기

지난 가이드에서 만들었던 '나만의 대시보드' 페이지를 열어 보세요. 이제 배운 기능들을 적용해 대시보드를 업그레이드해 보겠습니다.

  1. 페이지 아이콘 추가: '나만의 대시보드' 페이지 제목 옆에 마우스를 올리고 '아이콘 추가'를 클릭하세요. 원하는 아이콘(예: 🏠)을 선택합니다.

  2. 템플릿 버튼 만들기: 대시보드 아래에 /템플릿을 입력하고 '템플릿 버튼'을 선택하세요. 버튼 이름을 '새로운 회의록'이라고 정하고, '템플릿' 부분에 '7월 17일 회의록' 페이지를 끌어다 놓습니다.

  3. 날짜 멘션 사용하기: '오늘의 할 일' 목록에 오늘 점심 약속 (@오늘)이라고 입력해 보세요. 날짜가 자동으로 링크로 연결됩니다.

  4. 토글로 메모 정리하기: '빠른 메모' 아래에 /토글을 입력하고 '아이디어'라고 씁니다. 그 아래에 생각들을 자유롭게 적어 보세요.

어떤가요? 이 간단한 기능들만으로도 여러분의 노션은 훨씬 더 강력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도구가 됩니다. 이 기능들은 노션의 거의 모든 페이지에서 활용되니 꼭 기억해 두세요.


마무리: 다음 시간에는...

이제 노션의 핵심 기능들을 익혔으니, 다음 시간에는 워크스페이스를 더 예쁘고 깔끔하게 꾸미는 '노션 페이지, 깔끔하게 꾸미는 팁'을 알려 드릴게요. 기능뿐만 아니라 미적인 부분까지 만족하는 노션을 만들어 봅시다!


처음으로